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2008 축산, 희망을 보다 ▶생산자 만족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1-07 | 조회수 | 2238 |
<P><STRONG>2008 축산, 희망을 보다 ▶생산자 만족 </STRONG></P><P> <BR>최근 국내 축산업은 농림업 총 생산액의 33%이상을 차지할 정도의 중요 산업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아직 극복해야할 현안들이 너무 많다. 일선 현장에서는 치솟은 생산비에 축산업을 포기하는 농가들이 늘고 있다. 생산성 향상과 수출 활성화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축산물 구입자인 소비자들도 변했다. 소비자의 취향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곧바로 외면 당할 정도로 까다로워졌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하는 축산업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자.</P><P> </P><P><STRONG>"농장 사료 허실량 최소화, 국내 조사료 자급률 높여야"</STRONG></P><P><STRONG></STRONG> </P><P><STRONG>①생산비를 줄여라</STRONG></P><P>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사육여건변화가 양돈소득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사료비가 7% 상승시 농가 소득이 0 이하인 농가 비율은 20%에 달하고 사료값 10% 상승시에는 22%, 15% 상승시 24%로 늘어난다고 전망했다. <BR></P><P>현재 대부분 양돈장 생산비(지육단가기준)는 3100~3500원이지만 돈가는 구랍 24일 현재 2947원에 불과하는 등 3000원에도 못 미친다. 연초부터 사료값 인상이 추진되면서 올해도 생산비 상승은 불가피해 축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생산비 절감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기이다.<BR></P><P>양돈장 사료허실량은 통상 약 5~10% 정도로 월간 약 50톤을 사용하는 양돈장의 경우 매월 110만~220만원(kg당 440원 기준)을 버리고 있다. 또 프로그램상 비육후기사료 급여율은 45% 정도이지만 대부분 양돈장은 이를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다.<BR></P><P>사료업계 전문가들은 "6~7%를 써야하는 자돈사료를 10%까지 급여하는 등의 이유로 생산비가 오른다"면서 "구간에 맞게 사료를 쓰고 절약할 수 있는 항목을 줄여라"고 당부했다.<BR></P><P>사료업체들도 불필요한 경영비를 줄여나가는 등의 노력으로 사료값 인상을 최소화해야 하고 정부는 해외자원개발 및 제도개선 등 축산업계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BR></P><P>현재 2/102인 사료원료 의제매입세 환급세율을 5/105로 확대하면 344억1500만원의 세제혜택이 발생해 사료가격 1% 경감효과가 나타난다. 배합사료 부가세영세율도 과세로 전환될 경우 9.1% 가격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항구적 법률로 제정해야 한다.<BR></P><P>올해 연 4% 이자로 약 500억원이 지원되는 사료원료구매자금도 1000억원으로 확대하고 지원조건도 3년거치 무이자로 개선해야 한다. 다만 제도개선이 농가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리·감독이 필요하다.<BR></P><P>장경국 굿네이버스 감사는 구랍 4일 농경연이 주최한 국제곡물가격 상승 영향과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캄보디아산 옥수수의 계약생산시 도입 가능단가는 kg당 약 110~120원으로 미국산 157~163원보다 가격에서 유리하다"고 주장했다.<BR></P><P>김병률 농경연 박사는 "국내 논 및 유휴지의 곡물재배를 적극 유도해 자급률을 올리고 중장기적으로 토지 구입 또는 임대로 남미 등 해외에 곡물생산기지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전문가 육성으로 국제사료곡물시장의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P><P> </P><P><STRONG>"질병근절 통해 생산성 향상, HACCP 도입…청정화 시급"</STRONG></P><P><STRONG>②품질을 높여라</STRONG></P><P>2007년 양돈농가들은 PED, PMWS 등 질병과의 싸움으로 힘겨웠다. 질병으로 지난해 전국 양돈장 평균 MSY(모돈당 연간 출하두수)는 약 13두에 불과했다. 