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저장과일 거래동향·값 전망 ⑴ 배, 약보합 유지전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7-12-10 조회수 2086
<P><STRONG>저장과일 거래동향·값 전망 ⑴ 배, 약보합 유지전망&nbsp;<BR></STRONG>&nbsp;&nbsp;&nbsp;</P><P>&nbsp;</P><P><STRONG>저장량 작년보다 20% 증가 … 약보합세 유지할 듯</STRONG></P><P><BR>올해 배·사과·단감 등의 생산량은 늘었고, 저장량도 지난해보다 많다. 수확기 잦은 비로 인해 당도·색택 등 품질은 다소 떨어진다. 추석 이후 배 등 저장 과일값은 소비부진으로 약보합세를 형성하고 있다. 산지에서는 출하를 미루며 관망하고 있다. 이에 시장관계자들은 저장량 증가로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올 경우 값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꾸준히 출하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저장과일 거래동향과 값 전망을 3회에 걸쳐 배·사과·단감의 순으로 짚어본다. </P><P>&nbsp;</P><P><STRONG>◆저장량 늘고 대과 비율 높아</STRONG></P><P>올해 배 생산량은 46만7,000t으로 지난해보다 8.3% 늘었다. </P><P>&nbsp;</P><P>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2월 이후 배 공급량이 20만t으로 지난해보다 9% 정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산지에서는 저장량이 지난해보다 20%가량 많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수확량이 늘어난 데다 이른 추석과 추석 이후 낮은 시세로 인해 산지에서 출하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P><P>&nbsp;</P><P>도상온 경기 안성과수농협 과장은 “올 저장량이 지난해보다 10~15% 많다”면서 “9월 잦은 비로 과 비대가 잘돼 대과 비율이 20%가량 늘었다”고 말했다. 이영구 충남 천안배농협 과장은 “착과가 잘됐고 과형이 커 생산량이 늘어난 데다 저장량 또한 전년 대비 30%가량 증가했다”며 “예년에는 대과 비율이 45~60%를 차지했으나 올해는 65~75%에 이른다”고 말했다. 전남 나주지역도 저장량이 늘기는 마찬가지다. </P><P>&nbsp;</P><P>하지만 잦은 비로 당도가 낮고 경도(단단한 정도)가 떨어져 저장량이 늘어난 만큼 정품 비율이 높지는 않다. </P><P>&nbsp;</P><P>원동오 충남 조치원농협 과장대리도 “저장량이 전년 대비 30% 이상 늘었지만 껍질에 얼룩무늬가 생기고 흑변 현상이 많이 나타났다”면서 “품질이 썩 좋지 않아 상품 비율은 지난해 수준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P><P>&nbsp;</P><P>김인오 전남 나주배원협 과장대리도 “당도가 11~12브릭스로 지난해보다 1브릭스 정도 낮고, 바람들이 현상 등이 많다”면서 “저장성이 약하고 부패과 발생률이 높아 특품 비율은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P><P>&nbsp;</P><P>저장량이 많아 산지거래가 미미하고 거래가격도 낮게 형성되고 있다. 충남 천안지역은 18㎏(플라스틱 상자)에 품질이 좋은 것은 3만~3만5,000원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이는 지난해보다 1만원 정도 낮은 수준이다. 경기 안성지역의 경우는 일부가 18㎏당 지난해보다 5,000원 정도 낮게 거래됐다. </P><P>&nbsp;</P><P>◆<STRONG>소비부진 약보합…값 전망 밝지 않아</STRONG> </P><P>요즘 서울 가락시장에서 〈신고〉 15㎏ 상품은 2만5,000원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다. 예년 이맘때보다 5,000원, 지난해보다는 1만5,000원 정도 낮다.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적은 수준이지만 소비가 원활하지 않은 게 주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P><P>&nbsp;</P><P>당분간 값은 현 수준의 약보합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고태종 농협가락공판장 경매과장은 “연말에는 농가에서 농자재값 상환 등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달 중순 이후 한차례 홍수출하 현상으로 값이 떨어질 것”이라면서 “이후 물량이 다시 줄면서 값은 회복되겠지만 큰 폭의 상승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P><P>&nbsp;</P><P>특별한 소비 호재가 없고, 올해 사과·단감·감귤 등의 생산량도 많아 소비가 분산되는 것도 값 상승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P><P>&nbsp;</P><P>이에 따라 시장 관계자들은 내년 설 특수를 기대하지 말고 꾸준히 출하하는 게 유리하다고 강조한다. 올해 저장량이 많아 내년 설 대목에 홍수출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현구 서울청과㈜ 경매사는 “올해 생산량이 늘었지만 낮은 시세 때문에 오히려 추석 이후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적다”면서 “남아 있는 물량이 많기 때문에 지금부터 꾸준히 소진하지 않으면 한꺼번에 출하돼 값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P><P>&nbsp;</P><P>김문겸 ㈜중앙청과 경매사는 “9월 장기간의 우기로 배가 수분을 많이 흡수해 저장력이 떨어지고 바람들이 현상이 많이 나타난다”면서 “저장기간이 길면 길수록 비용은 늘고, 부패로 상품 비율은 줄어드는 만큼 분산출하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P><P>&nbsp;<BR>&nbsp;<BR></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농민신문('07.12.10)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519

무·마늘·고춧가루 등 김장재료 가격 재래시장이 싸

2,501
3518

저장과일 거래동향·값 전망 ⑴ 배, 약보합 유지전망

2,086
3517

"내년 봄배추, 양배추 재배 줄이세요"

2,532
3516

대형마트 미국산 오렌지 판촉경쟁 불붙어

2,660
3515

12월 채소관측월보

2,430
3514

홍고추·홍피망값 ‘천정부지’

2,356
3513

친환경농산물 거래 늘었다

2,285
3512

여자들이 더 좋아하는 ‘건강 기능 식품’

2,279
3511

미니확대경-시금치, 물량 줄고 출하 더뎌 강세

2,614
3510

집중분석-배추·무, 김장철 출하 늘어 내림세

2,66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