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올 노지감귤 생산량 대폭 줄 듯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6-05 조회수 2773
<P><STRONG>올 노지감귤 생산량 대폭 줄 듯 </STRONG></P><P><BR><STRONG>지난해 과다착과·올초 저온탓 48만5000~51만9000톤 전망, 유통상인들‘밭떼기’ 문의 쇄도 <BR>&nbsp;<BR></STRONG>&nbsp; <BR>올해산 노지감귤의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P><P>&nbsp;</P><P>최근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강지용)와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문환)이 감귤개화 상황을 토대로 올해 생산예상량을 관측 조사한 결과 48만5000~51만9000톤 정도가 생산될 것으로 전망했다.</P><P>&nbsp;</P><P>지난달 13일부터 21일까지 제주도내 453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관측조사결과 제주시 지역은 전년의 86%, 서귀포시 지역은 전년의 58.8% 수준의 개화량을 나타냈고, 꽃이 만발한 시기는 전년보다 5일 늦은 것으로 조사됐다.</P><P>&nbsp;</P><P>이처럼 감귤 꽃이 적게 핀 것은 지난해 과다착과 및 늦은 수확으로 인한 수세약화와 1월 하순~2월 사이 저온 현상에 의한 묵은 조기낙엽과 꽃눈 감소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화상황 관측조사는 조사대상 감귤원마다 2그루를 선정, 동서남북 4방향 가지의 꽃수와 묵은 잎 수를 헤아려 화엽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오는 8월에는 감귤 착과율을 조사한 후 2차 감귤생산예상량을 발표할 방침이다.</P><P>&nbsp;</P><P>한편 감귤 주산지인 서귀포시지역에서는 노지감귤을 3.75㎏ 기준 3800원선에 밭떼기 거래 를 하자는 상인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예년의 경우 1?차 생리낙과가 끝난 8월 이후 시작되는 것에 비해 상당히 빠른 것이며 밭떼기 거래 가격도 감귤 조수입 최대치를 기록했던 2004∼2006년산 2000∼3000원선보다 높은 상황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BR>&nbsp;</P><P>&nbsp;</P><P>&nbsp;</P><P><BR>&nbsp;<BR>&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 출처 : 한국농어민 신문('08.6.5) -</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869

축산물 출하정보 <돼지>-소비 꾸준해 강세

2,147
3868

도매시장 중도매인 점포도 신용카드 결제 가능

2,559
3867

“김치, 전통문화와 접목해 세계화해야 ”

2,435
3866

대형마트, 美 체리 본격 판촉나서

2,320
3865

‘유기가공식품 인증제’ 1년 시범실시 후 도입

2,386
3864

바닥치던 오이값 ‘상승세로’

2,833
3863

감자값 ‘진정’

2,691
3862

주대마늘 국산·햇마늘로 인식 ‘인기’

2,974
3861

한눈에 보는 시세 ‘오이’ 반입량 줄어 반짝 상승

2,717
3860

올 노지감귤 생산량 대폭 줄 듯

2,77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