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배추값 ‘초강세’… 이달 중순 꺾일 듯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1-05 조회수 2643
<P><STRONG>배추값 ‘초강세’… 이달 중순 꺾일 듯 <BR></STRONG></P><P>농경연 11월 채소관측 <BR>재배면적과 단수 감소로 이달 주요 채소류의 출하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와 무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양념채소류인 양파와 마늘은 약세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일 발표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채소 농업관측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nbsp; <BR>&nbsp; <BR><STRONG>10kg 한망에 6500원 내외 전망</STRONG></P><P><STRONG>▲배추</STRONG>=이달 배추 출하면적은 가을배추 재배면적 감소로 지난해 동기보다 12%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월보다 작황은 다소 좋아졌지만 잦은 비와 일조 시간의 부족으로 생육상황이 좋지 않아 단수는 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달 배추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가 전망된다. 지난달 가을배추 포전거래가격은 3.3㎡당 5000~7000원이었으나 최근 7000~1만원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BR></P><P>이달 상품 10kg 한 망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동기보다 크게 높은 6500원 내외가 전망된다. 그러나 10월 같은 출하 공백은 없을 것으로 보여 중순 이후부터 가격 하락세가 뚜렷해질 가능성이 있다. </P><P>&nbsp;</P><P><STRONG>내년 초 월동무 홍수출하 우려</STRONG></P><P><STRONG>▲무</STRONG>=가을 무 재배면적은 지난해 동기보다 17% 줄어들 것으로 집계됐다. 단수는 10% 감소, 출하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27% 감소가 예상된다. 가을무 포전거래가격은 3.3㎡당 5000~6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달 무 상품 18kg당 거래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예년보다는 높으나 지난달보다는 다소 하락한 1만4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BR></P><P>한편 제주 태풍 피해 이후 감자·당근 등의 폐작 면적이 월동무로 전환되면서 제주 월동무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9% 늘어 내년 2월 이후 홍수 출하가 우려되고 있다.</P><P>&nbsp;</P><P><STRONG>재고량 6만2800톤 ‘약보합’ 예상</STRONG></P><P><STRONG>▲마늘</STRONG>=지난달 마늘 상품 1kg당 평균 도매가격은 난지형이 2110원, 깐마늘은 3290원, 한지형은 4300원 등이었다. 저장업체 조사결과 지난달 20일까지 마늘 출고량은 지난해보다 8% 감소한 1만6500톤이며 재고량은 약 6만7400톤으로 나타났다. 부패율을 적용하면 조정재고량은 전년동기보다 11% 많은 6만2800톤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1~29일까지 수입량은 깐마늘 989톤, 냉동마늘 2258톤, 건조마늘 710톤(MMA 700톤 포함) 등으로 신선마늘로 환산할 경우 전년 동기보다 61% 많은 8500톤이다. 마늘 가격 약세로 저장업체들의 출고 조절이 있을 것으로 보여 이달 상품 1kg당 도매가격은 현 수준에서 보합세가 예상된다. </P><P>&nbsp;</P><P><STRONG>상품 1kg 도매가격 480원 안팎</STRONG></P><P><STRONG>▲양파</STRONG>= 저장량 조사결과 지난달 20일 기준으로 출고량은 13만6900톤으로 지난해보다 4% 감소했고, 재고량은 17% 많은 38만5300톤으로 조사됐다. 부패율을 적용한 조정재고량은 전년동기 대비 6% 많은 31만7500톤 내외다. <BR></P><P>지난달 29일까지 한달동안 수입량은 신선·냉장 양파 1791톤, 냉동양파 105톤으로 지난해동기보다 각각 29%, 52% 감소했고 건조양파는 3배 이상 증가한 89톤이었다. <BR>이달 상품 1kg당 도매가격은 예년동기를 크게 밑도는 480원 내외가 예상된다. </P><P>&nbsp;</P><P><STRONG>출하량 줄어 20kg 3만2000원선</STRONG></P><P><STRONG>▲당근</STRONG>=이달 당근 출하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27% 적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포전거래 평균 거래가격은 상품을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슷한 수준인 5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1~29일 당근 수입량은 전년동기보다 7% 증가한 8545톤이었으며 이달 수입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BR>이달 당근의 전체 출하량은 고랭지 저장당근과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산지 출하량의 감소로 지난해 동기보다 11%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은 상품 20kg을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45% 높은 3만20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BR>&nbsp;</P><P>&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07.11.5)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469

곡물값 ‘상승곡선’ 국내 생산량 감소 영향

5,385
3468

배추값 ‘초강세’… 이달 중순 꺾일 듯

2,643
3467

비수기여파 상추값 내리고 물량 부족…양상추값 뛰고

2,994
3466

제주산 감귤 對美 수출 재개

2,379
3465

서울국제식품전시회‥2,000여 우수농식품 ‘눈길’

2,218
3464

토마토값 ‘고공비행’

2,324
3463

선데이 타임스 “유기농식품 일반식품보다 영양 우수”

2,133
3462

친환경농산물 말려서 틈새시장 ‘똑똑’

2,417
3461

유통확대경-‘후지’ 사과, 생산 늘어 값 낮을 듯

2,234
3460

딸기 출하 예년보다 1주일 늦어 … 이달 중순 본격화

2,33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