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주간농사정보(20050814 ~ 20050820)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5-08-10 | 조회수 | 2138 |
<P><FONT color=#ff80c0>8월의 주요 실천 농작업 <BR>◈ 병해충 방제와 본 논 관리 ◈ 가을철 느타리버섯재배와 누에치기 <BR>◈ 밭작물 관리와 가을감자 파종 ◈ 고온기 가축사양과 질병예방 <BR>◈ 당면한 고추, 무· 배추, 시설하우스 관리 ◈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 예방 <BR>◈ 복숭아 포도 수확 관리 ◈ 가축 여름철 일사병과 열사병 예방</FONT></P><P> </P><P>☞이 주일에 실천 할 농작업 <BR>1. 벼농사 <BR></P><P>가. 병해충 방제 <BR></P><P>○ 벼멸구와 혹명나방은 중앙예찰반 현지포장 조사결과 방제적기를 8.10~8.15일로 추정하고 있으므로 서둘러 벼 아랫부분을 헤쳐보아 피해가 우려되는 필지는 약효가 우수한 약제로 서둘러 방제하도록 한다. <BR>노린재류는 벼 이삭이 패게 되면 논으로 날아들어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므로 논을 살펴보아 발생이 되면 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BR></P><P>○ 혹명나방은 밀도가 높을 경우 방제를 하되 방제적기는 한 논에서 벼잎이 1~2개 잎이 말리기 시작할 때에 방제하도록 한다. <BR></P><P>○ 이삭도열병은 발생하면 피해로 연결되므로 잎도열병이 많이 발생한 논이나 상습 발생지, 병에 약한 품종을 재배한 논은 침투이행성 농약으로 적기에 방제하도록 한다. <BR></P><P>○ 세균성벼알마름병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이삭도열병과 동시 방제가 가능한 농약을 선택하여 방제토록 한다. <BR><BR>나. 본논 관리 <BR></P><P>○ 벼는 이삭이 패는 시기에 물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이삭 팬 후 30~35일까지는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되 한번 댄 물이 완전히 잦고 2~3일 지난 후에 물을 대어 주도록 한다. <BR></P><P>○ 논두렁이 무너진 논은 안쪽에 갈개를 만들어서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하고 피 등 잡풀이 무성한 논두렁은 수시로 베어 주도록 한다. <BR></P><P>○ 내년도에 사용할 종자를 받을 포장은 잡이삭, 다른 품종, 피 등을 모두 뽑아 주어 종자의 순도를 높이도록 한다. <BR><BR>2. 밭 농 사 <BR>○ 무성하게 자란 콩은 고랑을 헤쳐 주거나 윗부분의 잎을 따 주어 햇볕과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해준다. <BR>○ 콩, 2모작 참깨, 땅콩 등 밭작물은 막바지 병해충 방제를 하되 특히 콩은 노린재 방제를 잘 하고, 여러 가지 약을 섞어 뿌릴 때는 혼용가부표를 확인한 후 뿌린다. <BR></P><P>○ 참깨는 줄기 아랫부분의 꼬투리가 2~3개 갈라지는 때가 수확 적기이므로 시기를 놓치지 말고 베어서 비를 맞지 않게 잘 말려 품질 좋은 참깨를 생산토록 한다. <BR></P><P>○ 가을감자의 파종적기가 남부지방은 8월중하순경이므로 시기를 잘 지키도록 하고, 습기가 많은 포장은 씨감자가 부패하게 되므로 가급적 이랑을 동서방향으로 설치하고, 씨감자는 이랑보다 높게 북쪽 면에 심어 습해와 직사광선을 피하도록 해 준다. <BR><BR>3. 채 소 <BR></P><P>가. 고 추 <BR></P><P>○ 비가 자주 오면 역병 발생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배수구를 깊게 정비하여 물이 고랑에 고이지 않게 하고, 피해가 경미한 포장은 이병주를 조기에 제거한 후 적용약제로 관주하는 등 역병 확산을 막고, 피해가 심한 포장은 토양에 병원균 밀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이병주를 제거한다. <BR></P><P>○ 탄저병은 자낭균으로 28~32℃의 온도가 높고 습도가 많을 때 발생이 심하고 병에 걸린 고추 등 잔재물에 의해 전염이 되므로 병든 고추나 가지, 잎 등을 모아서 소각하거나 깊이 묻고 적용약제를 뿌린다. <BR></P><P>○ 담배나방이나 진딧물, 응애 등 해충들은 예찰결과에 따라 방제시기를 정한다. <BR></P><P>○ 비가 계속해서 올 경우에는 비갠 틈을 타서 원예용 전착제를 필수적으로 혼합하여 뿌려 준다. <BR></P><P>○ 붉은 고추는 가능한 빨리 수확하여 다음에 달리는 열매의 자람을 촉진시키도록 한다. <BR></P><P>○ 수확한 고추는 가능한 깨끗이 씻은 후 적온건조로 국내산 건고추의 품질을 높여 수입산과 차별화가 되도록 한다. <BR></P><P>○ 건조기에 의한 화력건조를 할 때는 건조기의 온도를 55℃ 내외에서 48시간 말린 다음 하우스 안에서 햇볕에 충분히 말려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BR></P><P>○ 거름기가 부족한 밭에서는 웃거름을 주어 생육을 촉진시키고, 가뭄의 해를 받은 포장은 점적관수장치를 이용해서 관비를 공급한다. <BR><BR>나. 