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15(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5 조회수 2209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23.31 전일대비 -0.28 <BR>동 향 : 농산물은 장마로 인해 전반적 작황은 부진한 편이며,&nbsp;날씨가 더워지면서 상품성도 하락해 약보합세에 거래됨. 오이,호박 등 열매채소류는 소비부진으로, 고구마 등 서류는 햇품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배추, 무는 주말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 거래되었고, 서양채소류 중 셀러리는 경기지역 출하마무리로 큰폭의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상추류 역시 출하지역은 경기권에 국한된 반면 소비지는 전국적 수요로 연일 강세장이 이어지고 있음. 기타 고구마는 햇품이 해남,여주 등지에서도 출하되면서 약세장 예상되며, 양상추는 강원 대관령에서만 출하되고 있어 오름세 전망됨.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83.55 전일대비 -4.63 <BR>동 향 : 감자는 가격하락으로 반입량은 적은편이며 금일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29%증가한 297톤이며 전일대비 특상품은 4-10%하락, 중,하품은 6%이상 오름세 거래됨. 금주들어 오름세가 지속되었으나 매기는 매우 부진하여 반입량은 지난주에 비해 47%감소하였음. 고구마는 일평균 30-50톤 정도 반입되고 있으며 금일은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큰폭의 하락세 거래됨. 출하지역은 여주, 김제, 고창지역임.<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52.26 전일대비 -4.04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558톤으로 전일대비 13%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정선 45%, 평창 45%, 인제 5%, 기타 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9%상승세인 330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정선군 137~373만원, 강원 평창군150~443만원, 강원 인제군 110~299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주초부터 물량 감소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으나, 금일은 반입량이 전일대비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며, 시장 전체적인 물량의 감소로 인해 시세는 소폭의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음. 2.산지동향 - 평창과 정선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태백, 인제 등지에서는 소량의 출하가 이루어졌음. 상품성은 태백 물건이 가장 우수하여 장세를 주도하였으며 전반적인 작황 부진으로 품위간 가격차가 매우 심하게 나고 있음. 3.소비지동향 - 김치공장과 외부시장으로는 중*하품 물건 위주로 반출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시장내 판매 물량은 전일보다 감소하여 새벽장 중도매인 거래는 활발한 편임<BR><BR>- 양배추 : 양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257톤으로 전일대비 5%감소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서산 31%, 평창 27%, 청송 15%, 기타 42%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20%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6%상승한 3,60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서산시 1200~4100원, 강원 평창군 1300~3400원, 경북 청송군 1950~4500원이었슴. 1.전체 동향 - 금일 반입량은 전일보다 소폭 감소하였고, 물량 감소로 인해 소비가 원활하여 중도매인의 구매의욕 다소 활발하였으며, 시세는 다소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2.산지 동향 - 서산산이 점차 마무리 작업이 되고 있고, 강원산 물건이 본격 출하되고 있으나, 장마철 무더운 날씨로 인하여 짖무른 물량의 반입이 늘고 있음. 3. 소비지 동향 - 시장 전체적인 재고량이 계속 감소하고 있어 거래는 활발한 편이나 상품성 차이에 따른 시세 차이가 큰 편이며 짖무름이 심한 하품은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BR><BR>상추는&nbsp;금일 반입량이 49톤으로 전일대비 20%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말 수요물량이 증가하였고 주중 반입량이 적어 시장내 재고가 감소하였고, 지방시장의 매기가 몰리면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고가격으로 인한 가격부담으로 상승폭은 제한적이었음, 청상추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한 반면, 적포기와 적상추는 오름세를 유지하였음<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03.98 전일대비 -3.39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477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33%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7%, 제천 13%, 서산 11%, 기타 59%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5%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4%하락한 20,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2000~22000원, 충북 제천시 1000~12000원, 충남 서산시 2000~26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36%, 춘천 22%, 횡성 13%, 기타 29%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6%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 하락한 24,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000~17000원, 강원 춘천시1000~15000원, 