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8.8(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8-08 | 조회수 | 2216 |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1.77 전일대비 2.84 <BR>동 향 : 농산물은 주초장을 맞아 수요가 증가한 반면 산지 출하량은 기상악화로 인해 평소 주초물량보다 적은 품목이 많아 지수 오름세에 거래됨. 특히 거래비중이 큰 무,배추가 오르면서 지수 상승을 주도하였고, 경기 일원에서 시설재배되는 엽채류는 주말소비량이 예상보다 많아 지방시장 등지 수요가 증가하였고, 특히 단 출하 비규격품 중에 고급품이 많아 지수상승폭이 컸음. 또한 거래량은 많지 않으나 스프나 녹즙용 수요가 높은 셀러리는 출하량 감소로 크게 오름세에 거래됨. 반면, 전일장 상승폭이 컸던 옥수수와 양상추는 강원지역 출하량 증가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93.72 전일대비 -12.43 <BR>동 향 : 감자는 161톤 반입되어 주초 반입량으로는 매우 적은 양이 반입되었으나 특품가는 4%하락하였으나 상품은 7%오름세에 거래되었음. 휴가철 비수기로 소비량이 감소하여 금일 시세는 지난주 평균 시세보다 약보합세 형성함. 고구마는 100톤 이상 반입되면서 주말대비 소폭 하락세 거래되었음.<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14.23 전일대비 8.07 <BR>동 향 : 배추 금일 반입량은 529톤으로 전일대비 6%감소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30%, 태백 25%, 삼척 20%, 기타 2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25%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0%하락한 297만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330만원, 태백 370만원, 삼척 283만원이었슴. 1. 전체동향 - 최근 시세 하락과 월요일 물량 폭주를 우려한 출하자가 작업량을 줄여 월요일장임에도 불구하고 전주말 물량보다 감소하면서 시세는 큰 폭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2. 산지동향 - 출하지역은 태백, 삼척과 정선, 평창 등지에서 출하가 되었고, 품종은 그 동안 많이 출하되었던 춘광배추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진부, 횡계 등에서 강력배추 출하량이 늘고 있음 3. 소비동향 - 시세가 상승하면서 김치 공장과 외부 시장 반출이 감소하였으며, 시장내 소비도 가격 상승과 새벽 비 작업으로 상품성이 하락하면서 거래가 활발치 못한 편임<BR><BR>- 양배추 : 금일 반입량은 306톤으로 전일대비 19%감소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10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4%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하락한 5,200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6,300원이었슴. 1. 전체동향 - 금일은 월요일장임에도 불구하고, 반입량은 전주말보다도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전주말 소비가 활발하면서 금일 시세는 전일에 비해 큰 폭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2. 산지동향 - 산지 조기 재배 물량이 거의 마무리되고, 차기 출하될 물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면서, 금일은 적은 물량이 반입됨 3. 소비동향 - 전주말 소비가 활발하여 시장 내 재고가 소진되면서, 금일 소비는 활발하게 이루어 짐<BR><BR>상추는 금일 반입량은 64톤으로 전일 대비 5%가량 증가하여 반입되었음. 주말 비가 예상되면서 전주 토요일 큰폭으로 상승하였던 상추시세는 비가 주춤하면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품목별로 청상주는 주산지인 경기도 인근지역에서 초벌물량이 소량 출하되고 있고. 금일 시세에 영향을 끼친 주요인은 주말 재고 누적과 비가 주춤하면서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예상외로 물량 감소가 없어 시세는 큰폭으로 하락한것으로 보이며. 휴가가 막바지에 다다르면서 소비량의 증가폭은 둔화될것으로 예상되어지며 물량은 초벌물량이 증가하면서 소폭 증가할것으로 예상되지만 당분간은 전주에 형성되었던 가격대에서 등락을 거듭할것으로 예상됨.</P><P> </P><P>- 시금치 : 반입량은 24톤으로 전일대비 7%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말 반입량이 평상시 물량보다 적은데다가 주초 반입량마저 감소하면서 시세는 전주에 형성되었던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고, 물량이 감소하면서 지방시장과 외부시장의 주문량이 증가하면서 상승세를 형성하였음.<BR><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12.58 전일대비 2.96 <BR>동 향 : 오이류는 산지 작업여건이 호전되면서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51%증가함. 