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도입 7년째 맞는 과실수급안정사업 참여 늘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8-06 조회수 2385
<P><STRONG>도입 7년째 맞는 과실수급안정사업 참여 늘어 <BR>&nbsp; </STRONG></P><P><STRONG>올 2,433억원어치 계약 … 감귤농가 호응 두드러져</STRONG></P><P><BR>올해로 도입 7년째를 맞는 과실수급안정사업(종전 과실출하계약사업)에 대한 과수농가의 호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때 타격이 우려되는 감귤농가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P><P>&nbsp;</P><P>농협중앙회가 최근 과실수급안정사업 신청 접수를 마감한 결과, 사과·배·감귤·단감 재배농가가 모두 18만9,344t(2,433억원어치)을 이 사업을 통해 출하키로 계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6만2,679t(2,086억원어치)보다 16% 늘어난 규모다. 참여 농가수도 지난해(1만1,008농가)보다 12% 많은 1만 2,351농가에 달했다.</P><P>&nbsp;</P><P>품목별로는 감귤이 7만4,347t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가 5만5,864t으로 뒤를 이었다. 사과와 단감도 4만 6,889t과 1만2,244t이 계약됐다. </P><P>&nbsp;</P><P>이 중 감귤은 지난해(5만5,089t)보다 무려 35%나 늘었으며, 배도 16.8%가 증가했다. 반면 사과는 0.2%, 단감은 4.1%가 줄었다. </P><P>&nbsp;</P><P>서울시 농협중앙회 원예부 차장은 “감귤의 계약물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한·미 FTA 등으로 가격 하락에 대한 감귤농가의 우려가 크게 작용한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P><P>&nbsp;</P><P>과실수급안정사업은 2001년 과수(사과·배·감귤·단감)의 수급안정과 재배농가의 소득 지지를 위해 도입됐다. 사업에 참여하는 농가들은 계약한 물량을 수확기 때 농협에 의무적으로 출하해야 하는 대신, 봄철에 영농자금을 무이자로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수확기 과실가격이 계약단가의 90% 아래로 떨어졌을 경우 농협(유통손실보전자금)으로부터 손실의 일부를 보전받을 수 있다.<BR>&nbsp;<BR>&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농민신문('07.8.6)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299

비온 뒤 농산물, 선별에 조금만 신경써도 값 ‘쑥쑥’

2,189
3298

흐린날씨 덕 대파값 ‘반짝’…잦은 비로 반입 줄어

1,926
3297

아삭아삭…신품종풋고추 인기, 거래량도 증가

2,551
3296

복숭아·수박 등 당도저하에 소비부진 … 값 ‘고전’

2,007
3295

오렌지 작황부진으로 자몽 수입량 급증

2,893
3294

장마 영향 채소류값 ‘껑충’

2,206
3293

배 값 ‘고공행진’ 장기화

2,322
3292

생산 늘고 소비부진으로 잡곡값 상승세 ‘주춤’

2,809
3291

도입 7년째 맞는 과실수급안정사업 참여 늘어

2,385
3290

깻잎 출하 줄자 ‘귀하신 몸값’ 등급별로는 가격차 커

2,346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