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7.27(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7-27 | 조회수 | 2188 |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97.69 전일대비 -5.04 <BR>동 향 : 농산물은 계속되는 폭염으로 인해 소비 부진이 이어 지고 있으며, 전체 시세는 약 보합세로 거래됨. 양념채소류와 잎채소류가 하락세를 형성하였고, 고구마, 감자가 상승하였음. 특히 품목으로는 소비가 부진한 적상추, 풋고추 등이 큰 폭 하락을 보였으며, 기타 버섯류와 뿌리 채소류가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늙은 호박은 상품성 좋은 햇품이 반입되면서 가격은 강보합세를 나타냈슴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81.79 전일대비 +10.30 <BR>동 향 : 감자는 서산, 당진, 평창, 횡성, 홍천 등 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대비 3%감소한 201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8%오름세 거래되었음. 휴가철과 방학을 맞아 매기는 부진한 편이며 반입량도 지난주에 비해 감소하였음. 홍천, 평창, 횡성 등 강원도 지역 출하품이 고가를 형성함. 고구마는 익산, 이천, 신안, 해남, 완주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대비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강보합세 거래됨.<BR><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91.62 전일대비 -13.11 <BR>동 향 : 배추는 전일 시세가 오름세를 보이자 전일대비 7%증가한 664톤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8%내림세 거래되었으며 상품성 하락으로 중, 하품의 내림세가 컸음. 지역별 출하비율은 정선 22%, 태백 22%, 평창 18%, 삼척 10%, 횡성 7%, 홍천 5%, 양구 4%이며 정선, 평창, 삼척에서 출하된 물량이 상품성이 양호해 높은 거래가를 보였음. 상추는 전일과 비슷한 57톤 반입되었으나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재고량이 많아 큰폭의 하락세를 나타냄. 시금치는 전일대비 5감소한 18톤 반입되었으나 상품기준 8%하락세 거래되었으며 깻잎은 전일에 비해 3%감소한 43톤 반입되었으며 7%오름세 거래되었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3.71 전일대비 -0.08 <BR>동 향 : 오이 백다다기는 331톤으로 전일대비 95% 반입 수준을 보였으나 주중 판매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강원 철원과 홍천, 충남북 일원에서 반입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 오늘 최고가는 강원 홍천군산으로 100개에 22,000운에 거래되어 전일 최고가보다 1,000원 하락함. 취청은 80톤으로 전일 반입량보다 7%증가하였으며 유통업체의 수요가 있는 20kg상품을 제외하고 모두 소폭 하락세 형성. 전일 보합세에 거래된 가시오이는 주중 매기부진으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며 노각 역시 전일 가격 상승으로 인한 중도매인 구매부담으로 하락세에 거래됨.</P><P><BR>호박은 애호박은 159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87%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유통업체와 식자재업체등 뚜렷한 매기 요인이 없어 보합세 형성. 강원 화천, 양구와 경기지역의 우수 상품이 눈에 띄며 강원 화천군의 상품이 20개에 9,000원으로 최고가 형성. 단호박은 전일보다 8톤 증가한 48톤이 반입되었으며 중상품은 보합세, 하품은 납품업체의 주문 증가로 오름세 형성. 늙은 호박과 쥬키니는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전일 재고 소진과 소비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됨.</P><P><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9.25 전일대비 -4.69 <BR>동 향 : 무는 전일대비 7%감소한 382톤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출하비율은 태안 25%, 홍천 13%, 화성 11%, 양구 8%, 횡성 8%, 정선, 봉화 7%임. 전일 소비부진으로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소비가 부진하고 상품성이 떨어져 상품기준 3% 하락세에 거래되었음. 금일 최고 거래가는 태안산 5,680,000원, 홍천 4,370,000원임. 강원지역 양구, 횡성산은 상품성이 떨어져 중, 하품 시세를 형성함.<BR><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0.85 전일대비 -10.87 <BR>동 향 : 양파는 전일대비 20%증가한 488톤 반입되었으나 낮은 가격과 무더위로 산지 작업량이 크게 감소하여 시세는 상품기준 2%오름세 거래되었음. 금주들어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지난주에 비해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나 표준가격에 비해서는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음. 대파는 211톤으로 전일대비 12%증가하면서 하락세가 컸음. 전일대비 상품기준 19%내림세 거래되었으며 지역별 거래가는 이천 1120-700원, 여주 1060-330원, 구리 1100-730원, 고양 1160-720원, 남양주 1110-630원, 안성 1320-650원, 강릉 1210-650원임. 풋고추는 산지 작업량 증가로 금일 반입량은 64톤이며 큰폭으로 하락하였으며 꽈리고추와 청양고추는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하락세 거래되었음. <BR><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111.15 전일대비 -3.71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67.81 전일대비 -6.94 <BR>동 향 : 버섯류는 169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08%수준으로 증가하여 지수하락세 형성. 반입량 증가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이번주 들어 내림세에 거래됨. 느타리는 23톤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특상품의 경우 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으로 구매율이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며 중하품은 소폭 오름세 형성. 식자재업체 유통업체 등의 수요가 꾸준한 편임. 