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5.8.10(수)부류별 지수 및 가격동향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8-10 | 조회수 | 2084 |
<P>1. 농산물 <BR><BR>가격지수 : 102.02 전일대비 1.96 <BR>동 향 : 농산물은 무더위로 인한 생산 감소와 휴가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으로 산지 작업이 부진하면서 전반적으로 출하가 부진한 가운데 잎채소류와 열매채소류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고추류와 서양채소류가 소비부진으로 하락하면서 지수는 전일대비 소폭 상승세를 보였음. 품목별로는 경기도 인근 작목반이 형성된 열무와 상추등은 작목반 위주로 출하조절을 보이면서 전일대비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고, 최근 고가를 보이던 브로코리는 고가로 인한 부담감과 중국산이 반입되면서 하락세를 형성하였으며, 우천으로 인한 품질 저하로 고추류도 하락세 거래되었음. <BR><BR>◈ 고구마 감자류 <BR>가격지수 : 97.31 전일대비 -2.87 <BR>동 향 : 감자는 217톤으로 전일대비 7%감소하였으며 상품기준 보합세 거래되었음. 강원도 출하량이 감소하고 봉화, 창원등 경상도 지역 작업량이 증가하였음. 금일 최고 경락가는 화천, 홍천 32,000원, 강릉 26,000원, 횡성 25,000원임. 고구마는 익산, 여주, 이천, 충주, 김제 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대비 5%감소한 52톤 반입되었으나 금주들어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하락세 거래되었음. 지역별 최고 경락가는 익산 18,000원, 여주 20,000원, 이천 16,500원, 충주 15,000원임<BR><BR>◈ 잎채소류 <BR>가격지수 : 107.88 전일대비 7.18 <BR>동 향 : 배추 금일 반입량은 878톤으로 전일대비 17%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55%, 태백 25%, 정선 10%, 기타 10%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5%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5%하락한 242만5천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295만원, 태백 370만원, 삼척 238만원이었슴. 1. 전체동향 - 금일 반입량은 전일에 비해 17% 증가하였고, 물량의 계속적인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인해 시세는 약보합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태백, 삼척과 정선, 평창 등지에서 주로 출하가 되었으며, 태백 귀네미에서 출하된 배추가 상품성 우수하여 장세를 주도하였으며, 금주 들어 상품성 저하로 상*하품간 가격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슴. 3. 소비동향 - 김치 공장과 외부 시장으로는 저가품 위주로 반출이 되었으며, 시장 내 소비 상황은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평소보다 많은 물량이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상품성도 떨어지고 있어 거래가 활발하지 못한 실정임<BR><BR>- 양배추 : 양배추 금일 반입량은 377톤으로 전일대비 7%증가하였슴. 5톤 트럭 기준 출하지역은 평창 92%, 횡성 5%, 철원 2%였고,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19%하락,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56%하락한 2,360원이며, 출하지역별 최고가격은 평창 4,000원, 횡성 2,600원이었슴. 1. 전체동향 - 전일 시세 하락에도 불구하고, 금일 물량이 다소 증가하면서 시세는 19% 내림세에 거래되었슴. 2. 산지동향 - 8/8일 일시적 시세 상승으로 외부 출하 물량까지 가락시장으로 반입되면서, 산지 출하 조절이 어려운 상황임. 3. 소비동향 - 최근 반입량이 증가하면서 시장내 재고가 증가하였고, 소비도 다소 부진한 상황임<BR><BR>◈ 열매채소류 <BR>가격지수 : 137.65 전일대비 14.44 <BR>동 향 : 오이 금일 반입량은 305톤으로 전일대비 2%증가하였슴. 상품기준 가격은 백다다기는 전일대비 14%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4% 상승한 33천원이고, 취청은 전일대비 14%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42% 상승한 37천원이었으며, 출하지역은 백다다기는 홍천 44%, 춘천 12%, 서산 12% 순이고, 취청은 천안 39%, 횡성 10%, 진천 9%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최고 가격은 백다다기는 홍천 46천원, 춘천 28천원, 서산 54천원이고, 취청은 천안 48천원, 횡성 21천원, 진천 36천원임. 