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해외 사료곡물기지 개발 ‘고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6-19 조회수 2505
<P>사료업체들이 사료자원 개발을 위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지만 인프라 미흡, 자금난 등의 이유로 애를 먹고 있어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BR><BR>현재 해외시장개척에 나서고 있는 사료업체들은 하림그룹(연해주, 동남아), 한일사료(동남아)와 함께 SCF·부국사료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캄보디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코지드 등이다.<BR><BR>국제곡물가격 폭등으로 곡물 확보가 어려움에 처하면서 사료업체들이 발벗고 나선 것. 하지만 대부분의 업체들은 자금난은 물론 현지 인프라 미흡 등으로 자원개발에 적잖은 난관에 봉착했다.<BR><BR>동남아시장의 경우 △근거리 위치 △잠재력 풍부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낮은 토지 임대가 △다양한 원료작물 수확 등의 장점으로 사료업체들이 주요 공략대상으로 삼고 있다.<BR><BR>하지만 이상 기후 및 지진 등의 피해가 적잖고 인프라 구축이 전혀 이뤄지지 않는 등의 이유로 해외개발에 어려움이 많다고 사료업체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원료 운송에는 통상 수만톤 급의 선박들이 사용되지만 동남아지역의 항구들은 300~500톤급 규모의 선박만이 오갈 수 있는 열악한 환경이고 중국의 경우 북서쪽 지역에서 비트, 면실의 공급이 가능하지만 물류시스템이 거의 없어 운송에만 7~10일이 소요된다.<BR><BR>차상석 한일사료 부사장은 지난 5일 축산경영학회가 강원대에서 개최한 하계심포지엄에서 “동남아지역의 인프라구축이 미흡하다보니 3만톤의 원료를 들여오기 위해 150억~2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상황”이라면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어가지만 현지에서 자금지원을 받기 힘들다”고 설명했다.<BR><BR>사료업계는 인프라 구축 등에 초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사료협회 또는 한국 정부 차원의 투자로 자금을 지원하고 항만투자 및 도로확장 등에 양국 정부의 양해각서 체결 등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BR><BR>차 부사장은 “국가간 협력체 구축을 위한 정부 민간공동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면서 “사료협회 등의 관련 기관에서도 중복투자를 조율하고 정보를 공유해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BR><BR>한편 정부는 2009년부터 민간업체들의 해외 사료자원 개발시 장기 저리 융자 지원을 한다는 계획 하에 세부시행지침을 마련하고 있고 MOU(양해각서) 체결 등의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nbsp;<BR></P><P><BR><BR>&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BR><BR></P><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889

AI 진정국면…무엇을 남겼나

2,206
3888

해외 사료곡물기지 개발 ‘고전’

2,505
3887

7월 농경연 임업관측

2,185
3886

과일 구입때 맛·당도가 가격보다 ‘우선’

2,350
3885

매운맛 입맛 자극 고추장, 외국우주인도 OK

2,262
3884

포도 품질 좋고 생산량 증가 … 소비 관건

2,475
3883

가락시장, 상장예외품목 거래 증가

2,458
3882

식품 지리적표시제 활성화한다

2,261
3881

구리도매시장, 수박 전량 팰릿화 성공

3,120
3880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소비자 소통 강화

2,34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