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한우고기, 조리방법별 최적부위, 등급, 숙성도 추천 시스템 개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6-13 | 조회수 | 2769 |
앞으로 소비자들은 조리방법별로 원하는 맛에 가장 근접하면서 가격적인 부분도 맞춰주는 서비스를 받아 한우고기를 살 수 있을 전망이다. <BR><BR>농촌진흥청은 한우의 고품질화와 관련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고기를 부위별로 구분한 후, 요리방법별로 소비자의 식미만족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맛 점수를 산출했다.<BR>이 자료를 근거로 조리방법별-최적한우 부위 추천시스템(맛 보증 시스템)을 개발해 시범적으로 실소비자에게 정확도와 신뢰도를 평가받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BR>「맛보증시스템(palatability assurance system)」이란 기존의 생산자 중심의 물리적 등급판정이 아니라 소비자에 의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등급을 판정하는 방식이다.<BR><BR>이미, 선진국의 쇠고기 품질평가 및 거래제도는 도체등급 위주에서 품질보증 시스템 위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조수현 박사 연구팀에서는 2006년부터 한우고기를 부위(10종), 육질등급(5종), 성별(2종), 숙성일수(3종) 및 요리방법(3종)별로 소비자들이 직접 먹어보고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 한우에 맞는 맛 보증시스템 개발을 추진해 왔다.<BR><BR>현재까지 지역별(서울, 경기, 영남, 호남), 연령별(20-50대), 성별(남·여)로 할당된 소비자 1천950명(서울 396명, 중부 762명, 영남 396명, 호남지역 39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2009년까지 약 5천명 수준까지 계속하여 정확도와 신뢰도를 평가받고 보완해 전국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BR><BR>조건에 따라 선정된 10개 부위(등심, 채끝, 설깃, 보섭, 양지머리, 업진, 우둔, 홍두깨, 꾸리, 목심)는 육질분석과 동시에 요리방법별(탕 900명, 구이 750명, 스테이크 300명)로 나누어 소비자가 직접 쇠고기 7점에 대하여 시식한 후 연도, 다즙성, 향미, 전반적인 기호도, 및 만족도 항목으로 나누어 평가했다. <BR>평가결과는 한국소비자들의 요인별 기호도를 중심으로 점수를 계산하고 부위별 맛점수 추정식을 계산하여 4개의 맛등급 그룹(불만족, 만족, 매우 만족, 대단히 만족)으로 구분하여 표기했다.<BR>기호도 분석에 의하면 육질등급이 높은 쇠고기도 부위에 따라 맛 점수가 달랐으며 육질등급이 낮더라도 부위특성에 따라 요리방법을 선택할 경우 맛 점수가 높게 나타나거나 일부 부위는 숙성을 할 경우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서 맛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BR><BR>농촌진흥청 조수현 연구사는 『조건별 한우고기 8천850점에 대한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소비자들은 쇠고기를 평가할 때 연도 51%, 다즙성 19%, 향미 30% 가중치를 가지고 맛을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관능평가결과 쇠고기 맛은 동일한 육질등급 내에서도 요리방법에 따라 부위별 맛 점수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BR><BR>2009년에 국내최초로 도입될 이 시스템은 2012년까지 현장적용 및 보완을 거쳐 점차적으로 보급될 계획으로 성공적인 맛보증시스템 도입 및 정착을 위하여 한우협회와 소비자 단체, 학계, 축산물등급판정소 등 관련업계와 협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BR><BR> - 출처 : 한국식품포털(2008.6.13) -<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879 | 2,769 | ||
3878 | 2,460 | ||
3877 | 2,233 | ||
3876 | 2,316 | ||
3875 | 2,183 | ||
3874 | 2,324 | ||
3873 | 2,462 | ||
3872 | 2,438 | ||
3871 | 2,731 | ||
3870 | 2,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