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김치, 전통문화와 접목해 세계화해야 ”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6-10 | 조회수 | 2435 |
<P><STRONG>“김치, 전통문화와 접목해 세계화해야 ” <BR></STRONG> <BR> <BR><STRONG>외국인 기호 맞는 김치맛 개발 절실</STRONG></P><P><BR>김치 세계화를 위해서는 기능성을 높이고 외국인 기호에 맞는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이 최근 주최한 ‘김치 세계화를 위한 전략 포럼’에서 학계·업계 등 김치 전문가들은 김치의 기능성을 적극 알리고, 한류 문화와 접목시켜 외국인 입맛에 맞는 제품으로 공략해야 세계적인 음식으로 육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P><P> </P><P>이명기 한식연 전통식품연구단 박사는 “김치는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꼽힐 만큼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며 “혈류 개선, 성인병·암 예방 등의 효능을 규명해 기능성으로 우리 김치를 널리 알려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P><P> </P><P>이규천 농림기술관리센터 소장은 “우리 김치를 일본·중국산과 차별화해야 세계화가 가능하다”며 “과학적으로 건강·기능성을 입증해 〈네이처〉 등의 잡지에 소개하는 등 김치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야 외국인들이 더 적극적으로 접할 것”이라고 말했다. </P><P> </P><P>박종철 순천대 교수는 “한류열풍으로 우리 브랜드 김치가 비싼 값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잘 팔린다”면서 “문화 콘텐츠를 적극 활용해 고품질 전략을 구사하면 일본에 편중돼 있는 김치 시장이 다변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P><P> </P><P>김순진 한성식품 전무이사는 “김치 세계화는 우수한 우리 김치의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라며 “현지의 기호성을 미리 파악하고, 문화와 접목시켜 현지인들이 선호할 제품을 개발해 공략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P><P> </P><P>전종인 만도위니아 김치연구소장은 “외국인에게 가장 적합한 김치맛이 어떤 것인지 김치맛에 대한 정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각국의 주요 음식과 어울리는 다양한 상품이 개발돼야 김치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P><P> <BR> </P><P> <BR> - 출처 : 농민신문('08.6.10) -</P>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869 | 2,146 | ||
3868 | 2,559 | ||
3867 | 2,435 | ||
3866 | 2,320 | ||
3865 | 2,386 | ||
3864 | 2,833 | ||
3863 | 2,691 | ||
3862 | 2,974 | ||
3861 | 2,717 | ||
3860 | 2,7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