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8.1(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8-01 | 조회수 | 2159 |
<P>1. 농산물 <BR> <BR>가격지수 : 98.49 전일대비 1.67 <BR>동 향 : 농산물은 주초를 맞아 잎채소류와 뿌리채소류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서양채소류, 버섯류가 반입량 감소 및 주초 매수세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소폭의 가격지수 상승 주도함. 잎채소류중 양배추, 배추가 주말 작업분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하락세로 거래되었고 뿌리채소류인 무 또한 반입량이 늘어나고 본격적인 휴가철 도래에 따른 소비수요 감소 영향 탓에 거래가 부진하면서 시세 하락. 서양채소류중 셀러리와 케일 등은 반입량이 크게 줄은데다 주초 수요증가로 오름세를 보였고 버섯류는 표고, 팽이, 양송이가 출하량이 줄면서 상승세를 주도함. <BR> <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94.12 전일대비 1.19 <BR>동 향 : <BR> <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5.26 전일대비 -1.52 <BR>동 향 : <BR> <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70.26 전일대비 -1.06 <BR>동 향 : <BR> <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9.02 전일대비 -4.7 <BR>동 향 : <BR> <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96.59 전일대비 -2.23 <BR>동 향 : <BR> <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94.03 전일대비 5.38 <BR>동 향 : <BR> <BR>◈ 버섯류 <BR>가격지수 : 68.25 전일대비 8.92 <BR>동 향 : 주초 우천으로 인해 버섯류 반입량은 전일대비 99%수준인 147톤 반입. 반입량 감소와 주초 식자재업체와 유통업체의 주문량 증가로 지수 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29톤이 반입되어 전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식자재업체와 유통업체의 주초 수요가 부진하면서 상승세를 형성하지 못하고 보합세에 머무름. 2kg 상푸미 9,250원에 거래됨. 양송이는 주초 주문량 증가로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반입량은 12톤. 충남 부여군에서 출하된 물량이 13,000원에 거래되면서 최고가 형성. 새송이는 40톤으로 지난주와 반입수준은 비슷하나 주초 판매호조를 보이며 오름세에 거래됨. 생표고 지난달 반입량 증가세를 보이며 비교적 약세 장세를 형성하였으나 주초 수요 증가를 보이며 상승세 형성. 팽이는 49톤으로 반입량이 꾸준한 가운에 지난 주말과 보합세 형성. </P><P> </P><P>2. 수산물<BR>가격지수 : 112.04로 전일대비 -2.74<BR>동 향 : 수산물은 휴가철 성수기를 맞아 매수세가 둔화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삼치, 갈치, 아귀가 판매 부진으로 하락세를 형성. 조개류는 바지락, 고막, 깐홍합이 주초 매수세 호황으로 오름세를 보였으나 굴 이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하여 보합세 유지. 연체류는 물오징어, 낙지, 미더덕이 매기 호조로 강보합세에 거래. </P><P>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3.62로 전일대비 -5.72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고등어 반입량이 증가하고 체장이 작아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수입냉동명태는 러시아산 수입량이 지난주에 크게 증가하여 재고가 누적되면서 하품이 약보합세를 보였음. 갈치는 제주산 물량이 크게 증가하고 휴가철에 따른 외식업체 매수세 둔화가 겹쳐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꽁치는 동해안산 물량이 비슷하여 보합세를 유지. 상승세를 형성하고 있는 삼치는 여수, 사천산 반입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상품 중심으로 내림세에 거래됨. 병어는 목포산과 여수산이 꾸준히 반입되고 있으나 매기 부진으로 약보합세에 거래. 가자미는 대천산 반입량이 감소하고 대형품 위주로 거래되어 상승세에 거래. 중국산 수입조기는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선도 저하로 보합세를 유지. 대구는 반입물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울진, 남해산이 체장이 커 강보합세를 형성하였고, 반면에 목포산은 체장이 작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임. 활어류는 요식업체 물량확보 매수세 유입과 대형품위주로 거래되어 오름세를 형성함.</P><P>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20.52로 전일대비 +0.69<BR>동 향 : 굴은 충무산 물량이 늘어나고 선도가 떨어져 주초장임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하락세를 형성함. 국내산 바지락은 서해안산 입하량이 지난주 토요일과 비슷하였으나 씨알이 크고 주초 물량확보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오름세에 거래. 새꼬막은 고흥, 벌교산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내림세를 보임. 홍합은 여수, 통영산 물량 거래는 비슷하고 매기 보통으로 보합세를 형성함. 전복은 해남산이 체장이 크고 물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를 형성. 