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5월 - 채소관측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5-08 | 조회수 | 2356 |
<P><STRONG>5월 - 채소관측 </STRONG></P><P> <BR> </P><P>5월 배추와 무 도매가격은 저장량 감소로 산지 출하량이 줄어 지난해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BR>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지난 1일 발표한 채소 관측에 따르면 마늘과 양파의 수확기 가격은 재배면적 증가로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된 반면 대파 5월 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지난해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BR>고랭지 배추, 무, 양배추, 대파, 감자 등은 재배의향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특히 대파는 10.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된 반면 당근은 7.9%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P><P><BR># 품목 확대경 </P><P> </P><P><STRONG>▲ 배추<BR></STRONG>5월 배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31% 증가한 3800원으로 전망됐다.<BR>이는 산지출하량과 김치수입량이 증가하는 반면 저장물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BR></P><P>봄배추 5월 산지출하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된 반면 월동배추 저장량 감소로 5월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4%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BR> </P><P>이와 함께 4월말 월동배추 저장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25% 적은것으로 조사됐으며 5월 중순까지 출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다.<BR> </P><P>6월 배추 산지 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지난해 동기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BR> </P><P>한편 고랭지 배추 재배 의향면적은 지난해 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봄배추 재배 면적이 증가한데다, 최근 김치 수입량이 증가해 옥수수, 콩, 감자 등으로 작목을 대체했기 때문이다. </P><P> </P><P><STRONG>▲ 무 <BR></STRONG>5월 무 출하량은 산지출하량이 줄어든 데다 월동무 저장량이 16% 감소해 지난해 동기보다 7%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BR> </P><P>5월 봄무 산지출하면적은 월동무 재배면적 증가로 출하기 가격하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재배면적을 줄여 지난해 동기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6월 출하면적도 감자 등의 작목으로 전환해 지난해 동기보다 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BR></P><P>단수는 기상여건 호조로 작황이 좋아 지난해 동기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5월 무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월동무 저장량과 봄무 출하량 감소로 인해 지난해 동기보다 3% 높고, 평년보다 6% 높은 6500원 내외로 추정됐다.<BR> </P><P>한편 고랭지 무 재배의향면적은 지난해보다 1%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무 가격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형성하고 있어 옥수수, 콩 등의 작목에서 무로 전환했기 때문이다.</P><P> </P><P># 기타 양념류<BR></P><P><STRONG>▲ 고추<BR></STRONG>5월 고추 수입량은 지난해보다 5%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처럼 고추 수입량이 증가하는 데는 국내 가격 약세에도 불구하고 혼합조미료, 김치 등 고추 관련 품목에 대한 국내 외식업체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BR> </P><P>5월 건고추 상품 600g 당 도매가격은 지난해 산 고추 재고량이 많고 수입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지난해 동기 보다 22% 낮고, 평년 동기보다 12% 낮은 45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됐다.<BR> </P><P>올해 고추 재배의향면적은 가격 약세와 농촌인구 고령화로 인해 재배를 기피함에 따라 지난해 동기보다 7%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P><P> </P><P><STRONG>▲ 마늘</STRONG><BR>올해 마늘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증가한 36만 톤 내외로 전망됐다. 올해 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5% 증가한 2만 8400ha로 조사됐고 품종별로는 한지형이 4% 감소한 반면, 난지형은 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BR></P><P>작황은 생육기 저온과 가뭄으로 지난해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나 단수는 2%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따라서 5월 난지형 마늘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수입량도 냉동마늘 위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지난해보다 낮은 2100원 수준일 것으로 추정됐다.