올해 사료값이 약 20% 이상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지 않으면 농장경영악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BR></P><P>고품질로 생산돼야 할 축산물도 축산물 가격에 따라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다. 2006년 1월 42.4%, 4월 40.4%, 7월 45.5%, 10월 45% 등 40%대에 불과했던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축산물등급판정소 자료)은 지난해 1월 47.6%, 4월 46.3%, 7월 54.1%, 10월 55.3% 등 50%를 넘겼다. 거세율도 2006년에는 40%를 넘기지 못한 달이 대부분이었지만 2007년 11월 거세율이 71.8%에 달하는 등 급격한 오름세를 보였다.<BR></P><P>지난해 12월 평균 521만원이었던 한우 암소가격이 12일 현재 489만원까지 하락하고 한우 송아지 가격이 200만원대가 붕괴되는 등 소값이 급락하자 한우농가들이 생산성 향상에 매진하고 있는 것이다.<BR>생산성 향상을 위해 청정화 농장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이다. PED, PMWS 등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양돈장의 경우 종돈 청정화 및 정부의 자금 지원을 통한 농장시설개선 등은 물론 철저한 농장소독이 이뤄져야 한다. HACCP 도입도 농장 생산성 향상 및 경영 안정화에 보탬이 된다.<BR></P><P>축산물HACCP기준원이 지난해 8개 양돈장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한 결과, HACCP 인증 후 약품비가 379만7000원 감소하고 MSY가 15.9두에서 17.5두로 향상되는 등 생산성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순수익은 2699만5000원 늘어났다. 순수익 증대와 약품비 감소를 통해 얻은 이익에서 HACCP 도입을 위한 투자비용을 제외해도 497만3000원이 남았다.</P><P> </P><P><STRONG>"수출업체간 과열 경쟁 자제, 정부, 시장개척 적극 지원을" </STRONG></P><P><STRONG>③수출길 뚫어라</STRONG></P><P>2000년 구제역 발생으로 돼지고기의 일본 수출이 중단되면서 지난해 10월까지 수출실적은 5624톤에 불과했다. 2000년 1만9675톤의 약 29% 수준이다.<BR></P><P>국내 수출업체간 과열 경쟁으로 수출단가가 하락하고 홍보 및 의지 부족, 체계적인 바이어 관리 실패 등이 수출길을 막고 있다. 2.24달러(2000년)였던 가격은 1.2달러까지 하락했다.<BR></P><P>축산물 수출은 수급 안정 및 농가의 수취가격 제고 등 긍정적 영향을 주는 만큼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 각 분야별로 업계는 돈육시장 조사 및 수출가능성 점검, 수입업자 초청 세미나 등을 실시하고 정부는 위생조건협의, 쿼터량 확보, 수출시장개발 등의 외교적 역할과 수출로 발생할 수 있는 결손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BR></P><P>김남철 육류유통수출입협회장은 "러시아는 돼지고기에 대해 쿼터제를 도입으로 쿼터내에서는 15%의 관세, 쿼터외는 80%가 부여된다"면서 "쿼터량 확보 및 수출국가에서의 홍보, 수출상대국 학계와의 세미나 개최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P><P> </P><P><STRONG>"공감대 넓혀 농가참여 유도, 현 자조금법 개정 검토해야"</STRONG></P><P><STRONG>④자조금, 활성화하라</STRONG></P><P>축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해 2004년 양돈부터 시작된 자조금은 소비홍보를 중심으로 예산이 사용되고 있지만 축산농가들은 농가와 함께 하는 자조금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하기를 요구하고 있다.<BR></P><P>예를 들어 축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일궈낼 수 있는 학교급식시장 확대, 미국산 쇠고기 여파로 불안한 축산물 가격의 안정을 일굴 수 있는 할인행사지원 등의 역할이 필요하다.<BR></P><P>또 자조금 대의원들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자조금 주체를 축산단체로 규정하고 있는 자조금법을 농가로 바꾸고 대의원의장, 관리위원, 감사 선출 등을 대의원이 직접 선출하는 등의 법개정에 대해 검토와 자조금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관리·감독이 시행돼야 한다.</P><P><BR> </P><P> <BR> <BR>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559 | 2,488 | ||
3558 | 2,329 | ||
3557 | 2,829 | ||
3556 | 2,725 | ||
3555 | 2,654 | ||
3554 | 2,598 | ||
3553 | 2,362 | ||
3552 | 2,000 | ||
3551 | 2,238 | ||
3550 | 2,4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