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7.20(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7-20 | 조회수 | 2189 |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1.03 전일대비 -0.43 <BR>동 향 :농산물은 파세리, 셀러리, 케일 등 서양 채소류가 다소 큰폭의 하락을 보였으며 전일 급락한 잎채소류가 금일 조금 상승 하여 전체 지수는 약 보합선에서 마감함. 마늘과 고구마는 그동안의 하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산지 출하 기피로 하품 물량이 많이 줄어 금일은 하품만 상승하고 나머지 등급은 하락하였고 오이는 단기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로 소폭 가격 회복을 하였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67.11 전일대비 +0.26 <BR>동 향 : 감자는 237톤으로 전일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전일대비 약보합세에 거래되었음. 시세가 낮게 형성되면서 출하보다는 저장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출하지역은 홍천, 서산, 당진, 횡성, 인제며 오늘은 서산, 당진 물량이 증가하였음. 고구마는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큰폭의 하락세를 나타냈음. 고구마 주요 출하지역은 고창, 김제, 해남, 여주임. <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3.95 전일대비 +3.94 <BR>동 향 : <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0.35 전일대비 -1.21 <BR>동 향 : <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4.90 전일대비 -0.38 <BR>동 향 :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14.82 전일대비 -5.95 <BR>동 향 : 양파는 572톤으로 전일대비 증가하였으며 상품기준 2%오름세를 나타냈음. 특품가를 형성하고 있는 포장단위는 12kg망임. 금주중 각급학교가 방학에 들어가기 때문에 현재의 약세가 지속될것으로 보임. 대파는 전일 시세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반입량은 17%감소하였으나 방학등 소비요인 저하로 특품가격만 소폭 오름세 그침. 풋고추, 꽈리고추, 청양고추는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소폭 감소했으나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홍고추는 물량 감소폭이 크게 일어나면서 오름세를 형성하였음.<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32.84 전일대비 -11.17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54.92 전일대비 -3.13 <BR>동 향 : 버섯류는 158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86%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누적과 판매부진으로 약세 장세에 거래됨. 느타리는 28톤으로 전일대비 91%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소비 부진이 지속되면서 2kg 상품이 7,750원에 거래되는 등 약세 장세 형성. 양송이는 전일과 보합세를 형성하였으며 지난주대비 약세 장세 형성. 생표고는 25톤으로 전일보다 18%가량 감소하였으나 월초보다 반입량이 증가한 상황이며 반입량 증가에 따른 시세 하락이 지속되고 있음. 팽이는 산지 출하량 증가로 전일 60톤에 이어 금일 51톤으로 반입량이 다소 많은 가운데 하락세 형성.</P><P> </P><P>2. 수산물 <BR>가격지수 : 105.58로 전일대비 +0.16 <BR>동 향 : 수산물은 주중 매수세 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었으나 금일 반입량 감소로 보합세를 형성. 생선류는 고등어, 병어, 아귀, 대구가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된 반면에, 갈치 꽁치 삼치, 임연수어가 하락세를 보여 보합세를 유지. 바지락, 새꼬막이 기온상승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 연체류는 전일에 비해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하품위주로 입하되어 하락세를 보임. </P><P>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2.85로 전일대비 +0.69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소폭 감소하고 선도가 좋아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음.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높은 가격으로 인한 소비부진으로 금일에는 보합세를 형성함.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비슷하였으나 주중 매수세 둔화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꽁치는 동해안산 반입량이 전일과 동일한 수준이었으나 중품위주로 거래되면서 상품은 내림세를 하품은 하락세를 보였음. 삼치는 여수산 입하량이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감소하였으나 무더운 날씨로 인한 선도저하와 체장이 작아 약세를 보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던 임연수어는 속초산 반입량이 증가하고, 체장이 작은 중?소형품 위주로 입하되어 내림세를 보임. 