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농경연 6월 채소류 관측-양파 면적줄고 작황부진속 1㎏ 500원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6-03 조회수 2551
<P><STRONG>농경연 6월 채소류 관측-양파 면적줄고 작황부진속 1㎏ 500원</STRONG> <BR>&nbsp; <BR>배추와 무·마늘은 6월 생산량 및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지난해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될 전망이다. 반면 감자·당근 등은 산지출하량이 지난해보다 줄어들면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의 6월 채소류 관측을 소개한다.</P><P>&nbsp;</P><P><STRONG>◆배추</STRONG></P><P>6월 산지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증가할 전망이다. 출하면적은 지난해보다 2% 증가하고, 단수는 가뭄피해가 컸던 지난해보다 3%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상품 10㎏당 도매가격은 산지출하량 증가와 김치 수입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29% 낮지만, 평년보다 15% 높은 2,700원 내외로 전망된다. </P><P>&nbsp;</P><P><STRONG>◆무</STRONG></P><P>산지출하량은 출하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단수 증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증가할 전망이다. 월동무 재배면적 증가로 봄무 농가들이 작목을 전환하면서 출하면적은 2% 줄지만, 지난해보다 호남지역 등의 작황이 좋아 단수는 3% 늘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 18㎏당 도매가격은 가뭄피해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던 지난해보다 낮은 5,500원, 중품은 4,500원 내외로 전망된다. </P><P>&nbsp;</P><P><STRONG>◆고추</STRONG></P><P>고추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내외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국내 고추가격 약세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수입가격이 낮은 고추관련품목 수입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6월 건고추 상품 600g당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낮은 4,4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고추 재배면적은 가격 약세 등으로 지난해보다 8% 감소가 예상된다. </P><P>&nbsp;</P><P><STRONG>◆마늘</STRONG></P><P>재배면적은 지난해보다 5% 증가한 2만8,000㏊로 조사됐고, 작황은 생육기 저온과 가뭄으로 지난해보다 다소 나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증가한 36만t 내외가 예상된다. 생산량은 늘었으나 저장업체의 입고 희망가격은 지난해 보다 낮은 ㎏당 1,600원 내외여서, 6~7월 가격은 상품 ㎏당 1,800원으로 지난해보다 약세를 보일 전망이다.</P><P>&nbsp;</P><P><STRONG>◆양파</STRONG></P><P>올해 중만생종 재배면적이 지난해 가격 하락으로 7% 감소했고, 생육기 기상 악화로 작황도 나빠 전체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2% 감소한 89만t으로 추정된다. 국내 생산이 시작되면서 양파 수입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6월 양파 상품 ㎏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높은 500원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생산량 감소로 저장에 대한 수요가 늘 경우 가격은 이보다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P><P>&nbsp;</P><P><STRONG>◆대파</STRONG></P><P>6월 출하량은 출하면적 감소에도 단수가 증가해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경북·부산·경남 등은 지난해보다 1.7~1.9%가량 늘지만, 경기·강원은 0.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상품기준 도매가격도 ㎏당 9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이 예상된다. 한편 전남지역 겨울 대파 재배의향 면적은 지난해보다 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P><P>&nbsp;</P><P><STRONG>◆쪽파</STRONG></P><P>출하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많고, 단수도 증가가 예상돼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 증가할 전망이다. 가격은 6월 중순까지 종구 부족 등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로 강세가 전망되나, 하순부터는 수입종구 파종면적 증가로 출하량이 늘면서 약세로 전환, 상품 ㎏당 2,800원이 될 전망이다.</P><P>&nbsp;</P><P><STRONG>◆감자</STRONG></P><P>노지봄감자 〈수미〉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3% 증가하고, 작황도 좋아 노지봄감자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증가한 38만t 내외로 추정된다. 하지만 6월 산지출하량은 생육 초·중기 가뭄으로 인해 출하가 다소 지연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수미〉 6월 상품 20㎏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19% 높은 1만6,000원으로 전망된다.</P><P>&nbsp;</P><P><STRONG>◆당근</STRONG></P><P>기상여건 호조로 단수가 지난해보다 4% 증가하고, 출하면적도 3% 증가해 산지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산지출하량과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겨울당근 저장량이 지난해보다 감소했기 때문에 전체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2%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은 상품 20㎏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3% 높은 2만원 내외가 예상된다.</P><P>&nbsp;</P><P><STRONG>◆양배추</STRONG></P><P>산지출하면적이 4% 증가하고, 가뭄이 심했던 지난해보다 단수도 늘어 6월 산지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가 늘 전망이다. 이에 따라 6월 상품 8㎏당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평년 같은 기간보다 27% 낮은 2,000원 내외로 전망된다. <BR>&nbsp;<BR>&nbsp;</P><P>&nbsp;</P><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농민신문('08.6.3)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859

´남해안 참다랑어 어장´ 지속

2,624
3858

"생필품 23개 중, 17개 품목 재래시장 저렴"

2,343
3857

국제 쌀 가격 당분간 현 시세 유지

3,119
3856

식약청 “차 에서 음식물 먹이지 마세요”

2,692
3855

꽃, 출하 느는데 소비 없어 ‘약세’

2,679
3854

알면 재미있는 식품이야기-트랜스지방의 정체

2,633
3853

농경연 6월 채소류 관측-양파 면적줄고 작황부진속 1㎏ 500원

2,551
3852

농식품 수출 ‘상승곡선’

2,094
3851

외식시장 ‘꽁꽁’…쌈채소값 ‘헉헉’

2,343
3850

토마토값 ‘약보합세’

2,261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