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7.1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7-18 | 조회수 | 2453 |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13.17 전일대비 -5.62 <BR>동 향 : 농산물은 산지 기상여건이 좋아지고 휴일동안 이루어진 출하작업으로 시장 내 반입물량이 늘어나 전체지수는 전일대비 하락함 특히 잎채소류, 열매채소류가 하락폭이 컸으며, 배추, 무는 주초장에 따른 출하량 증가와 그동안의 비로 인한 상품성 저하로 가격이 내림 반면 상품성은 좋지 않으나 반입량이 감소한 알타리무는 중, 하품 위주로 큰폭으로 오름.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89.91 전일대비 +14.75 <BR>동 향 : 감자는 홍천 19%, 당진 16%, 횡성 11%, 남원 9% 출하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391톤으로 지난주 이해 가장 많은 양이 반입되면서 내림세 거래되었음. 지역별 최고경락가는 홍천 27,000원, 당진 18,000원, 횡성 26,000원, 인제 18,000원, 춘천 29,000원임.<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27.02 전일대비 -19.14 <BR>동 향 : 배추는 금일 반입량은 675톤으로 전일대비 19% 증가하였슴. 봄배추(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정선 삼척 35%, 정선 25%, 평창 10%, 기타 3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보합,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14%상승세인 316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삼척시 100~373만원, 강원 정선군 59~365만원, 강원 평창군 170~361만원이었슴. 월요일장 반입량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일대비 19% 물량이 증가하였으며, 시세는 주초장이라 거래 활발하였으나 물량 증가로 인해 보합세로 마감되었음<BR><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417톤으로 전일대비 75%증가함. 금일 총출하물량중 출하지역별 반입비율은 평창 56%, 서산 13%, 청송 10%, 기타 31%였고, 전체 평균가격은 상품기준 전일대비 38%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하락한 2,950원이었슴.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평창군 2800원, 충남 서산시 600~3200원, 경북 청송군 1750~4100원이었슴. 금일 반입량은 전주말보다 대폭 증가하였고, 최근 들어 가장 많은 양의 반입이 이루어지며, 시세는 큰 폭으로 하락하였슴<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6.15 전일대비 -10.70 <BR>동 향 : 오이는 전체적으로 678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52%증가하였고, *백다다기 100개기준 출하지역은 춘천 18%, 홍천 15%, 제천 13%, 기타 54%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6%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0%하락한 14,2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춘천시 1000~14500원, 강원 홍천군 1000~22000원, 충북 제천시 1000~7000원이었슴. *취청 20kg상자 출하지역은 화천 42%, 춘천 21%, 횡성 13%, 기타 25%였고, 상품 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9%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7% 하락한 13,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000~9000원, 강원 춘천시1000~10000원, 강원횡성군 1500~10000원이었슴<BR><BR>- 호박 : 호박은 전체적으로 425톤 반입으로 전일대비 32% 증가하였슴. *애호박 20개기준 출하지역은 화천 49%, 춘천 30%, 양주 4%, 기타 17%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33%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8%하락한 4,50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화천군 1000~11000원, 강원 춘천시500~6000원, 경기 양주군 1000~7500원이었슴. *츄키니 10kg상자 출하지역은 홍천 61%, 횡성14%, 화천 5%, 기타 2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3%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30%하락한 5,750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강원 홍천군 1000~9000원, 강원 횡성군 1000~10000원, 강원 화천군 1000~10000원이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30.86 전일대비 -0.29 <BR>동 향 : 무는 금일 반입량은 474톤으로 전일 대비 55%증가하였슴. *봄무(5ton트럭) 출하지역은 태안 20%, 평택 11%, 서산 9%, 기타 61%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6%하락, 표준가격(5개년평균)대비 33%상승한 419만원이며, 출하지역별로는 충남 태안군 200~529만원, 경기 평택시223~551만원, 충남 서산시 366~456만원이었슴. 금일 반입량은 월요일장으로 산지 작업 물량 증가로 인해 전주말보다 대폭 증가하였고 장마 후 고온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져 시세는 소폭 하락세를 형성하였슴<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29.85 전일대비 -4.26 <BR>동 향 : 양파는 지난주후반 오름세를 형성하면서 금일 반입량이 크게 증가한 766톤이며 물량증가에따라 주말대비 하락세 거래되었으나 kg당 435원으로 지난주 평균 가격에 비해서는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대파는 214톤으로 금요일 227톤보다는 감소하였으나 토요일 206톤보다는 증가하였음. 비교적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주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주말 하락세가 이어짐. 풋고추는 58톤 반입되었으며 주초 수요 증가로 주말 강세가 이어졌고, 꽈리고추는 46톤으로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내림세, 청양고추는 55톤으로 지난주초 57톤 보다 반입량 감소하면서 오름세 거래되었음. 홍고추는 37톤으로 주말 31톤, 지난주초 29톤대비 반입량이 크게 늘면서 하락세 거래됨.