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7.26(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26 조회수 1999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4.83 전일대비 -1.72 <BR>동 향 :농산물은 계속되는 폭염으로 인해 소비 부진이 이어 지고 있으며 전체 시세는 약 보합세로 거래됨. 서양채소류와 잎채소류가 비교적 큰폭의 하락을 보였고 뿌리 채소류와 열매 채소류가 상승하였음. 특이 품목으로는 중복이 지나며 미나리가 큰폭 하락을 보였으며 기타 잎채소류가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애호박은 7월 중순이후 계속 하락 하다가 전일과 금일 가격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으로 마감.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71.49 전일대비 +0.36 <BR>동 향 : 감자는 계속이어지는 무더위와 폭염으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져 반입량이 지난주에 비해 크게 감소했음에도 소폭 오름세에 그침. 금일 반입량은 208톤으로 전일에 비해 7%증가하였으며 전일 보합세 거래되었음. 금주 시세는 반입량 감소로 지난주에 비해 상자당 500-1,000원 정도 오름세 거래되고 있음. 고구마는 지난 주말이후 60-70톤 반입되고 있으나 수요가 늘지않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음.<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4.73 전일대비 -7.65 <BR>동 향 :&nbsp; 배추는 반입량이 많았던 전일 보다는 33%감소한 621톤 반입되었으며 태백, 정선, 평창, 강릉, 삼척, 양구지역에서 출하되었음. 전체적인 반입량은 큰 감소를 보였으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물량이 많아 특품가는 하락하였으며 상품이하 등급에서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금일 출하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태백 4,280,000원, 평창 4,270,000원, 정선 4,170,000원, 강릉 3,450,000원임. 양배추는 314톤으로 주중 물량으로는 많은 양이 반입되면서 큰폭의 하락세에 거래되었음. 최근 시세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산지 작업량 증가로 큰폭의 하락세 형성함.<BR>상추는 이천, 논산, 충주, 용인, 광주 등 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10%감소한 58톤 반입되었으며 주중 소비 부진으로 상품기준 9%내림세 거래되었음. 시금치는 전일대비 5%증가한 39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15%하락하였음. 깻잎은 금산지역에서 대부분 출하되고 있으며 밀양과 경산지역에서 일부 출하되고 있고 금일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크게 감소한 44톤 반입되었으며 전일 많은 양이 반입되면서 재고량이 남아 상품기준 10%하락세 거래되었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3.79 전일대비 +8.72 <BR>동 향 : 오이 백다다기는 전일 주초 이틀 물량이 반입되어 461톤이 반입되어 보합세를 형성하였으나 금일 347톤으로 반입량이 전일대비 75%수준으로 감소하여 오름세 형성. 최근 가정과 요식업소의 수요 증가로 매기가 활발한 편임. 주산지는 강원 홍천과 충남 서산 등지로 금일 강원 홍천에서 출하된 물량이 100개에 23,000원에 거래되면서 최고가 형성. 취청 역시 대형 유통업체와 식자재업체 등의 주초 주문 증가로 강보합세 형성. 반입량은 75톤으로 전일대비 76%로 감소하였으나 지난해 대비 96%수준으로 비슷한 편임. 노각은 특상품은 오름세, 중하품은 품질저하로 내림세를 보여 등급간 가격차가 벌어짐. 가시오이는 보합세에 거래됨. </P><P>호박은 반입량 감소와 주초 판매 호조로 대체로 오름세를 형성하고 장 매기가 활발하였음. 애호박은 반입량 감소로 강세 장세를 보였으며, 강원, 충남북, 경기 등지에서 반입이 이루어지고 있음. 금일 강원 화천군에서 출하된 애호박이 20개에 10,000원에 거래되며 최고가 형성. 단호박은 식자재업체의 주문 증가로 상승세 형성. 전일 물량 증가에 따른 저가 형성으로 중도매인의 수요가 증가하였음. 쥬키니는 반입량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보였고, 늙은 호박 역시 전일대비 65%반입수준을 보이며 오름세에 거래됨.</P><P><BR><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13.94 전일대비 +10.02 <BR>동 향 : 무는 전일보다 3%감소한 410톤 반입되었으며 평택, 서산, 예산, 화성지역에서 마무리 출하되고 있으며 강원도 준고랭지 물량이 증가하고 있음. 금일 반입량은 전일과 비슷하였으나 전일 시세하락과 주초 소비증가로&nbsp;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금일 시세는 오름세 거래되었음. 금일 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화성 5,650,000원, 태안 4,950,000원, 홍성 4,680,000원, 예산 4,600,000원, 홍천 4,470,000원, 정선 3,730,000원임.<BR><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11.72 전일대비 -4.20 <BR>동 향 : 양파는 학교 방학과 무더위로 구매력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금일 반입량이 488톤으로 감소하였음에도 상품기준 전일대비 3%하락세 거래되었음. 대파는 지난주 금요일 이래 반입량이 급감하면서 오름세를 보였으나 금일 물량이 크게 증가한 189톤 반입되면서 상품기준 15%하락하였음. 산지 물량은 많지 않으나 반입물량의 증감에 따라 시세의 오름세와 내림세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풋고추와 청양고추는 반입량이 주초인 전일에 비해서는 감소하였으나 지난주에 비해서는 물량이 10톤 정도 증가하여 반입되었으며 전일 보합세이며 꽈리고추는 전일대비 19%감소한 35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39% 오름세를 보였음. <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14.86 전일대비 -19.91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4.75 전일대비 -1.63 <BR>동 향 : 버섯류는 15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89%수준을 보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으로 지수하락세 형성. 느타리는 특상품은 강세, 중하품은 하락세에 거래되어 등급간 가격차가 벌어짐. 반입량은 감소추세로 26톤 반입. 양송이는 14톤이 반입되었으며 약보합세 형성. 학교 급식 중단으로 가격상승이 어려움. 생표고는 이번주 들어 반입량이 감소하는 추세로 19톤이 반입되었으며전일과 보합세를 형성하였음. 팽이는 53톤으로 전일에 이어 반입량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시세는 보합세 형성.<BR><BR>2. 수산물<BR>가격지수 : 104.94로 전일대비 -2.40<BR>동 향 : 수산물은 전일 물량이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으나 고등어, 명태냉장수입, 삼치가 상승세를 보여 보합세를 형성. 