강원 횡성군 2000~14000원이었슴<BR><BR>- 호박 : 전체적으로 261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8% 감소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51%, 춘천 29%, 양주 4%, 기타 16%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7%상승한 8,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2000~13000원, 강원 춘천시1500~12000원, 경기 양주군 1000~110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65%, 봉화 12%, 화천 7%, 기타 16%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32%상승한 10,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2000~17000원, 경북 봉화군 1000~15000원, 강원 화천군 2000~14000원이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38.94 전일대비 9.99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336톤으로 전일 대비 18%감소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23%, 서산 18%, 당진 16%, 기타 43%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상승,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47%상승한 463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306~483만원, 충남 서산시422~661만원, 충남 당진군 371~515만원이었슴. 1.전체동향 - 전일 시세 상승에도 불구하고 금일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금일 반입량의 상품성이 전일 보다 다소 우수하여 시세는 다소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2. 산지동향 - 고온으로 인해 생육이 좋지 못해 상품성은 좋지 않은 상황임. 3. 소비지 동향 - 전일 대비 시장 판매 물량 감소로 인해 거래는 다소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습한 기온에 아침 이슬 작업으로 인해 짓무름이 심한 물량 나오며 잦은 가격 분쟁이 발생하였음<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30.88 전일대비 1.77 <BR>동 향 : 양파는 전일대비 5%증가한 610톤 반입되었으나 주말 매수세가 활발하게 일면서 근래 들어 가장 높은 시세 형성됨.&nbsp; 대파는 높은 가격 형성으로 출하량이 증가하여 금일 반입량은 금주 들어 가장 227톤임.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상품기준 전일대비 21%하락하였으며 금주 들어 가장 낮은 시세를 형성함. 풋고추과 꽈리고추는 수요일 산지 비가내려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큰폭의 상승세 거래되었으며 청양고추는 밀양, 예천, 춘천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전일 보합세 거래됨.<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52.08 전일대비 4.87 <BR>동 향 :&nbsp; 피망은 51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22%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고, 물량증가와 주말 매기부진으로 소폭 하락하여 거래되었고, 양상추는 전일대비 17%증가한 49톤이 반입되었지만, 매기가 몰리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물량이 감소한 셀러리와 비타민은 큰폭으로 상승하였고, 케일과 파세리는 하락세 거래되었음.<BR><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86.23 전일대비 0.85 <BR>동 향 : 버섯류는 주말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로 전일보다 103%증가한 152톤이 반입되었음. 느타리는 33톤으로 반입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대부분 납품업체의 주문이 마감되면서 특품을 제외하고 약보합세 형성. 양송이는 12톤으로 반입량이 적어 상승세를 형성하였으며 2kg 상품이 14,000원에 거래됨. 새송이는 보합세 속에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반입량은 40톤대 초반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생표고는 24톤으로 전일과 비슷하며 이번주 들어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지난주대비 약세 장세 형성. 팽이는 반입량이 40톤대 초반으로 감소하면서 가파른 상승세 형성. 금일 거래가격은 100 g 상품이 150원에 거래됨.<BR></P><P>&nbsp;</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11.48로 전일대비 -2.36 <BR>동 향 : 수산물은 연체류 중심으로 물량 증가와 무더운 날씨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약세 형성. 생선류는 고등어, 삼치, 임연수어, 병어는 거래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 거래. 조개류는 기온상승으로 선도가 떨어지면서 바지락, 굴, 새꼬막, 홍합이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 연체류는 물오징어 물량 증가와 수입낙지 선도저하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락세 거래.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9.10로 전일대비 -0.13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게 반입되었으나 날씨가 더워지면서 선도가 떨어져 중형품 중심으로 하락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냉동명태 반입량 소폭 증가로 생태 판매가 부진하여 약보합세를 보였고, 냉동명태는 거래가 부진하면서 약세로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감소하면서 주말을 앞둔 매수세 확대로 체장 큰 대형품 위주의 판매호조를 보이며 강보합세 거래. 꽁치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주중 재고마저 소진된 상태로 오름세 거래. 삼치는 여수산이 반입량이 줄어 체장 큰 대형품은 오름세를 보인 반면, 중소형품은 보합세 형성. 