물량 증가와 휴가철 소비 감소로 시세는 전일대비 백다다기는 6% 오름세, 취청은 5% 내림세에 거래됨.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홍천 36%, 서산 14%, 제천 10% 순이고, 취청은 천안 19%, 횡청 16%, 진천 13%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지역별 최고가격은 백다다기는 홍천 35천원, 서산 32천원, 제천 13,500원이고, 취청은 천안 33천원, 횡성 20천원, 진천 27천원임<BR><BR>- 호박 : 호박류는 산지 작업여건이 호전되면서 금일 반입량은 전일대비 32%증가함. 휴가철로 소비가 부진으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산지폐기등 출하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금일 시세는 애호박은 전일에 비해 4% 내림세, 츄키니는 6% 오름세에 거래됨. 출하지역은 애호박은 화천 52%, 춘천 33% 순이고, 츄키니는 홍천 56%, 봉화 13%, 횡성 11%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지역별 최고가격은 애호박은 화천 20천원, 춘천 15,500원, 양주 19,500원이고, 츄키니는 홍천 33천원, 봉화 20천원, 횡성 27천원임<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87.55 전일대비 9.94 <BR>동 향 : 무 금일 반입량은 366톤으로 전일대비 16%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정선 33%, 강릉 22%, 평창 20%, 기타 24%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9%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7%하락한 315만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정선 315만원, 강릉 425만원, 평창 377만원이었슴. 1. 전체동향 - 금일 물량은 전주말보다는 증가하였지만 평소 월요일 물량으로는 적은 양이 반입되면서, 시세는 전주말에 비해 특품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산지 우천으로 인해 작업 여건 악화되어, 평소 월요일 물량보다는 다소 적은 양이 반입되었으며, 비작업으로 상품성도 하락하였슴. 3. 소비동향 - 현재 시장 내 소비는 휴가철이라 매우 부진하며, 또한 고온현상으로 상품성이 하락하면서 시세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음<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2.1 전일대비 5.87 <BR>동 향 : 양파는 주말 612톤, 금일 723톤으로 물량이 증가하면서 급격한 하락세 거래됨. 지난주 반입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형성하자 주말부터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내림세가 컸음. 금일 가격은 표준가격 517원보다 낮으나 지난해 동기 가격과 동일한 시세를 형성하였음. 대파는 195톤으로 지난주초 221톤 보다 적고 주말보다는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주초 소비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강보합세 거래됨. 풋고추와 청양고추는 지난주보다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소비부진 영향으로 약보합세 거래되었고 꽈리고추는 23톤으로 지난 주초 대비 큰폭으로 감소하여 오름세가 컸음.<BR><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97.28 전일대비 -15.48 <BR>동 향 : 피망은 55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30%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물량이 감소하였으나 주말재고 누적과 수요 감소로 인해 시세는 하락하여 거래되었고, 양상추는 48톤이 반입되면서 전일대비 90%가량 증가하였고 시세는 52%가량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토요일 물량 감소로 인해 큰폭으로 상승하면서 강원도지역 물량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전주 주중시세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였음. 서양채소류중 샐러리는 반입량이 큰폭으로 감소하면서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대부분의 서양채소류는 보합세를 보였음.<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0.25 전일대비 2.04 <BR>동 향 : 주초인 오늘 157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112%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판매호조를 보이며 지수 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24톤으로 전일과 비슷한 반입수준을 보였으며 지난주 대비 상승세 형성. 