물량이 전일에 비해서는 2% 증가하였으나, 최근 고온현상으로 작황이 부진하면서 평소에 비해서는 적은 물량이 반입되었고, 소비지 및 납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세가 큰 폭으로 오름세에 거래되었슴<BR><BR>- 호박 : 호박 금일 반입량은 192톤으로 전일대비 8%감소하였슴. 상품기준 가격은 애호박은 전일대비 5%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28% 상승한 10,500원이고, 츄키니는 전일대비 17% 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83% 상승한 17천원이었으며, 출하지역은 애호박은 화천 56%, 춘천 26%, 양구 6% 순이고, 츄키니는 홍천 73%, 횡성 16%, 인제 6% 순으로 반입되었으며, 지역별 최고 가격은 백다다기는 화천 19천원, 춘천 14천원, 양구 16천원이고, 츄키니는 홍천 20천원, 횡성 15천원, 인제 12천원임. 날씨의 영향에 따른 고온현상으로 반입량이 감소하였고, 수요와 공급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면서 원활한 소비로 가격이 오름세에 거래되었슴.<BR><BR>◈ 뿌리채소류 <BR>가격지수 : 81.76 전일대비 0.08 <BR>동 향 : 무 금일 반입량은 388톤으로 전일대비 10%감소하였슴. 5톤 트럭 상품기준 가격은 전일대비 4%상승, 표준가격(5개년 평균)대비 32%하락한 290만5천원이었슴. 출하지역은 정선 32%, 강릉 25%, 정선 21% 순이었고, 지역별 가격은 정선 105~403만원, 강릉 117~333만원, 정선 132~303만원이었다. 1. 전체동향 - 금일은 반입량이 10%감소하였슴에도 전일 소비 부진으로 시장 재고가 누적되면서 거래가 부진하여 전일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하였슴. 2. 산지동향 - 현재 고온 현상으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임. 3. 소비동향 - 전일 소비 둔화로 인해 시장 내 재고가 많이 발생하면서 금일 소비는 다소 부진한 상황 <BR><BR><BR>◈ 양념 채소류 <BR>가격지수 : 102.96 전일대비 -5 <BR>동 향 : 양파는 전일대비 11%증가한 583톤 반입되었으며 약보합세 거래되었음. 금주 들어 반입량이 지난주 대비 20%정도 증가하면서 내림세 형성하고 있음. 대파는 이천, 여주, 고양, 평창 지역에서 출하되었으며 전일대비 14%감소한 182톤 반입되었으며 전일 보합세 거래됨. 지역별 최고 거래가는 이천 1,210원, 여주 1,200원, 고양 1,110원, 평창 1,310원, 구리 1,150원임. 풋고추, 청양고추, 꽈리고추는 반입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면서 내림세 거래되었으며, 홍고추는 홍천, 음성, 이천 지역에서 주로 출하되었으며 금주들어 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오름세 형성함.<BR><BR>◈ 서양 채소류 <BR>가격지수 : 84.18 전일대비 -2 <BR>동 향 : <BR><BR>◈ 버섯류 <BR>가격지수 : 74.87 전일대비 0.08 <BR>동 향 : 버섯류 반입량은 150톤으로 전일대비 소폭 증가하였나 팽이 버섯 등의 시세 상승으로 지수는 소폭 상승. 느타리는 최근 시세 상승세를 보이며 반입량이 20톤대 후반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금일 28톤 반입. 가격상승폭이 컸던 특품이 구매 부담으로 하락세를 보인 반면, 중상품은 오름세에 거래. 양송이는 휴가철 삼겹살 소비가 많아지면서 요식업소와 가정용 수요 증가로 지난주대비 강보합세에 거래됨. 새송이는 전일 재고소진으로 오름세에 거래. 생표고는 특상품은 하락세를 보인 반면, 군납 등의 수요가 꾸준한 하품은 보합세에 거래. 팽이는 40톤대의 반입량을 보이고 있으나 이번주들어 큰폭의 상승세 형성. <BR><BR>2. 수산물 </P><P>가격지수 : 109.49로 전일대비 +1.67 <BR>동 향 : 수산물은 생선류와 조개류가 물량이 줄면서 주중 판매호조로 재고가 소진되어 오름세 주도. 생선류는 고등어, 갈치, 삼치, 청어가 물량이 줄고 체장 큰 대형품 위주로 반입되면서 시세 상승. 조개류는 깐바지락, 새꼬막, 소라, 바지락이 물량도 줄고 주중 재고가 소진되면서 상승세 거래. 연체류는 문어, 수입낙지가 반입량 감소와 도매재고 소진에 따른 매수세 증가로 오름세 형성. </P><P> </P><P>◈ 생선류 <BR>가격지수 : 100.18로 전일대비 +2.36<BR>동 향 : 남해안 기상상태 불량에 따른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부산산 생물고등어 반입량이 줄어 중대형품 위주로 상승세 형성. 