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19(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1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19 조회수 2066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0.12 전일대비 -10.49 <BR>동 향 : 농산물은 장마가 소강상태로 접어들면서 대부분의 산지에서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졌고, 기온상승으로 인한 소비 감소와 주중 거래로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음. 특히 장마기간동안 강세를 보이던 잎채소류가 큰폭으로 하락하였고, 서양채소류도 물량 증가와 기온상승으로 인한 매기감소로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품목별로는 아욱, 상추, 치커리, 꽈리고추 등의 하락폭이 컸고, 물량이 감소한 얼갈이, 오이는 상승세를 보였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66.85 전일대비 -4.59 <BR>동 향 : 감자는 홍천, 춘천, 인제, 강릉 등 강원도 지역 출하물량이 증가하는 가운데 금일 반입량은 268톤으로 주초인 전일보다는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량이 남아있고 금일 반입량도 많은 편이어서 시세는 소폭 하락세 거래됨.<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0.01 전일대비 -27.01 <BR>동 향 : <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1.56 전일대비 -4.59 <BR>동 향 :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4.52 전일대비 -15.8 <BR>동 향 :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20.77 전일대비 -9.08 <BR>동 향 : 양파는 503톤 반입되었으나 전일 반입물량이 많아 상품기준 8%하락세 거래되었음. 금일 상품가격은 kg당 401원으로 지난 주말이후 오름세에서 하락세로 돌아섬. 대파는 경기도 일원과 지방대파 출하량이 증가하여 234톤으로 지난주이후 가장 많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상품기준 전일대비 25%하락하였음. 지역별 경락가는 고양 950-470원, 구리 720-460원, 여주 820-450원, 남양주 810-450원, 이천 900-520원임. 풋고추는 홍천, 춘천, 공주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전일 보합세, 청양고추도 예천, 밀량, 춘천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전일 과 같은 보합세 거래되었고, 꽈리고추는 당진, 예산, 횡성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전일에 이어 반입량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폭락세를 보이고 있음.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44.01 전일대비 -32.15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58.05 전일대비 -7.06 <BR>동 향 : 버섯류는 전일대비 92%수준인 183톤이 반입되었으나 전일 재고 누적과 매기 주춤으로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31톤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누적으로 중상품 중심으로 약보합세 형성. 양송이 역시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매기가 저조해 약세 장세를 형성하였으며 새송이는 42톤이 반입되면서 전일과 보합세 형성. 생표고는 31톤으로 여전히 반입량이 많은 가운데 지난주에 이어 약세장세를 형성하였으며 그동안 오름세를 보이던 팽이는 반입량이 60톤으로 증가하면서 내림세에 거래됨.<BR><BR>2. 수산물 <BR>가격지수 : 105.42로 전일대비 -1.38 <BR>동 향 : 수산물은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내림세 보임. 생선류는 고등어, 꽁치, 삼치, 대구가 재고누적과 체장이 작아 내림세로 거래되었고, 조개류는 전일 하락세와 조금철 영향으로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바지락, 새꼬막, 홍합이 오름세를 형성하였으며, 연체류는 물오징어가 체장이 작아 약보합세, 수입낙지는 입하량이 크게 늘어나 시세가 급락하여 연체류 하락세를 주도.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2.16로 전일대비 -3.27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여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상품은 체장이 작아 하락폭이 컸음.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강보합세를 보였고,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전일 시세하락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금일에는 소폭의 오름세를 형성함. 꽁치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은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약세에 거래됨. 삼치는 여수산 입하량이 감소하였으나 전일 판매부진으로 인한 재고 누적으로 매수세가 둔화되어 내림세를 보임. 임연수어는 속초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대형품 위주로 입하되어 오름세를 형성함. 병어는 목포산 반입량은 비슷하나 선도가 좋은 여수산 입하량이 감소하여 상품위주로 내림세를 보임. 가자미는 대천산 반입량이 증가하여 내림세를 형성했고, 특히 중?하품이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져 시세 하락폭이 컸음. 