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스페인 인삼 수출입 시장 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5 조회수 2752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460 align=center border=0><TBODY><TR><TD class=middletop>인삼제품 건강제품으로 규정 불분명</TD></TR><TR><TD height=20></TD></TR><TR><TD class=b1><DIV align=justify>EU는 인삼제품을 의약품으로 분류할 것인지 건강식품으로 분류할 것인지에대해 오랜 논란을 계속해 왔으나 현재까지는 명확한 규정이 없다. <BR><BR>스페인의 경우 과거에 인삼제품을 건강식품으로 분류해 정부로부터 국내판매권(Permiso de Comercializacion) 허가를 받은 건강식품 수입상들이 인삼제품을 수입, 판매했다. <BR><BR>그러나 94년 이후 인삼제품에 대한 분류 논란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이후 스페인 정부는 의약품으로 분류하기 시작해 현재는 자체실험실을 보유한 회사로서 보건소비부에 인삼제품의 의약품 등록을 필하고 수입허가를 얻은 전문회사에 한해 수입을 허가하고 있다. 이 등록 및 허가과정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각각 1 ~ 2년이 소요된다. <BR><BR>마드리드 한국무역관이 관리하는 현지 3대 수입상을 접촉한 결과 1개 수입상만이 의약품으로 정식 등록해 직수입하고 있으며 나머지 2개 수입상은 2002년 사스 발생이후 통관이 엄격해진 스페인 세관을 피해 건강식품으로 통관이 비교적 수월한 네덜란드와 이탈리아를 통해 간접 수입하고 있었다. <BR><BR>이와 같은 사유로 정확한 대스페인 수출집계는 파악이 힘든 실정이나, 참고로 한국무역통계에 의한 최근 3년간 한국의 대스페인 인삼제품 수출실적을 살펴보면 <B>&lt;아래표&gt;</B>와 같다. <BR><BR><CENTER><IMG src="http://www.thinkfood.co.kr/data/200507/14_48314_1.jpg"></CENTER><BR><BR><B>■ 스페인 통계치 조회결과</B> <BR><BR>스페인 통계청이 집계한 인삼제품 수입으로 한국산의 경우 정식의약품으로 등록되어 수입된 것만 집계된다. <BR><BR>스페인 인삼제품 (HS CODE 1211.20) 류 수입은 중국산이 주종이다. 2003년도 전체수입시장에서 중국산이 총 181.000euros 어치, 중량15.000 Kg., 95.76% 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2003년도 대한수입은 전혀 없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BR><BR>2002년도 중국수입은 385.000 ?로, 총 시장점유율 52,45 % 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291.000euros로 39,64 % 를 차지하고 있다. <BR><BR><CENTER><IMG src="http://www.thinkfood.co.kr/data/200507/14_48314_2.jpg"></CENTER></DIV></TD></TR></TBODY></TABLE><P>&nbsp;</P><P>&nbsp;</P><P align=right>- 2005. 7. 15. 식품음료신문 -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49

올해 첫 농협 ´명품´ 인증

2,204
1348

대형유통업체들 PB유기농산물 `바람´

2,827
1347

중국산 맥주 긴급수거 검사

2,077
1346

농작물 병해충 발생정보(9호 : 7. 16~7. 31)첨부파일 있음

2,027
1345

잎을 먹을 수 있는 고구마 도입

2,266
1344

2005.7.1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452
1343

스페인 인삼 수출입 시장 동향

2,752
1342

수출포장재 의무소독

2,025
1341

7월부터 바뀐 농정시책

2,077
1340

한지(寒地) 무공해 미나리 재배기술

2,36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