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한지(寒地) 무공해 미나리 재배기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5 조회수 2361
<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휴먼매직체><FONT color=#ff80c0><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1. 품종선택 및 종자처리</SPAN> </FONT></FONT></P><P></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1.1 품종선택</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무공해 미나리는 반드시 엽병이 길고 옹골지며 섬유가 적고 다수확의 항역성(抗逆性)이 좋으며 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종자품질은 GB16715.5-1999 기준의 규정에 부합해야 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1.2 종자처리</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정선한 종자를 48℃ 항온수에 계속 저어 갈아 앉힌 종자를 30분간 소독한다. 그런 다음 꺼내서 냉수에 24시간 담가둔다. 물에서 꺼내 다시 깨끗이 씻어 종자 체적의 5배인 고운 모래를 섞어 청결한 대야 속에 넣어 15~18℃의 볕이 보이는 곳에 놓아둔다. 매일 1~2번씩 뒤집어 주어 고운 모래의 습윤 상태를 유지시킨다. 30~50%의 종자가 흰 싹이 나타나면 파종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nbsp;</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FONT face=휴먼매직체><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2. 육묘(育苗) 및 묘기(苗期)관리</SPAN> </FONT></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2.1 육묘</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일반적으로 1월 하순에서 2월 중순까지 온상에서 육묘한다. 묘상 만들 밭은 배관이 편리한 곳을 택하고 토양은 푸석푸석하며 비옥하고 거름이나 물이 잘 유지되며, 토질은 무공해식품 NY5010기준에 부합해야 하고 2~3년간 미나리과 식물을 심지 않은 밭에 묘상을 만든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너비 1m, 길이 6~10m, 도랑 너비 0.3~0.4m, 도랑 깊이 0.15~0.2m인 높은 이랑을 만든다. 1㎡당 잘 썩은 유기비료 25~30kg, 질소, 인산, 칼륨 복합비료(15-15-15) 100g에 다균령(多菌靈)50g을 넣어 시비하고 깊이 갈아엎어 가래로 평평하게 한 다음 충분히 바닥까지 물을 준다. 물이 스며든 다음 싹이 나온 종자를 고운 모래와 함께 고르게 이랑위에 깔고 다시 고운 흙 0.5~0.6cm 가량 덮는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2.2 묘기(苗期)관리</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유묘기에는 낮에 20℃가 넘는 바람을 쏘이고 밤에는 10℃를 유지시키고 후기에는 12℃를 유지시킨다. 묘상은 늘 토양이 축축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모가 자란 후에는 0.2% 요소를 한번 뿌려준다. 이후에는 10~15일마다 1번 뿌려주어 유묘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정식하기 전에 바람 량을 크게 늘려 낮에는 15~20℃, 밤에는 5℃로 온도를 내려주어 적응성을 높여준다. 묘기에 풀을 제거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nbsp;</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3. 정식</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3.1 선지(選地), 정지(整地), 시비</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미나리 심는 밭을 반드시 토양이 푸석하고 비옥하며 배관 조건이 좋고 주위에 오염원이 없으며 교통이 편리하고 토질이 무공해식품 NY5010의 요구에 부합해야 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nbsp;겨울이 되기 전에 즉시 밭을 갈고 667㎡당 잘 썩힌 농가비료 3000~5000kg와 삼원복합비료(15-15-15) 40~50kg을 시비하고 20cm 정도 깊이 갈아 토양과 비료가 충분히 섞이도록 한 다음 가래로 평평하게 정지해서 이랑을 만든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3.2 정식(定殖)</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바깥 기온이 -5℃ 이상 될 때는 천막을 쳐주고 모가 15~20cm 정도 자라고 6~7개의 잎이 나올 때 정식하면 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정식할 때 삽으로 흙과 함께 모를 떠다가 단주(單株) 정식하고 667㎡당 모 35000~40000그루를 심는다. 정식하는 깊이는 반드시 유묘를 묘상에 심었던 깊이와 같고 심엽(心葉)이 드러나야 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3.3 밭 관리</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천막 안의 온도가 20℃가 되면 바람을 쏘여주고 햇빛을 가려주어 온도를 15~20℃로 유지해 주고 밤에는 10℃보다 낮지 않게 해준다. 정식 후 적시에 물을 주고 3~5일 후에 완묘수(緩苗水 ; 싹이 일시 성장을 멈추게 하는 물)를 한차례 준다. 10~15일 뒤에 667㎡당 요소 5kg을 더 보충 한다. 이후에는 20~25일 마다 한차례 추비하되 667㎡당 요소와 황산칼륨 각 10kg을 추가한다. 수확 전 10일간은 추비나 물주는 것을 하지 않는다. 추비는 반드시 행간을 따라하고 엽 면에 비료 살포를 방지하여 초산염의 누적을 낮춘다. 천막 내 온도가 너무 높지 않아야만 병해가 발생하지 않는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SPAN>&nbsp;</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4 .병충해 예방과 치료</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000000; LINE-HEIGHT: 19.2pt; FONT-FAMILY: 한양신명조,한컴돋움; LETTER-SPACING: 0pt; TEXT-ALIGN: justify">&nbsp;무공해 미나리의 병충해 예방과 치료는 농업, 물리, 생물적 예방과 치료가 위주가 되고 화학적 예방과 치료는 보조적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따른다. 병에 강한 좋은 품종을 골라 모를 기르고 재배관리를 강화하며 과학적으로 시비하고 미나리 생장발육에 유리한 환경조건을 만든다. 만일 병충이 심하게 발생했을 때는 화학농약을 사용한다.</SPAN> </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nbsp;</P><P style="FONT-SIZE: 12pt; MARGIN: 0pt; COLOR: #000000; TEXT-INDENT: 0pt; LINE-HEIGHT: 160%; FONT-FAMILY: '한양신명조'; TEXT-ALIGN: justify" align=right>- 2005. 7. 15. 농촌진흥청 -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49

올해 첫 농협 ´명품´ 인증

2,204
1348

대형유통업체들 PB유기농산물 `바람´

2,827
1347

중국산 맥주 긴급수거 검사

2,077
1346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9호 : 7. 16~7. 31)첨부파일 있음

2,027
1345

잎을 먹을 수 있는 고구마 도입

2,266
1344

2005.7.1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453
1343

스페인 인삼 수출입 시장 동향

2,752
1342

수출포장재 의무소독

2,025
1341

7월부터 바뀐 농정시책

2,077
1340

한지(寒地) 무공해 미나리 재배기술

2,36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