</P><P> </P><P><STRONG>▲양파<BR></STRONG>올해 양파 전체 생산량은 100만4000톤 정도로 지난해보다 17% 적으나 평년보다는 4% 많을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중만생종 생산량은 지난해 보다 11% 감소한 89만 70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됐다.<BR> </P><P>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13% 감소한 1만5400ha로 조사됐고 단수는 생육기 기상 악화로 작황이 좋지 않아 지난해보다 5% 감소하는 한편 수확시기도 3~5일 지연될 것으로 전망됐다. <BR> </P><P>조생종 양파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700원 대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됐고 중만생종 양파는 500원 수준일 것으로 조사됐다.</P><P> </P><P><STRONG>▲ 대파</STRONG> <BR>대파 5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2% 감소하고 단수가 1% 증가해 지난해 동기보다 1% 적을 것으로 관측됐다.<BR> </P><P>6월 출하면적은 지난해 동기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7월에는 주출하지인 경기·강원지역 출하증가로 2%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동기 보다 소폭 상승한 75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됐다.<BR>이와 함께 경기·강원 여름 대파 재배의향은 지난해 출하기 가격이 높아 각각 6%,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BR>한편, 최근 대파 가격 약세로 4월 신선대파 수입량은 전월 823톤에서 117톤으로 86%감소했다.</P><P> </P><P><STRONG>▲ 쪽파 <BR></STRONG>쪽파 5월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 동기보다 낮은 1600원 내외로 조사됐다. 이는 5월 출하량이 면적과 단수 증가로 인해 지난해 동기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BR> </P><P>6월 출하면적은 지난해 동기보다 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올해 구쪽파 수확예상면적은 잎쪽파 가격이 좋아 지난해보다 3%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P><P> </P><P><STRONG>▲당근<BR></STRONG>5월 당근 출하량은 산지 출하량과 수입물량은 증가하는 반면 저장량이 크게 감소해 지난해 동기보다 14% 적을 것으로 관측됐다. 따라서 상품 20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와 평년보다 높은 2만6000원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P><P> </P><P>6월 당근 가격도 국내 산지출하량과 수입량이 늘 것으로 전망되지만 저장량 감소로 전체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보다 적어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BR> </P><P>고랭지 당근 재배의향은 지난해 고랭지 당근 출하기 가격이 낮게 형성돼 8%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P><P> </P><P><STRONG>▲양배추</STRONG> </P><P>5월 양배추 출하량은 저장물량이 감소했지만 봄 양배추 증가로 지난해 동기보다 3% 많을 것으로 관측됐다.<BR> </P><P>출하면적은 재배면적 증가로 지난해 동기보다 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고 단수는 기상여건 호조로 지난해 동기보다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5월 봄 양배추 산지출하량은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BR>도매가격은 상품 8kg 당 지난해 동기보다 10%, 평년동기 보다 18% 낮은 3600원 내외로 추정됐다. <BR>6월 양배추 출하량은 출하면적이 지난해 동기보다 4%, 단수는 3% 증가해 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BR> <BR><STRONG>▲감자</STRONG><BR>5월 감자 수미와 대지 출하량은 각각 2%, 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BR> </P><P>수미 감자 출하량이 감소한 데는 시설 봄 감자 5월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보다 3% 감소한 반면 노지 봄 감자 5월 출하량이 지난해 동기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BR> </P><P>이와 함께 대지 감자 출하량은 2008년산 겨울감자 재배면적 감소로 출하면적이 지난해 동기보다 7% 줄어들고 단수도 생육기 기상악화로 적을 것으로 전망돼 지난해 보다 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BR> </P><P>따라서 수미 상품 20kg 당 도매가격은 지난해 동기보다 6% 감소한 2만1000원 내외로 추정됐고 대지 도매가격은 지난해동기보다 높을 것으로 조사됐다.</P><P> </P><P><BR> </P><P> - 출처 : 농수축산 신문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799 | 2,144 | ||
3798 | 2,786 | ||
3797 | 2,451 | ||
3796 | 2,483 | ||
3795 | 2,374 | ||
3794 | 2,393 | ||
3793 | 2,454 | ||
3792 | 2,356 | ||
3791 | 2,196 | ||
3790 | 2,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