조개류는 고막, 바지락, 깐홍합이 매기둔화로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연체류는 물오징어, 낙지가 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품위주로 거래되어 내림세를 보임.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2.49로 전일대비 +0.50 <BR>동 향 : 고등어는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부산산 생물반입량이 감소하여 재고가 소진되면서 강보합세를 보였으나 냉동고등어는 반입량 증가로 약세를 형성함. 수입냉동명태는 러시아산 입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전일과 비슷하게 입하되었으나 체장이 작고 전일 중복의 영향으로 소비가 둔화되어 내림세를 보임. 꽁치는 동해안산이 꾸준한 반입물량을 유지하여 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삼치는 전일 시세하락에 따른 여수, 사천산 입하량이 감소하면서 중소형품 위주로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임연수어는 속초산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대형품위주로 거래되어 보합세를 형성. 병어는 선도가 좋은 여수산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상품위주로 하락세에 거래됨. 가자미는 대천산 물량이 증가하여 하락세를 보였고, 중국산 수입조기도 입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됨. 아귀는 중복의 영향으로 요식업체 매수세가 둔화되어 약세에 거래되었으며, 대구는 체장이 큰 울진, 삼척산 위주로 거래되고 입하량도 감소하여 상승세를 형성함. 활어류는 전일 중복의 영향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양식활어 위주로 약보합세를 나타냄.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82.23로 전일대비 -2.67<BR>동 향 : 충무산 굴은 최근 시세부진으로 인하여 반입량이 감소하고 상?하품간 선도차이가 극명하여 상품은 큰 폭의 오름세를 보임. 국내산 바지락은 전일 물량이 판매부진으로 재고가 누적되어 금일 입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보임.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입하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기온상승에 따른 선도 저하로 약보합세를 보임. 홍합은 여수, 통영산 물량이 소폭 감소하여 하품위주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상품은 보합세를 유지함. 깐홍합은 선도저하와 외식업체 매수세 둔화가 동반되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해남산 전복은 시세 부진에 따른 출하량 감소와 전일 중복에 따른 요식업체 재고가 고갈되어 오름세에 거래됨.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6.11로 전일대비 -10.83<BR>동 향 : 높은 시세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산 수입낙지는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고가에 따른 판매부진과 중국이남에서 출하되는 체장이 큰 물량이 소량 입하되면서 중?하품 위주로 하락세를 형성.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휴가철 영향으로 체장이 큰 상품은 대부분 현지에서 소비되고 가락시장에는 중?소형품 위주로 반입되면서 내림세에 거래. 쭈꾸미는 베트남산이 주로 입하되고 있으며 시세는 보합세를 형성.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씨알이 커 약보합세에 거래되었고, 오만둥이도 선도저하로 매수세가 부진하여 약세를 보임. </P><P>&nbsp;</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14.21 &nbsp;-8.45P<BR>동 &nbsp; 향 : 채소과일류는 742톤 반입되어 전일 882톤 대비 16%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수박을 중심으로 전 품목의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며, 경락시세는 전일이자 중복인 월요일 장이 지나면서 할인매장 등 대형구매처의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내림세에 참외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에 거래됨. 토마토 일반종은 125톤 반입되어 전일 179톤 대비 30% 출하량 감소하였음. &nbsp;춘천지역은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28% 가량 출하가 이루어졌으며, 횡성이 17.8%, 화천이 10.9% 정선이 10.7% 기타 인제와 총천이 5~7% 출하가 이루어져 춘천지역은 물량이 감소하는 반면 횡성을 중심으로한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세에 있음. 금일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형구매처인 수요가 감소하였고, 하계방학과 휴가시즌으로 인해 수박 등 찬 과일의 상대적 수요가 늘어나면서 시세는 내림세에 거래됨. 또한 5kg 상자는 전체 거래량의 5% 가량이 거래되었으며, 춘천과 보성지역에서 출하되었고, 시세는 춘천과 청도, 김천지역의 친환경인증품이 좋은 시세를 받았음.<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12.72 &nbsp;-6.03P<BR>동 &nbsp; 향 : 나무과일류는 625톤 반입되어 전일 804톤 대비 22%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복숭아, 포도, 자두 등 제철과일의 출하량이 감소하였고, 경락시세는 전일이자 중복일인 월요일장이 지나면서 대형구매처 수요가 감소하였고, 방학과 휴가시즌으로 수박 등 찬 과일류의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복숭아는 창방에서 백도 품종으로 출하 물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시세 강세로 인해 반입량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선프레 등 천도계열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BR></P><P>&nbsp;</P><P><BR>&nbsp;</P><P align=right>&nbsp;- 2005.7.26.서울특별시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69

2005.7.26(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999
1368

"한국농업 살 길은 유기농산물 재배"

2,039
1367

주간농사정보(제30회)

2,054
1366

2005.7.25(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12
1365

한국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닭요리는?

2,293
1364

우유-생산량 감소 ‘찔끔’, 소비량 감소 ‘뭉텅’

2,089
1363

´유기 닭고기´도 나왔다

2,068
1362

주간예보(7월25일 ~ 7월29일)

1,956
1361

2005.7.22(금)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089
1360

노지에서 복숭아 무농약 재배 성공

2,26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