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5.8.9(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5-08-09 조회수 2353
<P>1. 농산물&nbsp; <BR>&nbsp;<BR>가격지수 : 101.45 전일대비 -1.68 <BR>동 향 : 농산물은 산지 국지성 호우와 무더위 영향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하품 위주의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소비시장의 경매거래시간대 우천으로 판매마저 부진하여 하락세 형성. 잎채소류중 배추와 상추 등은 전일 고단가 거래에 따른 산지 출하량 증대로 반입량이 크게 늘면서 하락세를 주도하였고 뿌리채소류인 무 또한 산지에서 우천 작업된 하품 위주의 반입량 증가로 판매가 부진하면서 시세가 하락한 반면, 열매채소류인 가시오이, 백다다기, 청오이, 쥬키니호박은 산지 일기불순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반입량이 줄었고 시장내 재고마저 소진되면서 오름세를 형성함.&nbsp; <BR>&nbsp;<BR>◈ 고구마 감자류&nbsp; <BR>가격지수 : 100.18 전일대비 6.46 <BR>동 향 :&nbsp; <BR>&nbsp;<BR>◈ 잎채소류&nbsp; <BR>가격지수 : 100.7 전일대비 -13.53 <BR>동 향 : 배추 금일 반입량은 753톤으로 전일대비 42%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30%, 태백 25%, 삼척 20%, 기타 25%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4%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2%하락한 254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330만원, 태백 370만원, 삼척 283만원이었슴. </P><P>&nbsp;</P><P>1. 전체동향</P><P>&nbsp;- 전일 반입량 감소 및 매기가 활발하여 시장내 재고가 모두 소진되었으나, 금일 반입량이 다소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중도매인 매기가 부진하면서 시세는 14% 내림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날씨가 무더워지면서 국지성 호우가 동반되어 열기로 인해 상품성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임.&nbsp; 3. 소비동향 - 잦은 비와 무더위로 인한 상품성 저하로 특상품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시장 내 소비는 다소 부진한 편임</P><P>- 양배추 : 양배추 금일 반입량은 351톤으로 전일대비 15%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10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4%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6%하락한 2,900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6,300원이었슴. 1. 전체동향 - 금일 반입량은 전일 시세 상승으로 인한 산지 작업량 증가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시세는 물량 증가로 인하여 큰 폭으로 내림세에 거래되었슴. </P><P>&nbsp;</P><P>2. 산지동향 </P><P>- 상품성은 미약하지만 향후 물량 증가를 예상하여 출하를 서두르면서 금일 물량은 15%증가하였슴.&nbsp; 3. 소비동향</P><P>&nbsp;- 금일 물량 증가로 인해 시세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시장내 소비는 원활하게 형성되었슴</P><P>상추 금일 반입량은 57톤으로 전일대비 11%가량 감소하여 반입되었음. 주초 물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하였던 시세는 금일 물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내 재고 증가와 외부시장의 매기감소로 하락세 거래되었음. 시세는 하락하였지만 여전히 높은시세를 유지하면서 표준가격 대비 250%이상 상승하여 거래되고 있음. 향후 시세는 전주에 형성된 시세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많아보이나 표준가격보다는 높은 시세를 유지할것으로 예상됨.<BR>&nbsp;&nbsp;<BR>◈ 열매채소류&nbsp; <BR>가격지수 : 123.21 전일대비 10.63 <BR>동 향 : 오이 금일 반입량은 298톤으로 전일대비 37%감소하였슴. 