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주간농사정보(제30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7-25 | 조회수 | 2055 |
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 <BR>◈ 본 논 물 관리와 병해충 예방 ◈ 고온기 가축사양과 질병예방 <BR>◈ 밭작물 배수구 정비 및 참깨병해 방제 ◈ 구제역 및 소 부루셀라병 예방 <BR>◈ 고추적기수확과 병해충 예방 ◈ 닭 뉴케슬병 과 가금티푸스 예방 <BR>◈ 과수원 나무관리와 병해예방 ◈ 가축 여름철 일사병과 열사병 예방 <BR>◈ 느타리버섯 폐상 및 가을재배 준비 <P>☞이 주일에 실천 할 농작업 <BR><BR>1. 벼농사 <BR>가. 본 논 관리 <BR>○ 벼는 이삭이 생길 때부터 팰 때까지 물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물관리를 잘 하고 완전물떼기까지는 물걸러대기를 계속 실시하도록 한다. <BR>○ 집중호우로 논둑이 무너진 논은 보수하거나 임시로 갈개를 만들어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한다. <BR>○ 이삭거름은 이삭패기 전 25일경에(어린이삭 1~1.5㎜ 일 때) 주도록 하되 너무 많이 주면 쓰러지기 쉽고 병해충이 많아지며, 쌀의 품질도 나빠지게 되므로 10a에 전용복합비료를 12~14㎏ 정도 주도록 한다. <BR>○ 논두렁, 배수로에 난 풀은 수시로 베어 주어 잡초의 씨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준다. <BR><BR>나. 병해충 방제 <BR>○ 거름기가 많아 잎 색이 짙은 논이나 도열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한 논 등 도열병 발생이 우려되거나 이미 병이 발생된 필지는 서둘러 방제토록 한다. <BR>○ 조생종은 이삭이 패는 시기가 되어 방제를 소홀히 하면 이삭도열병으로 번질 우려가 있으므로 약제에 따라 제때에 방제하도록 한다. <BR>○ 이삭 도열병을 침투성 입제로 방제할 때는 농약에 따라 이삭패기 전 30~10일경에 뿌리고, 수화제는 이삭이 나오기 7일전에서 이삭이 나오기 직전까지 방제토록 한다. <BR>○ 유제나 수화제로 방제를 할 때는 한 논에 벼이삭이 1~2개 보일 때 1차 방제하고 1차 방제 후 5~7일경 2차 방제토록 한다. <BR>○ 고온 다습한 환경이 계속되면 잎집무늬마름병이 빠른 속도로 번지게 되므로 조생종은 이삭 도열병과 동시에 방제하고 중만생종은 발생 정도에 따라 이삭패기 전에 방제토록 한다. <BR>○ 멸구는 논을 잘 살펴보고 방제를 해야 할 필지는 약효가 우수한 적용 약제로 볏대 아랫부분까지 농약이 묻도록 충분한 양을 뿌려 방제한다. <BR><BR>2. 밭 농 사 <BR>○ 논에 심은 콩 등 밭작물은 비가 많이 내려 배수가 잘 되지 않는 포장은 배수구를 정비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BR>○ 최근 콩밭에 노린재 발생이 늘어나는 경향으로 꼬투리가 생기고 콩알이 크는 시기에 약제를 뿌려 피해를 방지한다. <BR>○ 웃자라 쓰러질 우려가 있는 참깨는 줄 지주를 설치해 주고, 노출된 뿌리는 흙으로 덮어 주도록 한다. <BR>○ 요즘 발생하기 쉬운 참깨의 돌림병, 시들음병, 잎마름병은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동시에 예방 위주로 방제하되 반드시 농약혼용가부표를 지키도록 한다. <BR>3. 채 소 <BR><BR>가. 고 추 <BR>○ 붉은 고추는 적기에 수확하여 다음 고추의 자람을 촉진시키고, 건조하기전에는 고추세척기로 세척한다. 그리고 건조기 온도 55℃ 정도에서 48시간 말린 후 하우스에서 2~3일간 햇볕에 말려서 품질이 좋은 건고추를 생산토록 한다. <BR>○ 고추밭이 건조할 때는 점적시설을 이용해서 관수를 하고, 관수시설 설치가 어려운 밭에서는 비닐이나 산야초 등으로 피복을 하여 주시고, 또한 중경을 하는 방법도 있다 <BR>○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을 때는 탄저병과 담배나방, 진딧물 등 해충 발생이 많으므로 정밀예찰에 의하여 적용약제를 살포 한다. <BR><BR><BR>나. 