상품성이 우수해 대형유통업체의 수요가 꾸준한 특품은 지난 주중부터 오름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중상품은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상승세 형성. 주산지는 충북 청원과 충남 예산으로 충남북과 경기 지역의 물량이 대부분임. 양송이는 지난 주 하락세를 보이는 듯 하였으나 이번 주초 수요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됨. 생표고는 21톤으로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세는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임. 팽이는 가격 하락에 따른 수요 증가와 휴가철 수요가 겹쳐 주초 오름세에 거래됨. 100g 상품이 115원에 거래됨. <BR></P><P>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5.00로 전일대비 -4.59 <BR>동 향 : 수산물은 본격적인 휴가철이 끝나면서 산지 출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반입량 증가에 따른 하락세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병어가 반입량 증가와 거래부진으로 하락세 거래.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 굴이 반입량 증가와 주초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을 주도하였고 소라, 새꼬막은 물량이 적어 상승세 거래. 연체류는 물오징어는 속초, 울진산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하락세로 거래되었고 오만둥이, 갑오징어는 반입량 증가와 판매부진으로 시세 하락. </P><P>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4.97로 전일대비 -1.96 <BR>동 향 : 부산산 생물고등어는 지난주 휴가철로 인해 줄었던 물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하락세 거래.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지난주와 비슷하고 판매도 부진한 가운데 보합세 유지. 갈치는 중형품 위주로 반입량이 늘면서 제주산은 약보합세로 거래된 반면, 체장이 큰 일본산 수입갈치는 대형품 위주로 소폭 상승세 거래. 삼치는 여수산이 중소형품 위주로 반입되면서 하품은 약세를 보인 반면, 체장 큰 대형품은 소량 출하되어 강보합세 형성. 병어는 여수산 반입량이 늘면서 체장이 작고 선도가 떨어져 시세 하락. 가자미는 여수산과 포항산 출하량이 늘면서 판매부진으로 약세 거래. 활어류는 숭어류는 출하량이 늘고 거래가 부진하면서 하락세를 보인 반면, 양식 돔, 농어, 우럭은 주초 판매호조로 소폭 오름세 거래. <BR><BR>◈ 조개류 <BR>가격지수 : 94.27로 전일대비 -20.35<BR>동 향 : 굴은 충무산 중굴 반입량 증가와 주말 기상여건 호조에 따른 고흥산 자연굴 입하량이 늘어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됨. 국내산 바지락은 지난주 토요일 바닷물때가 사리철을 형성한데다 지난주 시세 폭등으로 주초 반입량이 전주토요일대비 21톤 가까이 늘어나면서 주초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냄. 새꼬막은 지난주 패류중도매인 조합 휴가로 인하여 재고 물량이 완전히 소진되고 금일 고흥, 벌교산 거래량이 적어 강보합세에 거래됨. 홍합은 여수, 통영산 거래물량이 두 배이상 늘어나면서 하품중심으로 하락세를 형성했으며 깐홍합은 주말 기온상승에 따른 선도 저하로 약세에 거래됨. 전복은 해남산 물량이 씨알 크기가 작아 하락세를 나타냈고, 소라는 휴가철에 따른 산지 소비량 증가로 가락시장 입하량이 감소하여 강보합세를 나타냄. </P><P> </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13.99로 전일대비 -10.00<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태풍 맛사가 상하이 부근에서 영향력을 떨치면서 수입량이 주초 외식업체 수요보다 부족하여 중품위주로 강보합세를 형성함. 물오징어는 삼척, 거진, 속초산이 기상여건 호조 및 수온상승에 따른 어군형성 활발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여 시세가 쿤 폭의 하락세를 나타냄. 냉오징어는 물오징어 반입량 증가에 따른 시세 하락폭을 완화하기 위해 입하되지 않아 시세 변동 없음. 미더덕은 통영산 물량이 소폭 감소하고 상품위주로 거래되면서 오름세를 보였으나 하품은 품질하락에 따른 거래부진으로 오히려 약보합세에 거래됨. 오만둥이는 반입 물량 증가로 약세에 거래됨. </P><P> </P><P>◈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89.30p 주말대비 +11.02p<BR>동 향 : 시장 반입량이 주말에 비해 17% 가량 증가한 723톤 수준이었고, 주초 납품수요가 늘어나 시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음.<BR><BR>수박은 주말보다 8% 증가한 373톤이 반입되었으며, 복수박은 22% 감소한 21톤이 반입되었음. 