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8.4(목)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8-04 | 조회수 | 2199 |
1. 농산물 <P>가격지수 : 95.89 전일대비 +4.74<BR>동 향 : 농산물은 전국적으로 폭우가 내리면서 작업량 감소와 반입량 감소로 전체지수는 강보합세로 거래됨. 일부 서양채소류, 양념채소류, 버섯류등을 제외한 전 부류에서 전일대비 상승세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애호박, 부추, 양배추, 열무등 열매채소류, 잎채소류, 뿌리채소류등이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상추는 물량 감소 소비증가와 재고량 감소 납품업 관련 상인 매기 증가로 상승세 형성함. 반면 양파, 시금치, 미나리, 아욱, 근대등은 하락폭이 큰 품목으로 거래됨. </P><P>◈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107.06 전일대비 +4.00<BR>동 향 : 감자는 전일과 비슷한 223톤 반입되었으며 화천, 횡성지역에서 출하된 감자가 최고가 경락되었으나 전일에 비해서는 하락세를 보여 특품가는 내림세, 상품이하 등급은 강보합세에 거래되었음. 고구마는 금주들어 반입량이 증가하여 일일 80톤 전후로 반입되고 있으며 햇고구마 수요가 늘어나면서 소폭 오름세 거래되고 있음.</P><P>◈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88.13 전일대비 +9.67<BR>동 향 : 배추는 태백, 정선, 평창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559톤으로 전일 대비 16%감소하였슴. 강원도 전지역에 우천의 영향 및 전일시세하락으로 인한 작업량이 감소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11% 오름세 거래됨. 금일 지역별 최고 경락가격은 태백 385만원, 정선 383만원, 평창 350만원임.<BR><BR>- 양배추 : 평창, 횡성, 철원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265톤으로 전일 대비 33%감소하였슴. 강원도 전지역에 우천의 영향 및 전일시세하락으로 인한 작업량이 33% 감소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49%오름세 거래됨. 금일 지역별 최고 경락가격은 평창 5,000원, 횡성 2,500원, 철원 2,100원임</P><P>◈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98.56 전일대비 +16.75<BR>동 향 : 오이류는 산지 우천의 영향으로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28%감소함. 우천으로 인한 상품성 하락에도 불구하고 장마철 물량감소를 우려한 구매심리 상승과 금일 반입량 감소로 시세는 전일대비 24% 오름세에 거래됨.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홍천, 춘천, 서산 순이고, 취청은 횡성, 화천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지역별 최고가격은 백다다기는 홍천 28천원, 춘천 14천원, 서산 22,500원이고, 취청은 화천 16천원, 횡성 19천원임</P><P>◈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101.09 전일대비 +10.61<BR>동 향 : 무는 정선, 횡성, 양구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286톤으로 전일 대비 2%증가하였슴. 물량이 전일보다는 소폭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적은 물량이 반입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13% 오름세 거래됨. 금일 지역별 최고 경락가격은 정선 389만원, 횡성 265만원, 양구 417만원임. <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96.18 전일대비 -1.06<BR>동 향 : <BR>양파는 물량이 감소하고 오름세를 형성하자 금일 반입량은 552톤으로 금주들어 가장 많은 양이 반입되었으며 상품기준 12%하락세 거래됨. 저장물량 출하로 반입량의 증감에 따라 가격 등락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 대파는 전일 시세하락으로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상품기준 6% 오름세 거래됨. 풋고추는 50톤으로 반입량 증가하였으나 전일 반입량 감소로 인한 재고소진으로 상품기준 13%오름세 거래되었고, 꽈리고추도 산지 우천으로 반입량 감소하면서 상품기준 18%상승, 청양고추도 반입량 감소로 상품기준 4%오름세 거래됨.</P><P>◈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70.96 전일대비 -2.02<BR>동 향 : </P><P>◈ 버섯류 <BR>가격지수 : 66.90 전일대비 -1.95<BR>동 향 : 버섯류는 138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8%수준으로 감소. 주말 대비 수요가 아직 살아나지 않아 약보합세에 거래됨. 느타리버섯은 특품은 대형유통업체 등의 수요로 오름세를 보인 반면, 중상품은 보합세 형성. 강원 춘천시에서 출하된 느타리 버섯 2kg이 20,500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형성하였으나 상품 평균은 8,250원으로 전일보다 250원 하락. 이번주 오름세를 보이던 양송이는 가격상승으로 인한 구매 부담으로 하락세에 거래됨. 반면, 새송이는 전일 재고소진으로 인한 매기 활성화로 오름세를 형성. 생표고는 주초 오름세를 보이는 듯 했으나 반입량 증가와 주중 매기 부진으로 약세 장세에 거래됨. 