임연수어는 속초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고가 형성으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재고가 누적됨에 따라 중대형품 위주로 하락세로 거래. 병어는 목포산 반입량 증가와 여수산이 선도가 떨어져 판매가 부진하면서 하락세 거래. 가자미는 대천산 반입량 증가와 체장이 작아져 거래가 부진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활어류는 중국산 수입활어에 발암물질 발견 보도 영향으로 소비 수요가 크게 줄면서 전반적인 거래가 부진하면서 양식광어, 양식농어는 하락세를 보였고 국내산 숭어류와 자연산 광어는 반입량이 줄고 체장이 큰 대형품 위주로 오름세 거래.&nbsp; </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25.76p 전일대비 +1.05p<BR>동 &nbsp; &nbsp;향 : 주말을 앞둔 금일 채소과일류는 가락시장에 959톤 반입되어 전일 1,017톤에 비해 6% 가량 감소하였음.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매기는 활발하지 못해 가격지수는 소폭 상승하는데 그침.<BR>수박은 중부권 음성, 진천, 영동지역에서 출하를 주도하고 있으며, 금일 595톤이 반입되어 전일보다 4% 가량 감소하였으나, 최근 일평균 430톤에 비해 여전히 많은 물량이 반입되었고 복날 소매 수요는 활발하지만 도매거래는 전일 마무리 되어 직접적인 시세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여 대체로 내림세를 보였고 대과 고품질 물량은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음.<BR><BR>참외는 전일보다 6% 감소한 165톤이 반입되었으며, 초복 수요가 수박을 위주로 이뤄지면서 참외는 전일 재고량 누적으로 부진한 거래를 형성하였음. 특히 머리시세를 형성하는 특품이 소폭 하락하였고, 잦은 비로 상품성이 많이 저하된 상태임.<BR><BR>토마토 일반종은 전일보다 4% 감소한 99톤이 반입되었고, 완숙과가 많은 5kg 상자는 전일 고단가 형성에 따른 구매 기피로 인해 금일 시세가 조정양상을 보이며 소폭 하락하였음. 그러나 10kg 상자는 강원권 지역 초물과 끝물 물량이 겹치는 시기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보합세 유지<BR><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07.91p 주말대비 -3.31p<BR>동 &nbsp; &nbsp;향 : 나무과일류는 676톤 반입되어 전일 568톤에 비해 19% 가량 증가. 출하품종 변경시기로 반입량이 감소한 복숭아와 끝물 출하중인 살구를 제외하고 대부분 품목의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자두와 사과, 배의 증가폭이 컸음.<BR><BR>사과는 25톤 반입되어 전일 15톤에 비해 64% 증가. 전일은 주로 산지 수집상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금일은 경북 청송, 상주 등 주산지 출하자의 물량이 반입되었으나 후지 물량이 25% 가량 증가하면서 대체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현재 아오리 출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반입량의 30% 정도의 소량이 반입되고 있음.<BR><BR>배는 39톤 반입되어 전일 21톤에 비해 86% 증가. 아산, 화성, 평택, 안성 등 &nbsp;주 출하지역 물량이 고르게 반입되었고, 출하량 증가로 인해 중*하품은 약보합세에 거래되었으나 품질이 좋은 물량을 위주로 강보합세 형성.<BR><BR>감귤은 20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거래됨. 현재 5kg 상자가 전체물량의 50%, 3kg 38%, 10kg가 12% 정도를 차지하여 소포장 비율이 전체의 90% 가까이 거래됨. 출하량은 전일에 이어 금일도 지난해에 비해 적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전반적으로 강보합세 형성.<BR><BR>포도는 50톤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물량이 거래되었으며, 전체 물량의 80% 가까이 거래되는 켐벨얼리는 5kg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 70% 육박하였고, 시세는 주말 유통업체 판촉행사로 인해 강보합세를 형성하였고, 거봉과 데라웨어는 각각 18%, 2% 정도 물량을 점유하고 있으며 시세는 보합권에서 형성됨.<BR><BR>복숭아는 220톤 반입되어 전일 238톤에 비해 7% 감소. 전체 물량의 45%를 점유하고 있는 무모계 선프레의 반입이 경북 경산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유모계는 거래를 주도하는 창방이 복숭아 물량의 20%를 점유하고 있으나 매기부진으로 내림세를 형성하였음. 한편 유모계 호기도가 경북 영천과 경산지역에서 출하가 빠르게 늘어나 현재 15% 가량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유모계와 달리 15kg 상자로 거래되고 있음.<BR><BR>자두는 전일 172톤에 비해 22% 증가한 210톤이 반입되었음. 현재 출하량의 90% 이상이 후무사종이며, 대부분 김천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음. 대석조생은 경북 의성을 마지막으로 출하가 사실상 종료되었고, 현재 자두의 대부분은 경북 김천과 경산지역에서 출하되고 있으며, 홍자두, 피자두, 수박자두 등 기타 품목들도 대부분 김천지역을 중심으로 출하되고 있음. 금일 시세는 출하량 증가에 따른 시장 매기가 부진하여 다소 큰 폭으로 하락하였음.<BR><BR></P><P align=right>- 2005. 7. 15.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BR></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39

주간예보(7월18일 ~7월22일)

1,860
1338

2005.7.15(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2,209
1337

세계 희귀 수박 특별 전시회 개최

2,141
1336

지역농업클러스터 종합지원한다.

2,125
1335

제주산과일 다품목,차별화로 틈새시장 공략 승부수

2,215
1334

2005.7.14(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 동향 1차

2,176
1333

일본, 프랑스요리용 새끼돼지고기 출하

2,364
1332

‘외국인 농업연수제도’ 어디까지 왔나

2,297
1331

2005.7.13(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416
1330

태국서 조류독감 새로 발견

2,04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