고랭지 무·배추 <BR>○ 알맞은 면적을 분산 파종하여 안정생산이 될 수 있도록 하되 무는 높은 이랑재배를 하고 배추는 육묘 이식재배로 기상재해를 미리 방지토록 한다. <BR>○ 온도가 높으면 생육이 저해되므로 주간에 스프링클러 이용, 차광재배, 비닐 또는 산야초 등으로 피복을 한다 <BR>○ 무사마귀병 발생상습지는 저항성품종을 선택하고 적용약제로 토양혼화처리 후 아주심거나 심기 전에 적용약제에 담갔다 심도록 하되 돌려짓기, 높은 이랑재배, 석회시용, 농기계소독 등을 잘하여 병원균이 전염된다 <BR>○ 반드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토록 하고 약제 종류별로 수확전 사용시기와 살포횟수를 지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토록 한다. <BR><BR>다. 시설채소 <BR>○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강구한다 지리적인 여건을 이용해서 댐의 냉수를 이용한 수막시설을 한다. <BR>○ 지하수를 이용한 에어쿨 시설과 스프링쿨러로 온도를 낮추어 준다 <BR>○ 온도가 높으면 해충의 주기가 빨라지고 밀도가 급속히 높아지므로 <BR>진딧물 등에 대한 예찰을 강화한다 <BR>4. 과 수 <BR><BR>가. 과수원 관리 <BR>○ 왕성하게 웃자란 가지는 나무 안쪽에 그늘을 만들어 꽃눈 발달을 저해하고 병해충 발생을 조장하게 되므로 수관 내부까지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고 약제가 고루 묻도록 웃자란 가지를 정리해 준다. <BR>○ 배수로를 정비하고 바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설을 단단히 고정하며 가지나 원줄기를 받침대로 받쳐 주고 덕 등을 정비하여 준다. <BR>○ 사과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반점낙역병, 복숭아 세균성구멍병, 잿빛무늬병, 포도 갈색무늬병, 노균병, 탄저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과실, 잎, 새가지를 자세히 살펴보고 병반이 보이면 적용약제를 충분히 뿌려 주도록 한다. <BR>○ 점박이응애는 수관 내부와 윗부분을 정밀하게 관찰하여 발견되면 적기에 방제한다. <BR>○ 초생재배 포장에서는 여름철 고온에 따른 토양수분 경합이 되지 않도록 적기에 예초작업을 실시한다. <BR>나. 과실 수확 <BR>○ 수확기 과실은 서늘할 때 익은 과실만 따도록 하고, 복숭아는 눌리거나 부딪치면 과실이 쉽게 물러지므로 취급에 주의하도록 한다. <BR>○ 비가 온 후 바로 과실을 수확하게 되면 당도가 낮아져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비가 그친 후 2~3일 지나 수확을 하도록 한다. <BR>○ 수확한 과실은 서늘한 곳에서 규격별로 선별한 뒤 포장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 <BR><BR>5. 화 훼 <BR>○ 겨울철에 출하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국화는 고온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30% 해가림을 해 준다. <BR>○ 안개초를 삽목재배 할 때에는 삽수를 채취하기 전에 적용 살균제를 살포하고 삽수의 기부에는 발근제를 분의 처리한 후에 삽목하는데, 삽목상은 40% 정도 해가림을 해 주어 활착률을 높이도록 한다. <BR>○ 아이리스를 촉성재배 하기 위한 종구 저온처리는 온도 8℃에서 30~60일간 실시하도록 한다. <BR>○ 시설화훼는 고온기 환기관리에 유의하여 장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병해충은 초기에 방제하여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BR><BR>6. 특용작물 <BR>가. 느타리버섯 재배 <BR>○ 재배를 마친 재배사는 폐상을 소독하고, 입상을 할 때는 배지의 살균작업을 철저히 하도록 하고, 재배사 주변에는 살충제를 뿌려 해충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BR>○ 재배사가 밀집된 곳에서는 병해충을 예방하더라도 인근 재배사에서 병원균이 쉽게 이동되어 예방효과가 떨어지므로 가급적 공동소독으로 소독효과를 높인다. <BR>○ 가을재배 시기가 다가오므로 볏짚이나 폐면 등 우량배지와 종균 등 자재를 미리 확보하여 재배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BR><BR>나. 가을 누에치기 <BR>○ 가을누에를 치기 위해서는 늦어도 누에떨기 2일전까지는 잠실, 잠구의 소독을 마치도록 한다. <BR>○ 잠실은 포르말린 2%액이나 양잠하라솔 20배액을 3.3㎡(1평)당 3리터 정도 뿌려 소독한다. <BR>다. 