양송이는 17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좀처럼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아 하락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산지 작황이 좋아 22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소비 판매가 부진하면서 내림세 보임. 4kg 상품이 27,000원에 거래됨. 팽이는 65톤으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휴가철 팽이 소비가 많이 형성되고 있어 증가폭 대비 하락세는 크지 않음. <BR><BR>2. 수산물<BR>가격지수 : 104.81로 전일대비 -0.13<BR>동 향 : 수산물은 반입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매수세 둔화로 보합세를 유지.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대구가 재고 누적으로 내림세에 거래. 조개류는 고막, 바지락, 가무락 입하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를 형성하였으며, 연체류는 물오징어, 미더덕, 오만둥이가 물량 증가와 선도 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냈음. </P><P>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0.22로 전일대비 -2.27 <BR>동 향 : 고등어는 전일 가격 상승에 따른 판매 둔화로 금일 반입량이 감소하였음에도 하락세에 거래. 수입냉동명태는 러시아산 입하량 감소로 상품 중심으로 시세가 상승하였으며,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소폭 증가하고 체장이 작은 품목 입하량 증가로 하품 시세 하락폭이 컸음. 꽁치는 동해안산이 입하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대형품 위주로 거래되어 오름세를 형성. 삼치는 여수, 사천산 입하량이 전일에 이어 금일에도 감소한데다 체장이 커 상품 오름세가 두드려졌음. 임연수어는 속초산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수입물량 감소로 보합세를 유지하였고, 병어는 선도가 좋은 여수산 반입량이 증가하여 하품중심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가자미는 대천산 물량 거래는 비슷하였으나 하품 선도 저하로 하품이 약세를 보였음. 중국산 수입조기는 전일 반입량 증가로 인한 재고 누적으로 약세에 거래됨. 대구는 삼척, 울진산 금일 반입분이 체장이 작아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약보합세를 보였음. 활어류는 기온 상승으로 비수기가 형성되어 전반적으로 약세에 거래되었으나 다만 활돔(자연산)이 체장이 커 오름세에 거래됨. 장어는 중국산 발암물질 검출 보도로 인하여 거래량은 부진하나 금일까지 시세 하락폭은 미미한 편임.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90.24로 전일대비 +8.01<BR>동 향 : 충무산 굴은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나 고흥산 자연굴이 선도저하로 시세가 하락하여 내림세를 보임. 국내산 바지락은 조금철 영향과 산지 무더위로 작업량이 감소하여 오름세에 거래. 고흥, 벌교산 새꼬막은 반입 물량이 소폭 감소하고 스티로폼 박스 포장의 씨알이 굵은 상품위주 거래로 강보합세를 형성. 홍합은 여수, 통영산 물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요식업체 매수세 둔화로 보합세를 형성하였고, 깐홍합은 판매부진으로 매기가 둔화되어 약세에 거래됨. 소라는 중품이 씨알이 커 상승세를 보인 반면에 상품은 매수세가 중품으로 옮겨가면서 약보합세를 보임. </P><P>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4.51로 전일대비 -1.60<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체장이 중간정도인 물량 거래가 늘어나 상품은 약세를 보였으나, 대형품 입하량은 감소하여 하품은 강보합세에 거래. 삼척, 거진, 속초산 물어징어는 조업 호황으로 인한 반입량이 40톤 정도에 이르러 시세 하락폭이 큼. 마산, 진동산 미더덕은 입하량이 전일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늘어나고 일부 냉동물량이 거래되면서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오만둥이는 미더덕 물량증가에 따른 대체수요 감소와 씨알이 커 내림세를 보였음. 포항산 우렁쉥이는 선도가 다소 떨어져 상품 중심으로 약보합세에 거래됨. </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109.30 -4.91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802톤 반입되어 전일 742톤 대비 8%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참외와 토마토 메론이 내일부터 우천예보로 인해 출하를 서두른 농가가 많아지면서 반입량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증가한데다 주중반 매기가 약화되었고, 날씨까지 흐리면서 전반적 수요 감소로 수박과 참외 토마토 등이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전체지수 하락세에 거래됨. 토마토 일반종은 강원 화천 및 철원 김화지역 물량 증가되는 추세이며 작황은 평균작으로 출하량 증가가 예상됨.<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07.46 -5.26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698톤 반입되어 전일 625톤 대비 12%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복숭아와 자두가 비가오기전 출하를 서두른 농가가 늘어나면서 반입량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중복이후 과일류 전반적 수요부진으로 내림세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금일은 주중반에 흐린날씨로 인해 내림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음. 복숭아는 당도와 맛이 좋은 미백종은 오름세에 거래되었으나, 기타 품종은 내림세에 거래되었고, 포도 역시 켐벨과 거봉종 모두 내림세에 거래됨. 자두는 출하끝물인 홍자두는 내림세에 거래되었으나, 후무사는 오름세에 거래됨. 한편 복숭안 천도 종류는 무름과 발생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털복숭아는 품종변화시기가 오면서 조생종인 창방, 호기도 등은 하락세에 거래됨. <BR></P><P><BR> </P><P align=right>- 2005. 7. 27.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79 | 2,039 | ||
1378 | 2,147 | ||
1377 | 1,948 | ||
1376 | 2,039 | ||
1375 | 2,003 | ||
1374 | 2,324 | ||
1373 | 2,105 | ||
1372 | 2,188 | ||
1371 | 2,305 | ||
1370 | 2,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