활어류는 여름철 비수기 영향으로 요식업체 매수세가 둔화되어 전체적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되었으나 넙치(양식)는 체장이 커 강보합세를 형성. </P><P>&nbsp;</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05.18로 전일대비 +19.05<BR>동 향 : 조개류는 전일 하락세로 장이 형성된 탓에 입하량이 감소하여 오름세를 형성. 충무산 굴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나 기온상승에 따른 선도저하와 소비부진으로 약세에 거래됨.&nbsp; 최근 시세가 부진하였던 국내산 바지락은 조금철 영향에 따른 입하량 감소로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전일 폭락에 따른 입하량 감소와 전체적으로 선도가 좋아져 오름세에 거래. 여수, 통영산 홍합은 거래물량이 감소하고 선도가 좋아 오름세를 보였으며, 특히 상품은 매수세가 활발하여 큰 폭의 상승세를 형성. 소라는 거래 물량 감소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임. 깐바지락은 반입물량 증가로 내림세를 보였음.&nbsp;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01.52로 전일대비 -13.36<BR>동 향 :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던 중국산 수입낙지는 금일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3톤 가까이 늘어나고 전일 고가로 인한 판매부진까지 겹치면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임.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여름 휴가철 영향으로 산지 소비가 증가하면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은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소폭의 하락세를 보임. 전복은 꾸준한 소비수요 증가로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오름세를 보임. 전일 하락세를 형성하였던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고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오만둥이는 물량 증가로 내림세를 형성하였으며 하품은 선도가 떨어져 하락폭이 컸음. </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10.73 &nbsp;+5.08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620톤 반입되어 전일 791톤 대비 22%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수박과 참외 토마토 등 전 품목이 월요일 장이 지나면서 산지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임.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면서 소폭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며, 메론을 제외한 대부분 품목이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토마토 일반종은 106톤 반입되어 전일 148톤 대비 29% 출하량 감소하였음. 일반종은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횡성, 양구지역이 전일대비 5~8% 가량 출하량 감소세를 보였고, 금일 경락시세는 출하량 감소폭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시세는 전일과 비슷했으나, 하품이 17% 가량 오름세를 보였음. 특품은 전일 대비 5% 출하량이 증가한 화천지역과 횡성 및 정선, 경기도 광주지역의 거래량이 많았고, 고랭지 정선지역과 경기 광주지역의 강세가 주목되고 있음. 상품이하는 출하량이 많은 춘천지역과 철원지역 등지였음. <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2.67 &nbsp;+3.91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611톤 반입되어 전일 668톤 대비 9%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복숭아 자두 등 거래량이 많은 품목의 출하량이 줄면서 전체반입량 감소하였음.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강보합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음. 자두는 김천지역이 금주를 지나면서 출하량 감소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여 후무사의 출하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점차 중생종 홍자두의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복숭아는 출하지역이 남부권에서 중부권으로 확산됨에 따라 점점 물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금주 후반부터 영천지역 선프레 출하에서 천홍, 호기도 출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고, 중부권 음성지역 창방 출하 본격화 및 백도계 출하가 이루어 질 전망. 특히 백도계 출하가 시작되면서, 소비층이 늘어나 장세를 주도해 갈 것으로 예상됨.<BR></P><P align=right><BR>- 2005. 7. 19. 서울특별시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59

2005.7.21(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16
1358

05년산 보리생산량 조사 결과첨부파일 있음

2,107
1357

복숭아 반사필름 당도높다

2,366
1356

한-유럽자유무역연합(EFTA) FTA 농업분야 협상첨부파일 있음

2,264
1355

2005.7.20(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188
1354

임업관측정보(밤)

2,058
1353

배추 뿌리혹병 발병 경감기술 개발

2,268
1352

한-EFTA, FTA타결...치즈 등 수입증가 예상

2,333
1351

2005.7.19(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1차)

2,066
1350

주간농사정보(제29회)

2,30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