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1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1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4 조회수 2177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24.67 전일대비 +6.38 <BR>동 향 : 장마의 영향으로 상품성은 하락하고 있지만, 전일 가격 하락으로 인해 금일 중도매인 구매가 활발하였고,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인 시세는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물량 증가와 매기 부진으로 고추류는 가격이 하락한 반면, 우천의 영향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한 잎 채소류, 뿌리 채소류, 고구마, 감자류와 고온 다습한 기후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열매채소류 및 상품성 향상으로 인한 양채류 등이 상승세에 거래되었슴. 버섯류는 롯데 마트 세일 행사 등으로 소비가 활발하면서 강보합세 형성함.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01.05 전일대비 +24.88 <BR>동 향 : <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56.30 전일대비 +14.93 <BR>동 향 : <BR>상추는 금일 반입량은 40톤으로 전일과 같은양이 반입되었음. 주초 반입량 증가로 하락세 거래되었던 상추는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청상추를 중심으로 큰폭으로 상승하였음. 청상추는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지방시장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주초의 하락폭을 만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적포기도 전일 물량 감소로 인해 시장내 재고가 소진되면서 상승세 거래되었음.<BR>- 시금치 : 반입량은 31톤으로 전일대비 18%가량 감소하였고, 물량 감소와 시장내 재고 감소로 인해 시세는 상승세를 보였음. 장마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고, 지방시장 및 외부시장의 주문량도 증가하고 있어 시세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BR>- 미나리 : 반입량은 52톤으로 전일대비 11%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계속된 장마로 인해 경기도 인근의 미나리 작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하면서 반입량이 감소하고 있어 시세는 강세를 보이고 있음<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07.37 전일대비 +5.45 <BR>동 향 :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28.95 전일대비 +12.46 <BR>동 향 :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29.11 전일대비 +1.80 <BR>동 향 :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47.21 전일대비 +13.42 <BR>동 향 : 피망은 66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1%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물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소폭 하락하여 거래되었고, 양상추는 전일대비 20%가량 감소한 42톤이 반입되면서 시세는 강세를 보였음. 물량이 감소하면서 장마후 강세를 유지하고 있고, 기타 서양채소류는 주중 판매부진등의 영향으로 대부분 보합세를 보였으나, 물량이 증가한 치커리와 비트는 큰폭으로 하락하였고, 물량이 감소한 케일은 큰폭으로 상승세를 보이기도 하였음.<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85.38 전일대비 +2.90 <BR>동 향 : 버섯류는 전일대비 94%수준인 148톤으로 반입량 감소, 주말대비 수요 증가로 지수 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전일과 비슷한 31톤이 반입되었으며 주말 수요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상품은 보합세, 중품은 약보합세 형성. 양송이는 전일보다 감소한 10톤이 반입되어 상승세 형성. 내림세를 지속하던 지난주와 반대로 이번주 가파른 상승세 보임. 2kg 상품이 13,500원에 거래됨. 새송이는 40톤으로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nbsp; 보합세 형성. 생표고는 최근 산지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24톤 반입. 식자재업체와 유통업체의 주말대비 주문량 증가로 특상품 중심 오름세 형성. 팽이는 반입량이 감소세로 돌아서고 이번주 들어 상승세에 거래됨. 100g 상품이 130원에 거래.<BR><BR>2. 수산물 <BR>가격지수 : 113.84로 전일대비 +0.14 <BR>동 향 : 수산물은 조개류 시세 상승과 연체류 하락세가 맞물리며 전체지수는 보합세를 보였음. 생선류는 병어, 아귀, 청어가 재고 소진으로 오름세를 보인 반면에 갈치, 삼치, 임연수어는 판매 부진으로 하락세에 거래.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 고막이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연체류는 물오징어 재고 소진으로 오름세를 보인 반면에 수입낙지, 쭈꾸미, 굴은 선도 저하에 따른 매수세 부진으로 하락세를 주도.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9.23로 전일대비 +0.40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반입량이 다소 증가하면서 상품시세는 하락하였으나 하품은 체장이 커 전일에 비해 소폭 오름세를 형성함.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이틀연속 감소하면서 물량확보를 위한 요식업체 경쟁이 가열되어 오름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산&nbsp;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전일 높은 가격형성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꽁치는 반입량이 증가하고 주중 매수세 부진영향으로 하락세를 형성함. 삼치는 여수산이 체장이 큰 상품 반입량이 급감하면서 내림세에 거래. 임연수어는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매수세가 둔화되어 소폭의 내림세를 형성. 가자미는 대천산 입하량 감소와 중품 체장이 커져 상승세. 병어는 선도 좋은 여수산이 주로 반입되어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 자연산 활어는 고가 형성에 따른 소비부진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양식 활어는 물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13.26로 전일대비 +14.77<BR>동 향 : 조개류는 입하량이 감소하면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충무산 굴은 반입 물량이 비슷하나 선도 저하로 내림세에 거래. 국내산 바지락은 전일 시세 하락에 따른 반입량 감소와 씨알이 큰 중?하품 물량 거래가 활발하여 강보합세를 형성.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입하량감소와 하품 선도가 좋아 하품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상품은 보합세를 유지. 여수, 통영산 홍합은 반입량 감소와 판매호조로 재고가 소진되면서 큰 폭의 상승세를 형성함. 깐홍합은 씨알이 작은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약세장을 형성함. 시세 진폭이 거의 없는 가무락은 물량증가와 하품 씨알이 작아 소폭의 내림세를 보임.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30.93로 전일대비 -9.21<BR>동 향 : 연체류는 거래물량 증가로 내림세를 형성. 최근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요식업체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하여 여전히 높은 시세를 유지.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큰 상품 반입량 증가와 최근 조업부진에 따른 재고 소진으로 오름세에 거래. 문어는 상?하품 체장 크기가 두드러지면서 상품은 오름세를 보였고 하품은 보합세를&nbsp;형성.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오름세에 거래. 최근 생쭈꾸미 반입량은 꾸준하나 냉동 수입 쭈꾸미 시세 하락으로 내림세에 거래됨. </P><P>&nbsp;</P><P align=right>- 2005. 7. 14.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P><P align=right><BR>&nbsp;</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39

주간예보(7월18일 ~7월22일)

1,861
1338

2005.7.15(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2,209
1337

세계 희귀 수박 특별 전시회 개최

2,142
1336

지역농업클러스터 종합지원한다.

2,126
1335

제주산과일 다품목,차별화로 틈새시장 공략 승부수

2,216
1334

2005.7.1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1차

2,177
1333

일본, 프랑스요리용 새끼돼지고기 출하

2,364
1332

‘외국인 농업연수제도’ 어디까지 왔나

2,298
1331

2005.7.13(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17
1330

태국서 조류독감 새로 발견

2,04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