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초등학교 앞 불량식품 사라진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3-10 조회수 2042
<P><STRONG>초등학교 앞 불량식품 사라진다</STRONG> </P><P><BR><STRONG>식약청, 이달부터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30곳 시범운영</STRONG> <BR>&nbsp;<BR>&nbsp; <BR>이달부터 전국 6개시도 30여개 학교에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시범사업이 실시된다.</P><P>&nbsp;</P><P>식품의약품안전청은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학교 및 학교 주변지역에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이 유통·판매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건강을 저해하는 식품이나 식중독, 비만 등으로부터 어린이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교육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이같은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P><P>&nbsp;</P><P>이는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특별법안’이 최근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탄력을 받을 것으로 풀이된다. 법안의 주요내용은 </P><P>△학교 및 학교주변 200m 범위 안에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그린푸드존) 지정 </P><P>△고열량 저영양 식품의 텔레비전 광고 시간제한 </P><P>△정서저해 식품 등의 판매금지 △어린이 기호식품의 품질인증제도 도입 </P><P>△어린이 건강친화기업 지정 및 어린이 급식위생 </P><P>△영양관리 강화를 위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설치, 운영 등이다.</P><P>&nbsp;</P><P>식품안전보호구역내에서는 우수판매업소를 지정하고 전담관리원을 배치해 어린이들이 즐겨먹는 식품의 안전 및 영양수준을 철저히 관리하고 학교 내에서 안전과 영양 교육을 강화해 어린이들이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갖도록 교육청 및 학교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P><P>&nbsp;</P><P>식약청은 또 2009년부터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등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 정책의 시행에 대비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의 식품판매업소의 시설 개·보수에 필요한 예산확보, 어린이 식품안전·영양교육의 확대 실시, 식품안전 캠페인 등 홍보·계몽 강화, 정부와 지자체간 식품안전관리 업무에 대한 역할 분담 및 교육청과의 상호 협력을 통해 미래성 장 세대의 건강을 보호하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P><P>&nbsp;</P><P>식약청 관계자는 “특별법을 차질 없이 시행하기 위해 올해 안에 하위 법령 및 고시 등을 제정하고 학교와 가정, 식품산업계 등의 사회적, 국민적 관심과 지원에 힘입어 어린이 건강보호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BR>&nbsp;</P><P><BR>&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679

제주산 조생양파 시세 확보 나서...

3,188
3678

치솟는 사료값, 일본 대응 살펴보니…안정기금 활용 …

2,195
3677

올 농기계시장 ´산뜻한 출발´

2,156
3676

농경연 3·4월 과채류 관측-소비 부진으로 전반적 약세

2,234
3675

전북 완주군, 다목적 ‘한우 테마파크’ 만든다

2,391
3674

초등학교 앞 불량식품 사라진다

2,042
3673

상추·깻잎 바닥세 탈출 ‘쉽지 않네’

2,879
3672

‘농산물 출하실명제’ 도입

2,388
3671

오이값 ‘들썩’

2,298
3670

단감 품위간 가격차 심화

2,27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