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벼 품종 선택 이렇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2-14 조회수 2148
<P><STRONG>●벼 품종 선택 이렇게 <BR></STRONG>&nbsp; <BR>&nbsp;</P><P><STRONG>익는 시기·지역 여건 등 고려해야</STRONG></P><P><BR>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각종 농사 채비에 분주할 때다. 가장 중요한 것은 품종 선택. 최근 새 품종들이 많이 선보인 데다 미곡종합처리장(RPC)마다 수매대상 품종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벼 품종 선택 요령을 알아본다.</P><P>&nbsp;</P><P><STRONG>◆RPC 수매 품종 우선 선택</STRONG></P><P>벼 품종을 1~2개로 단순화하는 것은 쌀을 수매하고 가공·유통하는 등 RPC 운영에는 도움이 되지만 재배적으로는 위험성이 커진다. 하지만 요즘은 품질 좋은 쌀을 생산하는 것보다 잘 파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므로 별도로 판로가 준비돼 있지 않다면 인근 RPC가 수매하는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익는 시기와 지역의 생태를 고려해 알맞은 품종을 선택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그 품종이 육성된 연구기관이 자리잡은 곳을 중심으로 재배 적지가 형성된다. </P><P>&nbsp;</P><P>조생종을 평야에서 재배하면 벼의 키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쓰러짐 방지에 유의하고, 목도열병 발생이 심한 시기에 이삭이 패므로 목도열병 방제에도 힘써야 한다. 또 주변의 다른 품종보다 이삭이 일찍 나오면 새나 쥐의 피해를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조심한다. </P><P>&nbsp;</P><P><STRONG>◆조생종 재배, 신중해야</STRONG></P><P>일반적으로 조생종은 중만생종에 비해 등숙기의 밤·낮 온도가 높아 미질이 떨어지므로 가급적 피한다. 하지만 도로변이나 공장 주변 등 밤에 불을 켜놓아 이삭 패는 것이 지연될 우려가 높은 지역에선 중만생종 재배를 피하고 대신 조생종을 재배해야 한다. </P><P>&nbsp;</P><P>직파재배를 할 때는 낮은 온도에서도 뿌리가 잘 나오고 생육 초기에 잘 자라며 뿌리가 깊게 뻗고 키가 작으며 잘 쓰러지지 않는 품종을 심어야 한다. 물 대기가 나쁜 논 등 가뭄 상습지에는 늦심기에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P><P>&nbsp;</P><P>상습적으로 잘 쓰러지는 곳에서는 쓰러짐에 강한 품종을 선택해 규산 및 칼리질 비료를 충분히 주고 새끼칠거름은 제때 제양만 줘야 한다.</P><P>&nbsp;</P><P><STRONG>◆특수미는 미리 소비처 확보</STRONG></P><P>향미와 유색미, 〈대립벼1호〉 〈양조벼〉 〈고아미〉 등 특수미 품종과 밥쌀용 중질 품종인 〈한아름〉 〈남일〉 등은 가급적 단지화해서 재배하고, 가공업체 등 소비처를 미리 확보해둬야 한다. 또 해외여행 등을 통해 입수하거나 주변의 권유로 외국산 품종을 선택할 경우는 품종 특성에 대한 과학적 평가와 정보가 부족해 자칫 농사를 그르칠 수가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P><P>&nbsp;</P><P>각 품종의 특성과 장단점, 특히 최근에 개발된 품종에 대한 정보는 농업기술센터나 도농업기술원 등의 전문가와 상의하면 쉽게 얻을 수 있다. 재배하고자 하는 품종의 특성과 단점을 특히 유의해서 파악하고 새 품종은 적응지역과 시비량, 병해충 저항성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P><P>&nbsp;</P><P>해마다 같은 논에서 생산된 볍씨로 재배하면 품종이 퇴화되고 잡이삭이 많이 생겨 미질이 떨어진다. 따라서 보급종이나 채종포 등에서 생산된 순도가 높은 고품질 품종으로 바꾸어 재배토록 한다. <BR>&nbsp;</P><P>&nbsp;</P><P><BR>&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농민신문('08.2.14)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619

신선채소 ‘잔류농약 관리’ 철저히해야

2,409
3618

농산물 공동마케팅 조직 13곳 지원

2,161
3617

졸업시즌…꽃시장 ‘꿈틀’

2,086
3616

●벼 품종 선택 이렇게

2,148
3615

집중분석-양파값 반등 기미, 장기불황 탈출할까

2,481
3614

연초부터 북한 농산물 수입 급증세

2,672
3613

올 설 대목시장,품목별 농산물시세 살펴보니

2,224
3612

꽃시장 졸업시즌 맞아 ´기지개´

2,380
3611

집중분석-위축되는 심비듐 중국 수출

2,412
3610

값 하락으로 비상품 감귤 불법유통 크게 줄어

2,262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