무·배추 <BR></P><P>○ 가을 무·배추 파종에 알맞은 시기는 중부지방이 8월중순, 남부지방이 8월하순경으로 제때에 파종한</P><P> </P><P>다. 파종량은 10a당 무를 점뿌림할 때는 1ℓ, 줄뿌림할 때는 2ℓ, 배추 육묘재배는 0.7㎗가 소요된다. <BR></P><P>○ 배추는 반드시 육묘재배토록 하고 육묘상은 망사터널을 설치하여 바이러스병을 예방토록 한다. <BR></P><P>○ 무사마귀병이 발생되었던 포장은 가급적 돌려짓기를 하고 내병성 품종을 선택하며 정식 전에 무사마귀병 적용약제인 혹안나분제 20㎏이나 후론사이드분제 40㎏을 살포한다. 배추는 정식 전에 미리카트에 침지처리를 한다. <BR></P><P>○ 수확기에 있는 고랭지 무·배추는 적기에 출하토록 한다. <BR></P><P>○ 고온 다습으로 무사마귀병, 무름병, 뿌리마름병(똑딱병), 검은썩음병 등 병해 발생이 증가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용약제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키도록 한다. <BR><BR>다. 수박·참외·오이·호박 등 <BR></P><P>○ 과습한 포장은 배수로를 정비하고 잦은 강우로 비료가 유실된 포장은 질소와 칼리질 비료를 주어 세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BR></P><P>○ 오이나 호박 등 지주를 설치하여 재배하는 작물이 쓰러진 경우에는 즉시 일으켜 세우고 덩굴 간격을 알맞게 유지토록 관리한다. <BR></P><P>○ 역병, 탄저병, 덩굴마름병이 발생된 식물체는 빨리 제거하고 적용약제를 살포토록 한다. <BR><BR>라. 시설 하우스 <BR></P><P>○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주고 고온기 환기 등 환경관리에 유의한다. <BR></P><P>○ 가을재배용 작물은 상토준비, 육묘상 관리를 잘하여 튼튼한 묘를 생산 하여 재배한다. <BR></P><P>○ 휴작기에 있어 작물이 없는 빈 하우스는 물을 3~4㎝ 정도 담은 후 그 위에 비닐을 덮어 토양전염성 병원균을 살균하고, 집적된 염류농도를 낮추어 토양이 개량되도록 한다. <BR></P><P>○ 강우가 많을 때는 하우스주변에 배수구를 깊게 설치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하고 온도가 높을 때는 차광막을 설치하고, 통풍을 잘하여 고온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BR><BR>4. 과 수 <BR></P><P>○ 복숭아나무의 웃자란 가지 정리, 적기에 봉지 벗기기, 받침대 세우기 등 품질향상을 위한 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하고 복숭아의 당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배수로 정비와 나무 밑에 비닐 깔기 등을 실시하도록 한다. <BR></P><P>○ 수확기에 비가 올 경우에는 수확시기를 2~3일 늦추고 선별을 잘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 <BR></P><P>○ 포도는 송이를 적당히 남겨 두어 당도를 높이고 색깔이 잘 들도록 관리한다. 또한 포도 수확기에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예상될 때는 나무 밑에 비닐을 덮어 주어 토양 과습으로 포도 알이 터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다. <BR></P><P>○ 익은 포도는 적기에 수확하여 소비자가 좋아하는 규격으로 포장을 다양화하고, 출하 물량이 일시에 몰리면 가격이 떨어지게 되므로 출하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BR></P><P>○ 고온기에 발생이 많은 응애류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과원을 살펴보아 한 잎에 2~3마리가 보이면 적용약제를 살포하는데 응애는 약제에 대한 내성이 강하므로 똑같은 약만 계속 살포하지 말고 계통이 다른 약제로 바꾸어 뿌리도록 한다. <BR></P><P>○ 약제를 살포할 때에는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도록 웃자란 가지를 정리하고 충분한 양을 살포한다. <BR></P><P>○ 여러 날 구름이 끼거나 서늘하다가 갑자기 낮 최고기온이 31℃를 넘는 맑은 날에 강한 빛을 받을 때 일소과 발생이 많이 일어나므로 과실이 강한 직사광선을 받지 않게 가지들을 잘 배치하고 과다 착과를 지양하며, 관수를 적절히 한다. <BR></P><P>5. 화 훼 <BR></P><P>○ 겨울철에 출하하기 위한 국화는 식물체 상부에서 1m 높이에 10㎡당 100W 백열등 전구 한 개를 설치하여 전등 사이의 밝기가 30룩스 이상이 되도록 관리한다. <BR></P><P>○ 국화의 조명은 한밤중인 20시부터 02시까지 하도록 하고, 절전을 위하여 3일간 조명하고 하루는 꺼 주는 방법을 활용하도록 한다. <BR></P><P>○ 시설재배에서 병해 발생이 우려되므로 환기가 잘 되도록 환기면적을 크게 하고 작물이 과번무 포장은 솎음작업을 해 준다. <BR></P><P>○ 시설에서 재배 중인 화훼류는 고온에서는 품종 특성의 고유색이 나타나지 않고 웃자라게 되므로 햇볕이 강한 날에는 30% 정도의 차광막을 쳐 주고, 가장 기온이 높은 시간에 안개분무를 해서 온도가 내려가도록 관리한다. <BR></P><P>○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등 해충이 발생한 포장에서는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살포하고, 물 주는 양을 늘리는 관리를 한다. <BR></P><P>○ 아파트 베란다나 사무실 공간에서 키우고 있는 화분은 오전 중에 충분히 물을 주며, 해충이 발생했을 때는 잡아주고 물로 깨끗이 씻어 준다. <BR><BR>6. 