<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76.16 전일대비 +26.03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65.11 전일대비 -13.64 <BR>동 향 : 버섯류는 전일보다 16%증가한 198톤으로 주초 이틀 물량 반입되면서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주기현상으로 산지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35톤이 반입되었으나 소비가 주춤하면서 내림세에 거래. 양송이는 지난주 주말을 기점으로 내림세로 전환하였으며 이는 물량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임. 새송이는 60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약보합세 형성. 생표고는 반입량이 30%증가한 가운데 유통업체의 수요가 많은 특품은 강세 장세, 중상품은 보합세 형성. 팽이는 46톤으로 전일과 반입량이 비슷하며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지난주 평균가와 같은 100g 상품이 155원에 거래됨. <BR><BR>2. 수산물 <BR>가격지수 : 106.80로 전일대비 -2.01 <BR>동 향 : 수산물은 주초 매수세 강세에도 불구하고 기온상승에 따른 선도 저하와 반입물량 증가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삼치가 입하량 증가로 내림세를 보였으며, 조개류는 바지락, 새꼬막이 판매부진에 따른 매수세 둔화로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 연체류는 물오징어가 입하량 감소로 강보합세에 거래된 반면에 수입낙지, 쭈꾸미가 선도저하로 내림세를 보여 보합세를 유지함.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5.43로 전일대비 -3.42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크게 늘어나 하락세를 형성하였고, 특히 하품은 체장이 작아 급락세를 보임.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증가하고 판매부진 예상에 따른 매수세 둔화로 약보합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조업호황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약세를 보였음. 꽁치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음에도 체장이 크고, 선도가 좋아 오름세에 거래됨. 삼치는 여수산이 반입 물량이 두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내림세를 형성하였으나 하품은 체장이 커 소폭 상승함. 임연수어는 속초산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형품 물량은 감소하여 대형품은 보합세를 유지하였고, 중?하품 위주로 내림세에 거래. 병어는 목포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선도가 좋은 여수산 입하량이 늘어나면서 강보합세를 형성. 가자미는 대천산 반입량 감소와 중품 선도가 좋아 중품위주로 오름세를 보임. 활어류는 넙치, 농어, 노래미가 자연산 위주로 소비가 활발하여 오름세를 형성하였으나, 양식 활어는 소비부진으로 약세에 거래됨. 참숭어는 입하량 증가로 내림세를, 감숭어는 대형품위주로 거래되어 오름세를 형성함. </P><P>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86.13로 전일대비 -8.89<BR>동 향 : 조개류는 물량 증가와 판매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 충무산 굴 반입량은 비슷하고 소비수요도 꾸준하여 보합세를 유지함. 국내산 바지락은 반입물량이 증가하고, 하품 씨알이 작아 하품은 하락세를 상품은 약보합세를 형성함.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입하량이 증가한데다 기온상승으로 판매부진과 선도저하가 동반되면서 내림세를 보였음. 여수, 통영산 홍합은 거래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주초 매기 부진과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 소라는 상?하품간 씨알의 크기가 두드러지면서 상품은 오름세를, 하품은 내림세를 보였음. 깐홍합과 깐바지락은 최근 하락세에 따른 반입물량 감소로 강보합세에 거래. </P><P>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4.88로 전일대비 -0.16<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높은 가격 형성으로 인한 매수세 둔화와 금일 반입량 증가로 내림세를 형성하였으며, 특히 하품은 체장이 작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임. 최근 하락세에 거래되었던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어군 형성 부진에 따른 입하 물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 전복은 소비 수요 증가로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하였고, 쭈꾸미는 중국산 물량이 증가하면서 국내산이 내림세를 보였음.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씨알이 커 약보합세에 거래됨. 오만둥이는 중?하품 물량이 거래량이 극히 미미하여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상승</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05.65 -3.85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791톤 반입되어 전일 722톤 대비 10%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토마토와 메론의 출하량 증가가 두드러졌음. 금일 경락시세는 수박과 참외가 주초 수요 증가하면서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출하량이 많았던 토마토와 멜론이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전체지수 소폭 하락세에 거래됨. 멜론은 담양지역에서 주 출하를 이룰것으로 보이며, 나주지역(세지)메론의 출하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나주지역 멜론 출하가 마무리 되어가면서 그동안 5kg위주 소비형태에서 점차적으로 8kg소비로 전환되고 있음. 또한 충남권 청양, 부여 등 충청권 메론의 출하도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BR> </P><P align=right>- 2005. 7.18.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49 | 2,204 | ||
1348 | 2,827 | ||
1347 | 2,077 | ||
1346 | 2,027 | ||
1345 | 2,266 | ||
1344 | 2,453 | ||
1343 | 2,752 | ||
1342 | 2,025 | ||
1341 | 2,077 | ||
1340 | 2,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