팽이는 약세장 속에 시세 흐름이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금일 반입량은 45톤으로 전일과 비슷함. 오늘 거래가는 100g 상품이 95원으로 약세를 보임.<BR><BR>2. 수산물<BR>가격지수 : 109.40로 전일대비 +1.28<BR>동 향 : 수산물은 강동수산 패류, 수협 선어류, 서울건해 휴가 기간으로 거래가 부진하여 반입량이 크게 감소함. 생선류는 삼치, 도루묵이 입하량 증가와 선도저하로 하락세에 거래되었으나 고등어, 갈치, 냉동명태수입이 반입량 감소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여 지수가 소폭 상승함. 연체류는 물오징어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5톤이상 증가하여 약보합세를 형성함.</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7.83로 전일대비 +4.89 <BR>동 향 :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14.62로 전일대비 +0.00<BR>동 향 :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21.36로 전일대비 -0.58<BR>동 향 : <BR></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76.75 -0.44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507톤 반입되어 전일 623톤 대비 19% 출하량 감소함. 품목별로는 참외와 방울토마토의 반입량이 20~30% 가량 전일에 비해 감소하였기 때문임. 금일 경락시세는 대부분 품목의 출하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주중 매기부진으로 인해 시세 상승폭은 크지 않았으며, 오히려 수박 등 거래량이 많은 품목이 다소 하락세를 형성하면서 지수 소폭 하락세에 거래됨. 참외는 고온으로 인해 수정 착과율이 떨어지고 있고, 최근 세롭게 정식에 들어가는 물량이 늘어나면서 전반적 물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음. 방울토마토는 7월 하순이후 약세장에서 다소 오름세로 반등할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특품을 제외한 전 품위 오름세에 거래됨. 금일 출하지역 분포는 춘천 25%, 부여, 12%, 보은 11.6%, 인제 7%, 양평 6.7%로 춘천지역 거래가 가장 활발한 가운데 부여지역과 양평지역 출하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부여,논산,익산 등 중부권은 격일씩 출하량 증감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음.<BR><BR>◈ 나무과일류<BR><BR>가격지수 : 116.95p 전일대비 +3.17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497톤 반입되어 전일 772톤에 비해 36% 감소. 저장물량 출하가 이뤄지는 배는 정상적인 출하작업이 이뤄져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중부권 집중호우로 인해 복숭아?포도 등의 반입량이 급감하여 전체 반입량이 감소하였음. 우천으로 판매가 원활하지 않지만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복숭아가 소폭 상승하였고, 사과?배는 머리시세가 상승하였음.<BR><BR>사과는 전일 우천으로 인해 충주, 문경, 영주, 상주 등 주 출하지역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경남 함양과 충북 제천에서 아오리 출하가 출하되어 반입량은 전일 53톤과 비슷한 수준임. 시세는 영주, 문경, 예산, 충주 등 대과 출하로 머리시세는 상승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약보합세 형성.<BR><BR>배는 전일보다 89% 증가한 24톤이 반입되어 중*하품을 중심으로 하락하였으나, 안성과 아산지역 우수 품질이 반입되어 특*상품은 상승하였음. 원황은 제주를 위주로 출하되었으나 반입량은 아직 미미하고, 시세는 대과는 4만원을 유지하여 보합권을 유지함.<BR><BR>복숭아는 전일 중부권 호우로 인해 음성, 이천, 임실 등 유모계 출하지역에서 반입량이 절반이상 감소하여 미백을 위주로 소폭 상승세를 보였고, 천홍과 선광 등 무모계의 85% 가량 출하되는 영천지역 반입량도 30% 가량 감소하여 오름세를 형성하였음. 선광과 레드골드의 출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천홍종이 전체 복숭아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BR><BR>포도는 영동, 영천, 상주지역에서 하우스 물량이 출하되고 있으나 김천을 중심으로 노지 물량 출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전일 우천으로 주산지 출하작업이 차질을 빚어 반입량이 48% 가량 급감하였음. 전일 우천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금일 매기도 부진하였으나 반입량 감소로 인해 시세 하락은 크지 않았음.<BR><BR>자두는 의성지역 후무사 출하량이 크게 줄면서 전일보다 62% 급감한 24톤이 반입됨에 따라 우천으로 인한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후무사 시세가 소폭 상승하였음.<BR></P><P> </P><P align=right>- 2005. 8. 4.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399 | 3,068 | ||
1398 | 2,199 | ||
1397 | 2,038 | ||
1396 | 2,307 | ||
1395 | 2,176 | ||
1394 | 2,443 | ||
1393 | 2,185 | ||
1392 | 2,070 | ||
1391 | 2,002 | ||
1390 | 2,1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