복수박은 현재 충남 부여에서 75%, 홍성에서 20% 정도가 반입되고 있으며, 잦은 우천으로 인해 매기가 부진해 소폭 하락하였음. 반면 충북 음성, 진천, 경북 고령, 경기 양평 등지에서 주로 출하되고 있는 일반 수박은 출하량 증가에도 휴가철이 마무리되면서 유통업체의 주초 납품수요가 증가하였고, 양평, 진천, 함안지역에서 우수 물량이 반입되면서 오름세를 형성하였음.<BR><BR>대부분 성주지역에서 출하되지만 경북 김천지역 물량도 6%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참외는 주말보다 8% 감소한 99톤이 반입되었으며, 주초 전반적인 과일장 거래 활발로 강보합세 형성.<BR><BR>토마토는 양구, 인제, 춘천, 화천 등 강원도 지역 물량이 크게 늘어난 일반종이 주말에 비해 76% 가량 급증한 135톤이 반입되었으나 주초 수요 증가로 인해 오름세를 보였고, 방울종은 33톤 반입되어 주말보다 16% 가량 증가하였고, 강원 춘천과 충북 청원지역 고품질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승세 형성.<BR><BR>메론은 담양지역 물량이 급증하여 주말에 비해 75% 증가한 63톤이 반입되었으며, 고품질 출하지역인 충남 청양의 반입량 감소로 시세는 소폭 하락하였음.<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109.85p 주말대비 +2.53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1,184톤 반입되어 주말 1,041톤에 비해 14% 증가. 노지물량의 출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포도를 중심으로 복숭아, 사과 등이 지난 이틀 출하작업으로 주초 반입량이 크게 늘어났으며, 휴가철의 정점이 지나면서 수도권 수요가 회복기미를 보여 금일 매기는 비교적 활발한 모습을 보였고, 배, 복숭아 등이 상승하면서 가격지수가 주말에 비해 상승하였음.<BR><BR>사과는 금일 70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44톤에 비해 60% 증가. 주초 유통업체 및 요식업소 수요도 늘어나 거래는 비교적 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주, 상주, 제천, 영주, 청송 등 내륙 산간지역으로 출하가 확대되면서 햇사과 아오리의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 대체로 약보합세 형성.<BR><BR>배는 8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6톤에 비해 34% 증가. 제주지역에서 상주, 김천 등 경북지역으로 출하가 확대되는 원황의 반입량이 증가하여 배 물량의 13%를 점유하고, 상주와 김천에서 신수도 함께 출하되어 8% 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저장 신고는 주말과 비슷한 물량이 반입되었으며, 일반 상인이 보유한 우수 상품이 반입된데다 주초 수요가 늘어나 대체로 강세를 형성하였음.<BR><BR>감귤은 12톤이 반입되어 주말 8톤에 비해 59% 증가. 출하량이 지난 주말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나 지난주에 이어 금주 첫날인 금일도 지난해에 비해 반입량이 적은 수준이며, 주초 과일 수요 증가로 인해 동반 상승하였음.<BR><BR>포도는 489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425톤에 비해 15% 증가. 경북 김천지역 노지 물량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켐벨얼리 물량의 70%이상을 차지하여 주초 공급량이 많고, 8월들어 지난해보다 47% 가량 많은 수준인데다, 숙기에 흐린 날이 많아 당도가 낮아 노지물량을 중심으로 시세가 하락하였음.<BR><BR>복숭아는 528톤 반입되어 지난 주말 408톤에 비해 29%증가. 백도계열 무모계 복숭의 출하 증가로 인해 무모계 비율이 떨었졌으나, 영천과 경산지역에서 선광과 레드골드의 출하가 본격화되면서 무모계 비율이 다시 60%이상을 차지하면서 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음. 주초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무모계는 천홍을 위주로 보합세를 유지한 반면, 음성과 이천을 주산지로 하는 미백을 중심으로 한 백도계열은 오름세 형성.<BR><BR>자두는 46톤이 반입되어 지난 주말 45톤에 비해 2% 증가하였으나, 이는 휴일을 포함하여 이틀 작업물량임을 감안하면 후무사종의 출하량이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임. 출하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상품성이 하락하고 있지만 공급량이 적어 시세는 예년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있음.<BR></P><P align=right>- 2005. 8. 8.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409 | 2,216 | ||
1408 | 2,265 | ||
1407 | 2,060 | ||
1406 | 2,114 | ||
1405 | 2,182 | ||
1404 | 1,840 | ||
1403 | 2,046 | ||
1402 | 2,026 | ||
1401 | 2,736 | ||
1400 | 2,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