버섯·잠업 <BR><BR>가. 버섯 재배 <BR></P><P>○ 가을 느타리버섯은 중저온성 계통의 버섯을 재배하여야 하는데 종균,우량배지, 멀칭용 비닐 등의 자재를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BR></P><P>○ 버섯 종균은 허가를 취득한 종균 배양소에서 생산된 우량종균을 구입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종균의 특성을 사전에 숙지하고 30~40일전에 미리 예약을 하여 두는 것이 안전재배를 할 수가 있다. <BR></P><P>○ 재배사 바닥이나 균상은 적정약제로 소독을 철저히 하여 병해충의 오염원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BR><BR>나. 가을 누에치기 <BR></P><P>○ 애누에를 인공사료로 사육할 때는 뽕잎으로 기를 때보다 깨끗한 환경조건이 유지되도록 잠실과 잠구를 더욱 철저히 소독하고 사육온도를 1~2℃ 높게 관리한다. <BR></P><P>○ 인공사료는 햇볕에 쪼이게 되면 사료가 변하고 높은 온도에서는 신선도가 떨어지므로 냉장고(5℃)에 보관하는 것이 좋으나 시설이 없을 때는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고 사용하도록 한다. <BR></P><P>○ 뽕잎으로 사육할 때는 누에 나이에 알맞은 뽕잎을 주도록 하고, 누에사육 도중에 소독을 할 경우에는 적용약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BR><BR>7. 축 산 <BR><BR>가. 가축 사양관리 <BR></P><P>○ 고온상태에서 습도가 높으면 가축은 식욕저하, 발육부진, 번식장애 등이 나타나므로 축사의 단열, 그늘막 설치 등으로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하고, 축사개방 및 송풍기 가동으로 환기를 해 주어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BR></P><P>○ 젖소와 한우는 양질의 풋베기 사료나 담근먹이를 충분히 급여하도록 하고, 풀 사료도 아침이나 저녁으로 시원한 시간대에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사료 주는 양을 조절하도록 한다. 비로 인하여 젖은 풀이나 이슬이 많은 풀은 물기를 제거한 후에 급여하도록 한다. <BR></P><P>○ 젖을 먹이는 어미돼지는 높은 기온으로 사료 먹는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가능한 신선한 사료를 3회 이상 나누어 급여하고, 필요한 경우 지방 사료나 포도당 등을 첨가토록 한다. <BR></P><P>○ 계사의 온도가 30℃를 넘고 상대습도가 높을 때는 창문을 최대한 열어서 온도를 낮추어 주도록 하고 주변의 바람을 막는 장애물을 치워 주도록 한다. <BR><BR>나. 초지 사료작물 관리 <BR></P><P>○ 목초를 예취할 때는 10㎝ 이상 높게 베고 방목을 할 때에도 풀의 키가 10㎝ 정도 남도록 방목 강도를 조절한다. <BR></P><P>○ 옥수수로 담근먹이를 만들 때는 영양분의 함량이 많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담근먹이의 품질과 수량을 최대한으로 늘리도록 하고, 수확에 소요되는 기간을 감안하여 수확을 하도록 한다. <BR><BR>다. 가축 질병 예방 <BR></P><P>○ 축사에 통풍환기를 잘 해 주고 분뇨를 제거하여 알맞은 습도를 유지하고 축사 내 유해가스를 줄여준다. <BR></P><P>○ 고온에 따른 가축의 기립불능증, 열사병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축사 지붕에 그늘막을 설치하고, 선풍기 등을 이용하여 바람을 불어주거나 가축의 머리 등에 시원한 물을 뿌려 체온을 내려주도록 한다. <BR></P><P>○ 급이기나 급수기를 깨끗하게 하고 먹는 물을 수시로 소독하여 수인성 질병을 예방한다. <BR></P><P>○ 모기, 파리 등 유해곤충에 의한 피해를 보게 되므로 축사 주변의 물웅덩이를 없애고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분뇨에 발효제를 첨가하여 살충을 하고, 밤에는 모기퇴치전구나 살충등을 이용하여 모기의 접근을 막도록 한다. <BR></P><P>○ 구제역 및 돼지콜레라의 재발 방지를 위하여 매주 수요일 축사안팎을 소독하고 평상시에도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며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BR></P><P>○ 소 부루세라병과 결핵병 및 광견병의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의 야생동물의 축사 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소독제를 사용하여 축사 내·외부를 자주 소독하며 정기적으로 혈청검사를 받도록 