수입생태는 일본산 물량이 소폭 늘면서 고가로 인한 판매부진영향으로 재고가 늘어 약세 거래. 갈치는 제주 남해 해상 기상악화로 어획량이 줄면서 중대형품 위주로 소량 반입되면서 시세는 오름세 형성. 수입갈치는 일본산이 체장이 작은 소형품 반입량이 늘면서 약세 거래. 삼치는 여수산 대형품은 소량 반입되면서 오름세를 보인반면, 울진산 소형품은 반입량이 소폭 증가하면서 약보합세 거래. 청어는 속초산이 선도가 좋고 체장이 커지면서 오름세 거래. 병어는 여수산 반입량이 줄고 체장이 큰 대형품 위주로 반입되면서 재고가 부족해 시세 상승.</P><P> </P><P>◈ 조개류 <BR>가격지수 : 105.34로 전일대비 +3.17<BR>동 향 : 고흥 자연산굴이 휴가철에 따른 산지소비량 급증으로 가락시장 반입량이 줄어들고 충무산 양식굴 반입량이 소폭 감소하여 강보합세를 형성. 국내산 바지락은 반입 물량이 소폭 감소하고, 군산 및 태안산이 씨알이 크고 선도가 좋아 상품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하품은 거래부진으로 약세에 거래. 새꼬막은 입하량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순천산이 씨알이 굵어 매수세가 호조를 형성하며 상승세에 거래. 홍합은 여수, 마산산 입하량이 소폭 증가하고 중도매인 전일 재고 누적에 따른 매수세 감소로 하락세를 보임. 전복은 소비수요가 꾸준히 감소하면서 하품중심으로 내림세를 나타냈음. 소라는 군산, 서산, 보성산이 휴가철로 인한 산지소비량 증가로 입하량이 감소하면서 오름세를 지속함. </P><P> </P><P>◈ 연체류<BR>가격지수 : 125.15로 전일대비 +3.73<BR>동 향 : 중국산 수입낙지는 반입량이 전일 대비 크게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나타냈음. 특히, 체장이 중간정도인 상품위주의 거래로 하품 오름폭이 컷음. 물오징어는 삼척, 거진, 속초산이 전일 기후조건 호조에 따른 조업호황으로 반입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하락세를 나타냈음. 문어는 포항, 울진산이 상품성이 좋아 오름세에 거래되었고, 미더덕은 마산, 진동산 입하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주중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약세를 보였고, 특히, 하품은 일부 냉동품 입하로 하락폭이 큼. 오만둥이는 주중 매기부진으로 내림세를 보였음.</P><P align=right> </P><P align=left>◆ 채소과일류<BR>가격지수 : 76.66 -8.15P<BR>동 향 : 채소과일류는 712톤 반입되어 전일 581톤 대비 23% 출하량 증가함. 품목별로는 수박과 토마토 등 전일 출하량이 적었던 품목의 출하대기물량이 증가하면서 반입량 증가하였음. 경락시세는 출하량이 증가한데다 비가오고 흐린날씨로 외출수요가 감소하였고, 기온까지 내려가면서 수박 등 대부분 과일류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내림세에 거래된 품목이 많았음. 참외는 고온으로 인해 착과율이 떨어지고 있고 벼농사 전환농가 및 새롭게 정식에 들어가는 농가 증가로 인해 출하량은 감소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금일 특품시세는 김천산 출하품의 비중이 높았음. <BR><BR><BR>◈ 나무과일류<BR>가격지수 : 99.74p 전일대비 -5.12p<BR>동 향 : 나무과일류는 970톤 반입되어 전일 904톤에 비해 7% 증가. 8월 들어 연일 흐린 날씨와 잦은 비로 무름과 발생 및 당도 하락에 따른 상품성 저하와 주중 소비가 둔화되어 거래량이 많지 않은 감귤과 자두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약보합세가 이어졌음. 포도는 전일에 비해 출하량이 감소하였으나, 노지물량은 증가세가 이어지고, 우천으로 인해 하우스 재배 물량과 시세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 복숭아는 백도계열 미백, 대화, 기도 등 조생종 출하가 증가하는 가운데, 무모계 천홍은 점차 출하량이 감소하고, 뒤를 이어 레드골드의 반입량이 증가하는 모습임. 시세는 주중 소비 감소로 인해 대체로 약보합세 형성<BR></P><P align=right> </P><P align=right>- 2005. 8. 10.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P><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429 | 2,240 | ||
1428 | 2,244 | ||
1427 | 2,444 | ||
1426 | 2,051 | ||
1425 | 2,383 | ||
1424 | 2,345 | ||
1423 | 2,031 | ||
1422 | 2,115 | ||
1421 | 2,137 | ||
1420 | 2,0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