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농업전망 2008-채소류 수급 동향과 전망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2-01 | 조회수 | 2661 |
<P><STRONG>농업전망 2008-채소류 수급 동향과 전망</STRONG> <BR> </P><P><STRONG>고추·마늘·배추 재배면적 줄고</STRONG></P><P><BR>올해 고추 재배면적은 4만9,330㏊ 내외로 지난해보다 10% 줄고, 생산량은 12만5,300t으로 22%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도하개발아젠다(DDA) 농업협상에서 ‘DDA 개도국’ 관세율 적용 시 2013년 재배면적은 2007년보다 16%, 2018년에는 24%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DDA 선진국’ 적용 시에는 2007년보다 21%, 2018년에는 28% 줄 것으로 보인다. </P><P> </P><P>마늘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3% 늘어난 2만7,700㏊, 생산량은 5% 줄어든 33만2,000t 안팎이 예상된다. 수입량은 5만7,000t 내외로 4% 늘 것으로 보인다. DDA 개도국 관세율 적용시 2013년 재배면적은 2007년산보다 9%, 2018년에는 13% 줄고, DDA 선진국 적용 시 각각 9%, 1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P><P> </P><P>양파는 올해 재배면적이 1만5,000㏊로 지난해보다 15% 줄고, 생산량은 91만4,000t 내외로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DDA 개도국 관세율 적용 시 재배면적은 매년 2%씩 늘고, DDA 선진국 적용 시에는 매년 1%씩 증가할 전망이다. </P><P> </P><P>대파 재배면적은 1만2,900㏊로 지난해보다 3% 늘고, 2013년과 2018년은 각각 4%, 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쪽파는 올해 재배면적이 6,680㏊, 2013년은 2006년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P><P> </P><P>배추 재배면적은 감소 추세다. 올해는 3만7,740㏊로 지난해보다 10% 늘 전망이나 2013년에는 3만5,000여㏊, 2018년 3만3,000여㏊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김치 수입량은 해마다 늘고 있고, 지난해엔 2006년보다 23% 증가한 21만8,900t 내외가 들어왔다. </P><P> </P><P>올해 무 재배면적은 2만5,880㏊로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 감소로 2013년에는 2만5,610㏊, 2018년에는 2만4,640㏊로 줄어들 전망이다.</P><P> </P><P>당근 재배면적은 수입량 증가로 해마다 줄고 있다. 올해 재배면적은 2,745㏊로 기상악화로 면적이 줄었던 지난해보다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P><P> </P><P>감자는 2007년에 가격이 좋아 올 재배면적이 10% 증가한 2만1,810㏊로 예상된다. DDA 개도국 관세율 적용 시 2013년 2만1,960㏊, DDA 선진국 적용 시 2013~2018년 재배면적은 2만1,000㏊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BR> <BR> <BR></P><P> - 출처 : 농민신문('08.2.1)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609 | 2,586 | ||
3608 | 2,390 | ||
3607 | 3,316 | ||
3606 | 2,548 | ||
3605 | 2,139 | ||
3604 | 2,033 | ||
3603 | 2,070 | ||
3602 | 2,684 | ||
3601 | 2,661 | ||
3600 | 2,8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