큰 폭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휴가철 소비가 둔화되면서 시세는 전일대비 백다다기는 6% 오름세, 취청은 10% 오름세에 거래됨.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홍천 51%, 춘천 10%, 서산 8% 순이고, 취청은 횡성 30%, 화천 13%순으로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최고 가격은 백다다기는 홍천 86천원, 춘천 22천원, 서산 35천원이고, 취청은 횡성 19천원, 화천 18천원임</P><P>- 호박 : 호박 금일 반입량은 208톤으로 전일대비 19%감소하였슴. 휴가철 소비 부진으로 금일 시세는 애호박은 전일에 비해 24% 내림세, 츄키니는 14% 오름세에 거래됨. 출하지역은 애호박은 화천 57%, 춘천 25% 순이고, 츄키니는 홍천 69%, 횡성 15%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금일 지역별 최고가격은 애호박은 화천 18,500원, 춘천 13,500원, 양구 17,000원이고, 츄키니는 홍천 18천원, 횡성 19천원, 평창 18천원임 <BR>&nbsp;<BR>◈ 뿌리채소류&nbsp; <BR>가격지수 : 81.68 전일대비 -5.87 <BR>동 향 : 무 금일 반입량은 431톤으로 전일대비 18%증가하였슴. 5톤 트럭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1%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5%하락한 280만원이었슴. 출하지역은 정선 31%, 강릉 28%, 평창 22% 순이었고, 지역별 가격은 정선 65~279만원, 강릉 100~390만원, 평창 100~345만원이었다. 1. 전체동향 - 계속되는 무더위로 인하여 산지 출하 대기 물량의 조기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일 대비 금일 반입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조기 출하되는 물량의 상품성 또한 급격히 저하되면서 시세는 35%내림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상*하품간 상품성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유치 및 회송 물량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nbsp; 3. 소비동향 - 현재 시장 내 반입 물량 중 상품성 저하된 물량의 반입이 많아 중도매인 매기가 활발치 못하였고, 전반적으로 소비도 다소 부진한 상황임 <BR>&nbsp;<BR>◈ 양념 채소류&nbsp; <BR>가격지수 : 107.96 전일대비 5.86 <BR>동 향 :&nbsp; <BR>&nbsp;<BR>◈ 서양 채소류&nbsp; <BR>가격지수 : 86.18 전일대비 -11.1 <BR>동 향 : 서양채소류는 소비둔화로 인한 매기감소로 대부분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특히 전일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셀러리가 큰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전주말 큰폭으로 상승세를 보였던 케일도 하락하여 거래되었음. 기타 서양채소류는 약세를 지속하면서 대부분 전일 대비 보합세를 보였음. <BR>&nbsp;<BR>◈ 버섯류&nbsp; <BR>가격지수 : 74.79 전일대비 4.54 <BR>동 향 : 버섯류는 146톤이 반입되어 전일대비 93%수준으로 감소. 팽이, 표고버섯의 수요 증가로 오름세에 거래되면서 지수상승세 형성. 느타리는 30톤으로 반입량이 22% 증가하면서 매기가 주춤해 특상품 중심의 내림세를 보임. 2kg 상품이 10,000원에 거래되며 전일보다 750원 하락함. 양송이는 반입량은 감소하였으나 전일 재고 누적과 경락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부담으로 약보합세 형성. 생표고는 반입량이 10%감소하고, 최근 경매가 하락으로 인한 소비 증가로 오름세 형성. 중품보다 상품, 상품보다 특품의 상승폭이 큼. 팽이는 지난 월말부터 내림세를 보여 약세 장세를 형성하였으나 이번주 들어 반입량이 감소하고 유통업체 등의 소비가 꾸준해 상승세 형성. </P><P>&nbsp;</P><P>2.수산물<BR>가격지수 : 107.82로 전일대비 +2.82<BR>동 향 : 수산물은 전일 우천 영향으로 반입 물량이 감소하면서 강보합세에 거래. 생선류는 고등어가 내림세를 보였으나 명태냉장수입, 갈치, 조기수입이 오름세에 거래되며 강보합세 형성. 