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잦은 비·더운 날씨… 농산물시장 ‘몸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08-24 조회수 2784
<P><STRONG>잦은 비·더운 날씨… 농산물시장 ‘몸살’ <BR></STRONG></P><P><STRONG>과일 당도 하락·품질 손상 심해 ‘소비 찬물’ <BR></STRONG></P><P>전국에 걸쳐 계속되고 있는 지루한 우천 속에 농산물 시장의 피해가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장마철은 지난달 하순을 기해 공식 마무리됐지만 이 달 들어 맑았던 날은 손꼽을 정도로 비는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철 과일류의 당도하락과 채소류 병해충 발생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nbsp; <BR>&nbsp; <BR>&nbsp;&nbsp; <BR>연일 계속되는 비와 흐린 날씨로 인해 과일-채소류 등 농산물 품질 저하와 소비부진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nbsp; <BR>&nbsp;<BR><STRONG>▲과일 당도하락, 소비 부진으로 연결</STRONG>=보통 과일은 일조량이 많을수록 높은 당도를 형성, 8월 중 최고 상품성을 자랑하는데 반해 올해는 해가 거의 들지 않은 상태에서 고온과 열대야가 지속되고 있어 과의 크기만 성장할 뿐 당도 상승에는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nbsp;&nbsp; <BR></P><P>특히 조금만 물러도 곧바로 저급품으로 전락하는 복숭아의 경우 하루 이틀만 지나도 손자국이 보이는 무름 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포도도 알이 터지는 열과 증상이 점점 확대되고 있어 선별 관리에 어려움도 커지고 있다. <BR></P><P>하우스 재배 상품을 제외하고는 수박도 제철이 무색할 정도로 당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평가가 흘러나오고 있고, 끝물에 접어든 자두 역시 단맛을 거의 잃을 정도다. <BR></P><P>과일들이 줄줄이 당도하락에 고전하면서 소비도 위축되고 있는 실정. 도매시장의 경우 재고 부담으로 인한 중도매인들의 구매의욕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시세 하락으로 곧장 연결되고 있고 소비지 유통업체들도 가격을 낮춰 전단할인행사에 나섰지만 평소와 같은 소비 반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BR>&nbsp;<STRONG>&nbsp;&nbsp;&nbsp;&nbsp; <BR>▲채소도 병해 발생에 속수무책</STRONG>=여름철 병해충에 노출되기 쉬운 것은 채소류도 마찬가지. <BR>고추나 애호박 등 꼭지가 달려있는 상품들은 꼭지 무름 현상이 심화되는가 하면 오이&#44226;9湄?부패 과와 병과 출현 등 유통 과정의 상품성 손상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nbsp; <BR></P><P>물량은 되레 늘어났다. 가락시장 채소류 반입량은 지난 12일 4715톤 13일 5632톤, 15일 4822톤, 16일 4815톤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0~25%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nbsp; <BR></P><P>이런 가운데 신선 엽채류의 경우 잎이 흐물흐물하고 쉽게 찢어지는 저급 상품의 반입이 늘고 있고, 깻잎도 예년 같으면 서서히 탄력이 생기면서 잎 뒷면의 보라색 기운이 선명하게 감돌아야 하는데 올해는 그러한 상품 출하가 늦어지고 있다는 것이다.<BR>특히 단호박은 당도 저하는 물론 부패과 발생을 줄이기 위한 산지의 미숙과 출하가 늘어나고 있어 소비 외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nbsp; <BR></P><P>농협가락공판장 박충금 경매차장은 “하루가 멀다하고 비가 내리다보니 습기와는 상극인 채소류의 상품성 저하가 급격하게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BR>&nbsp;&nbsp;&nbsp;&nbsp;&nbsp; <BR><STRONG>▲날씨 변화에 따른 수급 전망</STRONG>=비가 잦을수록 소비자들의 야외 활동에는 불편이 초래되기 때문에 우천이 계속된다는 전제하에 전반적인 농산물 매기는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BR>과일가격 형성도 현재로서는 그날그날 날씨 변화에 따른 산지작업량에 따라 일시적인 반등과 하락이 반복될 것으로 유통 관계자들은 진단하고 있다. <BR></P><P>병과와 부패 과의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상품성에 따른 가격편차가 극심하게 벌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런 와중에 비가 그치고 폭염이 시작된다면 특히 엽채류는 갑작스런 수분 증발로 인한 녹음 현상이 발생, 가격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nbsp; <BR></P><P>동화청과 이재흥 기획팀장은 “매년 여름철에는 게릴라성 폭우로 인해 채소류 값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올해는 전국적으로 많은 양의 비가 자주 내리다보니 농산물의 상품성이 저하되고 덩달아 소비도 위축되고 있다”며 “하순 이후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 등급별 상품성 격차가 더 벌어지고 공급량도 감소하면서 다소 가격이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R>&nbsp;</P><P>&nbsp;</P><P>&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339

미나리 출하량 산지조절 … 값 전망 밝아

2,409
3338

한눈에 보는 시세 / 옥수수

2,557
3337

대형마트, 여름 성수기 맞은 미숫가루 판촉 활발

2,821
3336

올해산 햅쌀 나왔다

2,564
3335

시세정보 단위, 포장·중량 등 거래 현실 반영을

2,843
3334

잦은 비·더운 날씨… 농산물시장 ‘몸살’

2,784
3333

최근 농식품 판매실적, 대형마트 줄고 백화점은 늘고

2,425
3332

지난 10년, 전국 49개 농수산물도매시장 거래실적 살펴보니…

2,812
3331

햇농산물 출하 ‘봇물 터졌네’

2,686
3330

<관심품목> 호박.. 반입량 감소로 강세

2,38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