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대만의 청과물유통 현황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7-27 조회수 2105
<P><FONT face=한컴돋움>대만은 중앙에 4,000미터급 산이 있어 서쪽과 동쪽의 기후가 매우 다르다. 또한 사계(四季)를 느낄 수 있는 대북(臺北)지역부터 대중(臺中)?대남(臺南)지역의 아열대기후까지 해발의 차이, 한난(寒暖)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설탕, 쌀, 양돈, 과일, 채소, 화훼 등 농업이 번성했다. 청과물은 도매시장에서 경매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매시장은 청과물유통의 중핵(中核)을 담당한다. </FONT></P><FONT face=한컴돋움><P><BR>&nbsp;&nbsp; 그러나 최근 수년 사이 국제화의 진전 및 수입 청과물 증대로 인해 시장외 유통량이 확대되는 경향이다. 이러한 시장외 유통은 대만 국내의 유통구조를 흔들어 놓음과 동시에 도매시장의 경영을 위협하고 있다. 지금까지 도매시장의 판매처는 소규모 소매점이 중심으로, 소매점은 시장에서 구입한 신선품 등을「재래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판매해 왔다. 그러나 최근 수년 외국계자본 등의 슈퍼가 증가하면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도 다소 변화가 보이기 시작했다. </P><P>&nbsp;</P><P>&nbsp;&nbsp; 슈퍼는 산지와 직접 계약을 통해 물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도매시장을 궁지로 내모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재래시장」에 대한 지지도 뿌리 깊은 면이 있어 향후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슈퍼주도형 유통으로 이행(移行)해 갈 것인지가 주목된다. 인구 약 2,300만명 중 농업인구는 약 370만명(약36%)이다. 채소재배면적은 2002년 약 18만 헥타르로, 최근 10년 사이 7%나 감소했다. 게다가 농업인구는 약 50만 명이나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350만톤으로, 10년 전에 비해 50만톤 늘었다. </P><P>&nbsp;</P><P>&nbsp;&nbsp; 이것은 생산기술향상 및 품종개량 등의 결과라 할 수 있다. 2002년 세계무역기구(WTO)에 정식 가입을 계기로 청과물 수출확대를 도모하여 대일(對日)수출을 목적으로 포장(圃場)정비, 적성(適性)품종재배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의 바나나, 파인애플 등 아열대과일에다 양상추, 당근, 파, 죽순, 양배추 등 채소류도 중점 품목이 되고 있다. </P><P>&nbsp;</P><P>&nbsp; 또한 트레이스 어빌리티(생산?유통이력추적관리)에도 매우 관심이 높다. 지역간 임금격차가 확대되는 가운데 대만 국내의 수요 확대도 중요한 테마이다. 또한 산지의 생산의욕을 높이기 위해 과일 뿐 아니라 채소생산에도 힘을 기울여 수출확대를 달성함으로써, 농촌지역의 활성화에 공헌하고자 하는 생각도 강하다. <BR></P><P align=right>- 2005. 7. 26. 농촌진흥청 - </P></FONT>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379

[축산] 닭고기 수입 작년비 73% 폭증

2,039
1378

농업·농촌경제 동향 2005년 여름호첨부파일 있음

2,147
1377

WTO/DDA 농업협상 최근 동향첨부파일 있음

1,948
1376

2005.7.28(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039
1375

노지복숭아도 무농약시대 ‘활짝’

2,003
1374

농업대국 프랑스, 2004년 가구당 직불보조금 2,400만원

2,324
1373

대만의 청과물유통 현황

2,105
1372

2005.7.27(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2,187
1371

노지고추 접목재배 등 새 기술에 대한 반응 좋아

2,305
1370

축산물검역실적(2005년 7월중순 )입니다.첨부파일 있음

2,09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