병어는 체장이 작은 목포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대형품 위주의 여수산 거래 물량이 증가하여 소폭의 오름세에 거래됨. 가자미는 대천산 반입량이 증가하고 선도가 떨어져 내림세를 형성했고, 대구는 반입량이 감소하고 대형품위주로 반입되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활어류는 전일 하락세 영향으로 입하량이 감소하고 체장이 커 대체적으로 오름세에 거래. </P><P>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19.91로 전일대비 +14.73<BR>동 향 : 조개류는 반입 물량 감소로 오름세에 거래. 충무산 굴 반입량은 소폭 증가하였고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약세에 거래. 국내산 바지락은 사리철임에도 불구하고 기온상승에 따른 패사율 증가로 산지 채취작업율이 저조하여 큰 폭의 오름세에 거래됨. 고흥, 벌교산 새꼬막 반입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매기둔화로 보합세를 유지함, 그러나 하품은 일부 선도가 떨어진 물량이 거래되어 하락세를 형성. 여수, 통영산 홍합은 거래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상품위주로 반입되어 오름세를 보임. 소라는 상?하품간 씨알크기 차이가 두드러져 하품은 내림세를 상품은 오름세를 보였음. 깐바지락은 물량 감소로 오름세, 깐홍합은 하품 선도저하로 내림세에 거래됨. </P><P>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95.12로 전일대비 -6.406<BR>동 향 : 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중국산 수입낙지는 금일 반입량이 2톤 가까이 감소하였으나 중국이남지방에서 수입된 낙지가 체장이 커 매수세가 둔화되어 전일 하락세를 이어감.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였고 상?하품간 선도차이가 두드러지면서 상품은 소폭의 오름세를, 하품은 내림세를 형성함. 전복은 체장이 큰 대형품은 오름세를 보인 반면에 하품은 매수세 둔화로 하락세를 보임.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전일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어나면서 하락세를 보였고, 오만둥이는 상?하품간 선도차이가 분명하여 상품은 상승세를 형성한 반면 하품은 매기부진으로 내림세를 보였음. </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13.50 +2.27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741톤 반입되어 전일 620톤 대비 19%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전일 출하량이 적었던 품목의 출하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참외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출하량 증감에 따라 시세등락이 분명한 구별이 이루어져 수박과 참외 일반토마토는 약보합세에 거래된 반면, 방울토마토와 메론은 오름세에 거래되어 전체지수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음. 방울토마토는 강원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현 주산지 수정시기의 일조량 감소로 인한 수정 불량 및 불완전 착과로 수확량이 1/2 가량 감소가 예상되고 있어 도매시장 거래는 수요에 비해 공급량 부족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강세장이 예상됨. 메론은 전남권 담양,순창,나주 등지 출하량이 25일경부터 증가예상되며, 충남권 부여, 공주 등지의 출하량도 증가가 예상되며, 거래단위는 8kg 상자가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됨.<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0.89 -1.78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572톤 반입되어 전일 611톤 대비 6%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복숭아와 배의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였음. 경락시세는 사과가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아오리종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복숭아는 창방과 호기도종은 내림세를 최근 출하량이 늘고있는 백도종은 오름세에 거래되었음. 자두는 홍자두는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후무사종은 소폭 오름세에 거래됨. 복숭아는 유모계열인 창방은 당도 및 상품성 하락으로 시세는 약세를 형성하고 있으나, 백도종류는 맛과 당도가 좋아 강세를 보이고 있고, 천도계열도 물량감소로 강세를 나타냄. 유모계열은 창방에서 백도종류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고 천도계열도 선프레에서 천홍으로 품종이 바뀌고 있음. 전국적 출하분포를 보이는 가운데 주출하지역은 충청 및 경기일원임.<BR></P><P align=right>- 2005. 7. 20.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P align=right><BR>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59 | 2,116 | ||
1358 | 2,108 | ||
1357 | 2,367 | ||
1356 | 2,264 | ||
1355 | 2,189 | ||
1354 | 2,058 | ||
1353 | 2,269 | ||
1352 | 2,334 | ||
1351 | 2,066 | ||
1350 | 2,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