조개류는 바지락, 홍합, 가무락이 입하량 급감으로 상승세를 나타냈고, 연체류는 물오징어, 낙지가 시세 하락에 따른 반입량 감소로 오름세를 형성함. </P><P>&nbsp;</P><P>◈ 생선류 <BR>가격지수 : 97.82로 전일대비 +2.85 <BR>동 향 : 고등어는 부산산 생물 고등어가 우천으로 입하량이 감소하였음에도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누적과 소형품 위주로 거래되어 하락세를 나타냄. 수입냉장명태는 일본산 생태 반입량이 비슷하였으나 러시아산 냉태수입량 감소에 따른 대체수요 증가로 강보합세에 거래. 갈치는 제주산 10미 반입량이 증가하였으나 체장이 크고 선도가 좋아 주중장에도 불구하고 강보합세를 나타냄. 특히, 수입냉동갈치는 중국산 물량이 상품성이 뛰어나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음. 조기는 중국산 수입물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보였고, 삼치는 기상 악화에 따른 조업부진으로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체장이 작은 여수산위주로 거래되면서 약보합세에 거래. 병어는 체장이 큰 목포산 물량이 증가하여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형성하였으며, 아귀 역시 사천산 및 캐나다, 중국산 반입량이 동반 감소하면서 상승세에 거래됨. 대구는 조업부진으로 서산산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매기부진으로 보합세를 유지함. 가자미는&nbsp; 포항산이 대형품위주로 거래되어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나타냄. 활어류는 반입량이 전일과 비슷하나 주중 요식업체 매수세 유입이 둔화되어 선도가 좋은 숭어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약세에 거래됨. </P><P>&nbsp;</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02.17로 전일대비 +7.90<BR>동 향 : 굴은 전국적으로 내린 비로 인하여 충무산 양식굴 반입량 감소하였으나 씨알이 작하 하품은 내림세를 나타냄. 국내산 바지락은 기상조건 악화에 따른 입하량이 전일 대비 절반가량에 불과하였으나 씨알이 작아 상품은 보합세를 하품은 강세를 보였음. 새꼬막은 고흥, 벌교산 물량이 전일과 비슷하게 거래되었으나 선도가 좋아 강보합세를 나타냄. 홍합은 여수, 마산산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고 외식업체 매수세 유입으로 오름세에 거래됨. 시세부진을 보이던 가무락은 휴가철에 따른 산지 소비량 증가로 가락시장 입하량이 감소하여 오름세를 나타냄. 전복은 무더위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소비수요가 보합세를 나타내고 해남산 물량이 씨알이 작아 약보합세에 거래됨. 소라는 반입량이 감소한데다 씨알이 큰 상품위주로 거래되어 강세를 지속하고 있음. </P><P>&nbsp;</P><P>◈ 연체류 <BR>가격지수 : 121.42로 전일대비 +7.43<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에 비해 소폭 감소하면서 상품 위주로 오름세를 나타냄. 일본산은 소량 반입되었고 시세는 7kg 상자가 57,000원에 거래됨. 물오징어는 삼척, 거진, 속초산이 전일 시세하락에 따른 마진율 급락으로 어선 출항이 감소한 탓에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금일에는 상승세에 거래됨. 냉오징어는 반입량이 감소하였으나 매수세 부진으로 보합세를 유지하였으며, 상승세를 보이던 미더덕은 마산, 진동산 입하량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약보합세를 나타냄. 오만둥이는 씨알이 중간정도이고 선도가 좋은 반입 물량증가로 상품중심으로 오름세를 형성함. </P><P><BR>&nbsp;<BR></P><P>&nbsp;</P><P align=right>- 2005. 8. 9.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1419

‘농업통계개선 종합대책’ 추진첨부파일 있음

2,095
1418

8월 과일관측월보

2,037
1417

8월 과채관측월보

1,969
1416

[무서워!중국 농수산물] 녹슨 칭다오 '방앗간' 파리떼 윙윙

2,595
1415

2005.8.9(화)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1차

2,353
1414

농협, 국내 최초로 쌀 60만 가마“공매”로 판매

2,138
1413

중국내 미승인 GM 쌀 유통 관련 조치(식약청 중국산 쌀 유전자재조합 여부 검사)첨부파일 있음

2,104
1412

주요 수출품목 일본시장가격 동향(05년 7월25일-30일)첨부파일 있음

2,078
1411

8월 축산관축월보

2,047
1410

8월 채소류 관측월보

1,998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