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경연 3·4월 과채류 관측-소비 부진으로 전반적 약세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3-11 조회수 2235
<P><STRONG>농경연 3·4월 과채류 관측-소비 부진으로 전반적 약세 <BR></STRONG>&nbsp; <BR>과채류는 각급 학교의 개학에 맞춰 출하량은 늘어나겠지만 소비가 활발하지 못해 오이·호박·토마토 등은 전반적인 약세를 형성할 전망이다. 다만 풋고추는 출하량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가격 강세가 예상된다. </P><P>&nbsp;</P><P><STRONG>◆풋고추</STRONG></P><P>청양 풋고추는 경남 밀양·창녕에서 일부 오이맛 풋고추로 재배전환하면서 3월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9%가 줄고, 수확량도 순멎이 현상의 발생으로 11%가 낮아져 전체 출하량이 19% 정도 줄어들면서 10㎏ 상자당 상품이 9만5,000~10만3,000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할 전망이다. 일반풋고추도 3~4월 출하면적이 줄고 작황 또한 부진해 10㎏ 상품 시세가 상자당 4만9,000~5만5,000원의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P><P>&nbsp;</P><P><STRONG>◆호박</STRONG></P><P>애호박은 기름값이 적게 드는 촉성재배가 늘고, 작황 또한 기온 상승으로 좋아지면서 3월 전체적인 출하량이 평년보다 22% 많아져 시세는 상품 20개당 1만5,000~1만9,000원에 형성될 전망이다. </P><P>값이 평년보다 좋은 주키니는 경남 진주·의령지역에서 애호박으로의 작목전환으로 3월 출하량이 8%가 줄어 시세는 10㎏ 상품이 9,000~1만3,000원의 좋은 값이 예상된다.</P><P>&nbsp;</P><P><STRONG>◆오이</STRONG></P><P>경북 상주의 촉성오이 재배가 늘어 3월 7%의 출하면적 증가가 예상되는 〈백다다기〉는 유가 상승에 따른 저온관리로 인한 6%의 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평년보다 14%가량 출하량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시세는 2월과 평년보다 낮은 100개(상품)당 2만9,000~3만4,000원이 예상된다. </P><P>값이 좋지 않은 〈취청〉 역시 저온관리로 인한 수량 감소에도 출하면적이 늘어 평년보다 낮은 상품 100개당 2만7,000~3만2,000원의 시세를 보일 전망이다.</P><P>&nbsp;</P><P><STRONG>◆수박</STRONG></P><P>경난 함안·의령의 수정 지연으로 3월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4% 줄고 작황 또한 밤기온이 떨어지면서 과비대 상태가 좋지 않아 3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0%가 줄어들 전망이다. 가격은 출하량 감소에도 대체과일 가격이 낮을 것으로 예상돼 상품 10㎏ 상자당 1만7,000~2만1,000원 선에 형성될 전망이다.</P><P>&nbsp;</P><P><STRONG>◆참외</STRONG></P><P>3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지난해보다 11%가 줄고 단위수확량도 6%가 낮아 지난해보다 16% 감소할 전망이다. </P><P>그러나 4월 출하량은 3%의 출하면적 증가와 작황 호전으로 지난해보다 23%가 늘 전망이다. 3월 시세는 물량 부족에도 대체과일의 가격이 낮아 3월 상순보다 약간 값이 내린 15㎏ 상품 한상자당 7만1,000~7만7,000원에 형성될 전망이다.</P><P>&nbsp;</P><P><STRONG>◆토마토</STRONG></P><P>학교급식 등 수요가 늘겠지만 충남 부여의 방울토마토와 전남 고흥의 일부 오이 재배농가가 토마토로 작목전환한 영향으로 출하량 또한 늘어 3월 일반 토마토 시세는 10㎏ 상품이 상자당 2만~2만4,000원의 약세가 계속될 전망이다. </P><P>&nbsp;</P><P>방울토마토는 학교급식 수요가 늘고 출하량 또한 저온관리로 단수가 낮아 지난해보다 4%의 출하량 감소가 예상되지만 소비대체 과일의 낮은 시세 탓에 5㎏ 상품 한상자당 1만2,000~1만6,000원의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P><P>&nbsp;</P><P><STRONG>◆딸기</STRONG></P><P>경남 밀양, 경북 고령, 충남 논산에서는 노령화로 재배면적이 줄고 전남 담양에서는 저온성이라서 재배가 늘어난 딸기는 출하면적이 줄고 작황 또한 제2화방 분화 지연으로 부진해 3월 출하량은 전년보다 4% 적을 전망이다. 그러나 시세는 과일류의 전반적이 경기 침체와 약세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2㎏ 상품 한상자당 9,000~1만2,000원 선에 형성될 전망이다.<BR>&nbsp;<BR>&nbsp;</P><P><BR>&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출처 : 농민신문('08.3.11)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679

제주산 조생양파 시세 확보 나서...

3,188
3678

치솟는 사료값, 일본 대응 살펴보니…안정기금 활용 …

2,195
3677

올 농기계시장 ´산뜻한 출발´

2,156
3676

농경연 3·4월 과채류 관측-소비 부진으로 전반적 약세

2,235
3675

전북 완주군, 다목적 ‘한우 테마파크’ 만든다

2,392
3674

초등학교 앞 불량식품 사라진다

2,042
3673

상추·깻잎 바닥세 탈출 ‘쉽지 않네’

2,879
3672

‘농산물 출하실명제’ 도입

2,388
3671

오이값 ‘들썩’

2,298
3670

단감 품위간 가격차 심화

2,270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