소라는 반입량은 비슷하나 씨알이 굵은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나타냄. </P><P>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39.45로 전일대비 +1.00<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금일 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계속된 물량 감소와 주초 매수세 강세로 강보합세를 형성함. 특히, 하품은 선도 저하로 약세에 거래된 반면에 상품은 반입 물량 부족으로 강세를 형성함. 물오징어는 주말 휴가 산지 소비량 증가로 삼척, 거진, 속초산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냉오징어는 입하량이 늘어났으나 체장이 크고 물오징어 반입량 감소로 인한 대체수요 증가로 강보합세를 보임. 미더덕은 마산, 진동산이 상품위주로 거래되어 오름세를 보였으나, 일부 냉동품 거래로 하품은 오히려 하락함. 쭈구미는 산지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가락시장 거래량은 거의 없고, 수입냉동 쭈꾸미는 6kg 박스 상품이 16,000원에 거래되고 있음. </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94.86 -6.54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821톤 반입되어 전일 585톤 대비 40%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수박과 참외 토마토 등 출하일자가 지연된 대부분 품목의 출하가 몰리면서 반입량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기상여건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출하량까지 크게 증가하여 주초장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품목이 내림세에 거래되면서 지수 하락세에 거래됨. 수박은 중부권 음성과 진천지역 하우스 수박이 출하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반입량 감소하고 있으며, 단양 어상천 및 영주 경기 평택 안중 등지 노지수박 출하량 증가하고 있음. 시세는 방학, 휴가로 인해 대량소비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무더위에 따른 소비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BR><BR>◈ 나무과일류<BR><BR>가격지수 : 104.64p 주말대비 -3.09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884톤 반입되어 주말 576톤에 비해 53% 증가. 주말 나들이 수요 증가로 시세가 오름세를 형성하면서 전국적인 우천에도 출하작업이 활발하게 이뤄져 대부분 과일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물량 압박에 따라 시세가 대체로 약보합세를 형성하여 가격지수가 주말보다 하락하였음. 그러나 사과, 배는 고품질 물량 반입과 생산량 저조로 강보합세를 보여 가격지수 하락폭은 크지 않았음.<BR><BR>사과는 금일 71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27톤에 비해 163% 증가. 충주, 영덕, 봉화 등 내륙 산간지역으로 출하가 확대되면서 햇사과 아오리의 반입량이 크게 늘었으며, 주초 유통업체 및 요식업소 수요도 늘어나 거래는 비교적 활발하였음. 그러나 우천으로 인해 과일장이 대체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 시세는 주말에 비해 소폭 하락함.<BR><BR>배는 19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9톤에 비해 108% 증가. 8월들어 햇배의 출하전에 신고 저장량의 소진을 위해 출하량이 크게 늘었으나 경기 화성 지역에서 고품질 물량이 대거 반입되어 시세는 킅 폭으로 상승하였음. 반면, 주말에 반입되었던 안성, 천안 지역 물량의 반입은 이뤄지지 않았음. 올해 햇배 원황종 제주산이 첫 출하되었으며, 초물 출하에 따른 희소성으로 7.5kg 상자 상품이 4만원선에서 거래가 시작됨.<BR><BR>포도는 175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104톤에 비해 69% 증가. 이틀분 수확으로 인해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우천으로 인해 평소 월요일보다 매기가 둔화되어 거래비중이 절대적인 켐벨얼리를 중심으로 소폭 하락. 반면, 거래량이 미미한 거봉과 델라웨어는 강보합세 형성.<BR><BR>복숭아는 490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324톤에 비해 51% 증가. 유모계 미백, 유명 등 백도류의 출하가 경북지역은 감소한 반면 수원, 충주, 음성, 남원, 이천 등지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우천으로 당도하락 우려로 구매가 급감하면서 시세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음.<BR><BR>자두는 87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52톤에 비해 67% 증가. 주말 고단가 형성과 더불어 주말과 일요일 이틀 수확으로 인해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우천에 따른 매기 둔화로 시세가 전반적으로 하락함. 출하량은 경북 의성에서 전체 물량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김천, 영천 순으로 반입됨.<BR></P><P><BR> </P><P align=right>- 2005. 8. 1.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89 | 2,043 | ||
1388 | 2,159 | ||
1387 | 2,308 | ||
1386 | 3,259 | ||
1385 | 2,476 | ||
1384 | 1,947 | ||
1383 | 2,078 | ||
1382 | 2,052 | ||
1381 | 2,120 | ||
1380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