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AI 진정국면…무엇을 남겼나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6-19 | 조회수 | 2206 |
“중앙통제 가능토록 방역조직 개편, 오리예찰 강화·보상금 현실화해야” <BR>지난 5월 12일을 마지막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신고가 한달 넘게 보고되지 않아 사실상 진정국면에 접어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방역당국은 16일 현재 8개소를 위험지역에서 경계지역으로 전환했으며 11개소의 이동제한을 해제했다. <BR><BR>올해 AI 발생은 과거와 달리 여러 가지 시사점을 남겼다. 그동안 북방철새에 의해 감염된 것과는 달리 남방철새에 의한 감염, 오리의 집단 폐사, 재래시장을 통한 감염확산으로 사상 최대의 살처분 등 여러 문제점이 노출됐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특이사항들로 국내 AI 방역대책 기간의 설정을 특별방역대책이 아닌 상시방역대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데 공통적으로 입을 모은다.<BR><BR>▲방역체계 일원화 시급=가금업계와 전문가들은 올해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데에는 초동방역 실패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최초 발생인 전북 김제를 시작으로 정읍, 전남 지역까지 확산된 것은 이동이 통제된 가금산물이 자유롭게 방역망을 뚫고 전국을 활보했기 때문이다. <BR><BR>따라서 방역당국의 방역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높다. 전문가들은 우선 지방에 분산돼 있는 방역체계를 중앙에서 통제가 가능하도록 재편해야 된다는 것이다. 각 지자체에서 초동방역을 실패할 경우 방역저지선이 무너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BR><BR>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한 관계자는 “방역권한이 지자체에 분산돼 있다 보니 중앙정부의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며 “통제권한을 일원화해 신속하고 적절한 방역대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BR><BR>▲오리 예찰 강화 및 보상금 제도 현실화=올해 AI 발생의 특이사항 가운데 하나는 오리의 집단폐사이다. 과거 오리는 AI에 감염돼도 증상이 발현되지 않는 것이 문제였다. 그러나 올해는 AI 의심신고 가운데 오리의 폐사가 눈에 띄게 많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이라는 불안감까지 야기됐다. <BR><BR>김재홍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오리는 AI 잠복기간이 길어서 과거에도 종식선언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됐다”면서 “올해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 향후 AI 방역대책 마련시 오리에 대한 예찰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BR><BR>그러나 일각에서는 오리에서 AI 감염 증상이 발현된 것이 오히려 종식선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검역원의 또 다른 관계자는 “오리에서 발현증상이 나타나 폐사로 이어진 것이 살처분을 통한 조기 대처에 도움이 된 것이 사실이다”고 밝혔다.<BR><BR>이와 함께 재래시장에 대한 꾸준한 감시와 도심지에서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SOP(긴급행동지침) 개정은 물론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되는 보상금 문제를 이번 기회에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상 최대의 살처분이라는 불명예와 함께 정부의 뒷북 행정이라는 비난을 더 이상 받지 않기 위해서는 보상금 기준을 좀 더 현실화해 농가들이 수긍할 수 있는 대책과 정책마련이 반드시 뒷받침 돼야 한다. <BR><BR><BR><BR> -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 -<BR><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3889 | 2,206 | ||
3888 | 2,504 | ||
3887 | 2,185 | ||
3886 | 2,349 | ||
3885 | 2,262 | ||
3884 | 2,475 | ||
3883 | 2,457 | ||
3882 | 2,260 | ||
3881 | 3,119 | ||
3880 | 2,3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