약용작물 <BR>○ 인삼밭이 과습하면 뿌리 적변, 뿌리 부패 및 조기낙엽 등이 발생하여 품질이 나빠지므로 해가림 시설을 보완하여 누수를 막고,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한다. <BR>○ 인삼 및 약초류에 병해충 방제는 불가피하지만, 농약안전성이 가장 큰 문제가 되므로 반드시 적용약제를 선택하고,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농산물이 생산되도록 한다. <BR><BR>7. 축 산 <BR><BR>가. 가축 사양관리 <BR>○ 사료 보관창고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배합사료를 너무 많이 쌓아 두면 상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1주일 정도의 소요량을 구입하도록 한다. <BR>○ 무더운 날씨에는 가축이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해야 하므로 물 나오는 양을 수시로 점검한다. <BR>○ 여름철은 닭 사육밀도에 따라 고기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환기를 철저히 해주면서 사육하는 마리당 면적을 10~20% 정도 넓혀 사육하도록 한다. <BR><BR>나. 초지ㆍ사료작물 관리 <BR>○ 방목은 아침, 저녁으로 실시하되 목초의 고온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목초의 길이가 10~20㎝ 정도 유지되도록 방목 강도를 조절한다. <BR>○ 올해 초지를 신규로 조성할 대상지는 잡초약을 미리 뿌려 잡목, 산야초 등 장애물 제거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BR>○ 비바람으로 쓰러진 옥수수와 수수류는 작업이 가능하면 빨리 베어서 품질 저하와 수량 감소를 줄이도록 한다. <BR><BR>다. 가축 질병 예방 <BR>○ 축사는 충분한 통풍환기를 시키고 분뇨를 제거하여 적정습도를 유지하고 유해가스를 줄여 주어야 한다. <BR>○ 고온에 의한 가축의 기립불능증, 열사병 예방을 위하여 선풍기를 이용 바람을 불어주거나 머리 등에 시원한 물을 뿌려주어 체온을 내려주고, 축사에는 햇빛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그늘막이나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온도를 내려주도록 한다. <BR>○ 모기, 파리 등 유해 곤충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축사 주변 물웅덩이를 제거하고, 유효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모기퇴치전구, 살충등을 이용하여 가축에 접근을 막도록 한다. <BR>○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재발방지를 위하여 수요일에는 축사안팎을 소독하고, 평상시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BR>○ 인수공통전염병인 소 부루세라병, 결핵병 및 광견병의 예방을 위하여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축사 내·외부를 소독한다. <BR>○ 돼지 이유후전신소모성질병 예방을 위해 사육밀도를 낮추고 사육환경을 개선하도록 한다. <BR>○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의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백신접종을 실시한다. <BR>○ 가축분뇨 퇴비장은 적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액비 저장탱크는 폭기와 교반을 잘 하여 완전히 부숙시켜 악취와 유해성분이 제거된 액비를 이용하도록 한다. <BR>☞ 과체류 관측월보(농촌경제연구원) <BR>7~8월 토마토 출하량 급증으로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7~8월 일반토마토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23%, 방울토마토는 20% 내외 늘 것으로 보여 토마토의 가격하락 우려. 7~8월 과채류 출하량은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여름과일의 출하시기와도 겹쳐 가격은 