한다. <BR>○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의 예방을 위하여 양계장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차단방역을 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백신을 접종한다. <BR></P><P>○ 기상 재해에 대비하여 시설의 노후상태나 전기 누전 차단 여부 등을 점검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BR><BR>☞ 과채류 관측월보(농촌경제연구원) <BR><BR>■ 8월 채소류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마늘을 제외한 채소류의 8월 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보다 낮을 전망. 가을철에 출하되는 채소류의 재배의향 및 출하예상면적은 파와 감자는 작년보다 증가하나, 배추, 무, 당근, 양배추는 감소 전망. 내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은 금년산보다 4%, 양파는 3% 감소. <BR><BR>■ 8월 배추ㆍ무 가격은 작년보다 크게 낮을 전망 <BR>배추의 8월 국내출하량은 작년과 비슷하고, 무는 5% 많을 전망. 김치 수입량을 고려한 배추ㆍ무의 전체물량이 작년보다 많아 가격은 작년보다 50% 내외 낮을 전망. 가을배추ㆍ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각각 14%, 12% 감소. <BR>■ 8월 고추 가격은 작년보다 다소 낮을 전망 <BR>6월 이후 고추 수입은 감소추세이나 재고량과 금년 생산량이 작년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금년 고추 수확기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낮은 화건 상품 600g당 4,600~5,0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됨. <BR><BR>■ 마늘, 양파 생산량은 작년보다 각각 5%, 8% 많아 <BR>금년산 마늘 생산량은 작년산보다 5% 많은 37만 4,980톤임. 8월 수입량은 작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량이 많아 8월 가격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을 전망. 내년산 재배의향면적은 금년산보다 4% 감소. <BR>금년산 양파 생산량은 작년산보다 8% 많은 102만 3,330톤임. 중만생종 양파의 생산량이 작년 동기보다 11% 많아 8월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을 전망. 내년산 재배의향면적은 금년산보다 3% 감소. <BR><BR>■ 8월 대파ㆍ쪽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다소 많아 <BR>8월 대파 출하량이 작년보다 다소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상품 kg당 평균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다소 낮을 전망. 9~11월 가을대파 출하예상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2% 증가. <BR>8~9월 쪽파 출하량은 작년보다 5% 많아 도매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은 상품 kg(단)당 1,900원 내외 전망. 10~11월 쪽파 출하예상면적은 작년보다 증가하나, 12월 이후는 감소. <BR><BR>■ 8월 당근, 양배추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BR>8월 당근의 국내 출하량은 작년보다 28% 적으나, 수입량 증가로 전체 출하량이 많아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양배추 출하량은 작년보다 19% 많아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전망. 가을당근ㆍ양배추 재배의향면적은 9%, 12% 감소. <BR><BR>■ 8월 수미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낮을 듯 <BR>8월 고랭지감자 출하량 및 노지 봄 감자 저장량 증가로 8월 수미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20% 많을 전망. 따라서 8월 수미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크게 낮은 상품 20kg당 10,000원 내외 전망. 가을감자 재배의향면적은 평년보다 16% 증가 전망.</P><P> </P><P align=right>- 2005. 8. 10. 농촌진흥청 -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1429 | 2,241 | ||
1428 | 2,244 | ||
1427 | 2,444 | ||
1426 | 2,052 | ||
1425 | 2,383 | ||
1424 | 2,346 | ||
1423 | 2,031 | ||
1422 | 2,115 | ||
1421 | 2,138 | ||
1420 | 2,0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