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농경연 6월 임업관측, 표고버섯 보합세 유지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5-20 | 조회수 | 2515 |
<P><STRONG>농경연 6월 임업관측, 표고버섯 보합세 유지 <BR></STRONG> <BR><STRONG>표고버섯 안정된 수요 힘입어 보합세 유지</STRONG></P><P><BR>표고버섯은 지난해 신규 접종목의 감소 등으로 5월 이후 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밤은 경기위축과 함께 당분간 대량 소비 수요가 없어 약세를 보일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6월 표고버섯·밤 관측정보를 정리한다.</P><P> </P><P><STRONG>◆표고버섯</STRONG></P><P>지난해 신규로 접종한 골목이 줄었고, 노목 비율도 늘어나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5% 감소가 예상된다. 반면 소비는 기온 상승과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가격은 5월 하순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여름 버섯의 반입량이 늘어나는 6월 이후 보합세가 전망된다. </P><P> </P><P>수입은 위안화 강세에도 불구하고 국내 물량이 부족한 데다, 일본에 대한 중국산 수출의 둔화로 건표고를 중심으로 6월 들어서도 지속될 전망이다. </P><P> </P><P>한편 이번 조사에서 표고 재배 시 정기적인 급수로 수분관리를 하는 농가는 21.8%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부정기적으로 급수(61.8%)하거나, 자연적인 강수(16.4%)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농경연은 여름철 고온기에 발생하는 병해충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급수를 당부했다.</P><P> </P><P><STRONG>◆밤</STRONG></P><P>올해 밤 주산지의 식재는 보식 위주로 이뤄졌으며, 신규조성 등이 줄면서 전체 식재면적은 지난해보다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가격 약세, 수출 부진, 신규 조성에 대한 보조 중단 및 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P><P> </P><P>가격은 5월 이후 특별한 수요 요인이 없고 경기 침체로 인해 저장물량이 판로를 확보하지 못함에 따라 산지가격은 약세를 이어가고 소비지가격은 평년가격을 유지할 전망이다. </P><P> </P><P>한편 수입 밤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어 소비가 간편한 조제 밤 중심으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P><P> <BR> </P><P> </P><P><BR> - 출처 : 농민신문('08.5.20)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819 | 2,290 | ||
3818 | 2,809 | ||
3817 | 2,366 | ||
3816 | 2,361 | ||
3815 | 3,061 | ||
3814 | 2,515 | ||
3813 | 2,556 | ||
3812 | 2,913 | ||
3811 | 2,409 | ||
3810 | 2,4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