지난해보다 하락할 전망. 7~8월 과채류 정식의향면적은 지난해보다 일반토마토 24%, 방울토마토 30%, 수박 5% 정도 늘 것으로 전망. <BR>■ 7~8월 수박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7~8월 수박 출하면적은 지난해보다 각각 9%, 3% 많을 전망. 7~8월 수박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많고, 복숭아, 포도 등 대체과일의 출하량도 많을 것으로 보여 7~8월 수박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 7~8월 수박 정식면적은 지난해보다 3~6% 많을 전망. 포전거래가격은 지난해보다 29% 낮은 수준. <BR>■ 7월 참외 출하량은 작년보다 많고, 8월은 적을 듯 <BR>7월 참외 출하면적은 지난해보다 조금 많고, 8월은 6% 감소할 전망. 7월 참외 출하량은 참외 넝쿨의 세력이 좋아 지난해보다 조금 많을 듯. 8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8% 적을 전망. 7~8월 참외가격은 수박, 복숭아, 포도 등 대체과일의 출하량 증가로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 연장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2% 적을 전망. <BR>■ 7~8월 토마토 출하량은 작년보다 많을 전망 <BR>일반토마토는 출하면적과 단수가 증가하여 7~8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3% 내외 많을 전망. 토마토 품질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조금 좋을 것으로 보이나 대체과일의 물량이 지난해보다 많고, 토마토 출하량이 크게 늘어 7~8월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겠음. 작년 하반기 토마토 가격이 높아 6월 토마토 정식면적은 32% 증가하였고, 7~8월은 지난해보다 24% 정도 늘어날듯. <BR>■ 7~8월 방울토마토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7~8월 방울토마토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증가하여 지난해보다 20% 내외 많을 전망. 7~8월 방울토마토 가격은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많고, 대체과일 물량도 늘어 지난해보다 낮겠음. 6월 방울토마토 정식면적은 19% 증가하였고, 7~8월은 각각 35%, 25% 정도 늘어날 듯. <BR>■ 7~8월 오이 출하면적은 작년보다 5% 늘 듯 <BR>7~8월 오이 출하면적은 지난해 출하기 가격이 좋아 백다다기 오이 정식이 조금 늘고, 취청, 가시오이도 늘어 5% 정도 증가할 전망. 7월 오이 출하량은 출하예정면적이 증가하고, 단수도 조금 높아 지난해보다 8% 많겠음. 8월은 단수가 낮아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조금 적겠음. 7~8월 오이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겠음. <BR>■ 7~8월 애호박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듯 <BR>애호박은 지난해 출하기 가격이 높아 7~8월 노지재배 출하면적이 6~11% 늘 전망. 7월 애호박 출하량은 집중호우, 고온 피해를 입었던 지난해보다 단수가 크게 늘어 19% 많겠음. 8월 단수는 지난해보다 조금 낮으며, 출하량은 8% 많을 전망. 7~8월 출하량은 평년보다도 조금 많은 양이 될 듯. 7~8월 애호박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 단호박 수입은 소비의 증가로 지난해보다 21% 증가하였음.</P><P> </P><P align=right>- 2005. 7. 25. 농촌진흥청 -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69 | 1,999 | ||
1368 | 2,040 | ||
1367 | 2,055 | ||
1366 | 2,113 | ||
1365 | 2,293 | ||
1364 | 2,089 | ||
1363 | 2,069 | ||
1362 | 1,956 | ||
1361 | 2,090 | ||
1360 | 2,2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