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2008 농업전망 / 쌀ㆍ농산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1-29 조회수 2154
<P><STRONG>2008 농업전망 / 쌀ㆍ농산물</STRONG> </P><P><BR><STRONG>사과·배·감귤 생산 줄고 토마토·풋고추·오이 늘고 <BR>&nbsp;<BR></STRONG>&nbsp; <BR><STRONG>#쌀</STRONG> </P><P>올해 단경기 쌀값은 지난해보다 4000원~8000원 더 높게 형성될 전망이다. <BR>농경연은 시장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4.5% 감소함에 따라 2007년산 단경기 쌀 가격은 80kg 한 가마당 15만5000원~15만9000원으로 계절진폭은 3.1~5.7%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단 산물벼 인수도를 제외한 정부 공매 여부 및 물량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P><P>&nbsp;</P><P><STRONG>공급량 전년비 4.5% 감소<BR>단경기가격 작년보다 높아<BR>80kg 15만5천~15만9천원</STRONG></P><P>&nbsp;</P><P>2008년 양곡연도 민간부문 시장공급가능물량은 지난해보다 17만3000톤 감소한 369만5000톤으로 전망된다. 이는 2008년 정부매입량이 43만2000톤으로 지난해보다 7만2000톤 감소하는 등 시장격리량이 지난해보다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P><P>&nbsp;</P><P>2007년 쌀 단수는 태풍 ‘나리’와 잦은 비로 인한 일조시간 부족, 병해충 발생 등의 이유로 전년 493kg/10a보다 크게 감소한 466kg/10a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07년산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27만 2000톤 감소한 440만8000톤으로 집계됐다.</P><P>&nbsp;</P><P>농경연이 표본농가 1567호를 대상으로 벼 재배의향면적을 조사한 결과 올해는 지난해보다 0.7%감소한 94만3000ha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조생종이 지난해보다 0.5%감소하고 중생종, 중만생종도 0.7%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조생종 면적이 크게 늘어났지만 작황이 좋지 않아 품위(등급)가 떨어져 가격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BR></P><P>따라서 재배면적과 단수, 계절진폭, 1인당 쌀 소비 감소율을 감안한 2008년산 수확기 쌀값은 생산량이 443만톤일 때 80kg 한 가마당 15만2000원~15만6000원, 472만톤일 때 14만8000원~15만1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P><P>&nbsp;</P><P><STRONG>#농산물</STRONG></P><P>&nbsp;</P><P><STRONG>열대과일 수입 늘어 출하 전략 필요<BR>배추·당근·오이 재배 면적 증가 전망<BR>밤 전년수준 유지·표고 생산량 늘 듯</STRONG></P><P>&nbsp;</P><P><STRONG>▲과일류</STRONG></P><P>과일류 재배면적과 성목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과는 지해보다 2% 증가한 2만9865ha로 전망되나 생산량은 43만톤으로 2% 줄고 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된다. </P><P>&nbsp;</P><P>배는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 감소한 1만9591ha로 예상돼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생산량은 6% 감소한 44만톤 정도로 당도가 지난해보다 높으면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 감귤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한 2만1391ha, 생산은 13% 감소한 62만톤이 예상된다. 공급량은 평년수준이고 품질이 좋아지면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P><P>&nbsp;</P><P>단감은 재배면적은 2% 감소한 1만6008ha, 생산량은 22% 감소한 19만7000톤이 예상돼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 포도는 재배면적이 1% 감소한 1만8731ha, 생산량은 31만톤으로 전망돼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P><P>&nbsp;</P><P>복숭아는 재배면적이 지난해와 비슷한 1만3292ha, 생산량은 5% 줄은 20만톤으로 예상돼 가격은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열대과일 수입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적극 대처하는 생산 및 출하전략이 요구된다.</P><P>&nbsp;</P><P><STRONG>▲채소류</STRONG></P><P>지난해 배추 가격의 강세로 올해 배추 재배면적은 10% 증가한 3만7740ha로 예상되며 무와 양배추는 각각 2만5880ha, 5805ha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당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크게 증가한 2745ha, 감자는 지난해 강세를 형성해 대지와 수미 모두 증가한 총 1810ha로 전망된다.</P><P>&nbsp;</P><P>배추 수입량은 김치 수입증가로 2007년보다 4% 증가한 49만7500톤(신선배추로 환산) 내외로 예상되며 전체 공급량은 245만톤으로 추정된다.</P><P>&nbsp;</P><P>양념채소류의 경우 2008년산 고추 재배면적은 10% 감소한 4만9300ha, 양파는 15% 감소한 1만50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마늘은 지난해 수확기 가격 강세로 3% 증가한 2만7700ha, 대파 또한 3% 증가한 1만2900ha로 추정되며 쪽파는 크게 증가해 6680ha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P><P>&nbsp;</P><P><STRONG>▲과채류</STRONG></P><P>과채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한 6만690ha로 예상된다. 폼목별로는 수박, 참외, 딸기는 1~3% 감소하는 반면 토마토, 풋고추, 호박은 1~3% 증가하며 특히 오이는 지난해 크게 줄어 올해는 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품목별 생산전망은 수박은 2% 감소한 70만톤이 예상되며, 참외는 7% 증가한 20만톤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이 감소하는 딸기는 단수증가로 생산량은 1% 늘은 19만톤으로 예측된다.</P><P>&nbsp;</P><P>토마토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지만 생산량은 2% 증가한 50만톤에 달할 것이며, 풋고추는 강원과 충남 재배면적 증가로 생산량은 6% 늘은 27만톤으로 전망된다. 오이는 지난해보다 재배면적이 6%가 늘겠으나 단수는 감소해 생산량은 4% 증가한 36만톤으로 전망된다. 호박은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조금씩 증가하고 특히 단호박과 둥근애호박 중심으로 늘어날 것이다.</P><P>&nbsp;</P><P><STRONG>▲임산물</STRONG></P><P>지난 2007년 국내 밤은 평년에 비해 약 8.6% 감소한 7만4000톤 가량 생산됐으며 올 해 역시 7만5000톤 수준을 유지, 2013년에는 약 7만7000톤을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신규 조성된 밤 재배면적은 약 176ha이며 전년대비 69% 감소했다. 반면 최근 대폭 늘어났던 조제밤과 냉동밤 수입은 2013년 9700톤, 2018년 약 1만1000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P><P>&nbsp;</P><P>표고버섯 생산량은 생표고 환산을 기준으로 2008년에는 약 4만톤, 2013년에는 약 4만5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은 중국산 또는 북한산을 위주로 계속 증가, 2008년 약 3만9000톤, 2013년에는 약4만7000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P><P>&nbsp;</P><P><BR>&nbsp;<BR>&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599

식약청 “건강식품 살땐 문구 확인을”

2,429
3598

“한국음식 세계화 방안 찾자”

2,457
3597

aT 화훼공판장, ‘사전거래주문제’ 시범 시행

2,490
3596

“친환경농산물, 가격보단 안정적 판매가 최고”

2,575
3595

배·단감, 품질 뚝…값도 뚝 무·배추 공급량 줄어 보합

2,445
3594

"설 연휴 도매시장 쉽니다"

2,815
3593

봄동 출하 ´한창´

2,730
3592

2008 농업전망 / 쌀ㆍ농산물

2,154
3591

포장재 사용많은 산지 재활용 계획 제출해야

2,375
3590

설 앞두고 재래시장·정육점 등 저울 대대적 단속

2,452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