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무·배추, 산지 출하량 늘어 ‘뒷걸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7-07 조회수 2080
&nbsp;<P>고랭지 배추, 무, 감자, 양배추는 이달 산지 출하량이 증가해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이다. 또한 양파는 저장수요 증가로 6월 도매가격이 평년보다 50% 높았지만 7월에는 저장업체가 관망세이고, 수입량도 증가해 6월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7월 채소관측을 정리했다.<BR><BR><FONT color=#339966><STRONG>배&nbsp;&nbsp; 추 :&nbsp; 상품 10kg 3500원…평년값 못미쳐<BR>건고추&nbsp;: 저장수요 증가…상품 600g 5000원<BR>양&nbsp;&nbsp; 파&nbsp; : 수입 확대 전망…상품 1kg 650원선 <BR></STRONG></FONT><BR>▲배추=7월 산지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가 증가해 지난해 동기보다 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고랭지배추 산지출하 예상면적은 지난해보다 2% 증가하는데, 이는 지속된 가격 강세로 준고랭지 1기작 배추 재배면적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7월의 배추 도매가격은 상품 10kg당 지난해보다 36%, 평년 동기보다는 13% 낮은 3500원(중품 2500원)으로 전망된다. 가을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지난해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BR><BR>▲무=산지출하량은 고랭지무와 여름 평지무 출하량 증가로 지난해 동기보다 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무 또한 이달 산지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증가로 6% 증가하고 하순의 출하량 증가폭이 클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무의 7월 도매가격은 상품 18kg당 지난해 동기보다 44%, 평년보다는 26% 낮은 6500원(중품 5000원) 내외로 전망된다. <BR><BR>가을무 재배의향 면적은 지난해보다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BR><BR>▲건고추=7월 건고추 도매가격은 상품 600g당 6월보다 높은 5000원으로 전망된다. 재고량과 수입량이 많지만 2008년산 수확기 가격 상승을 기대한 저장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고추 재배면적은 지난해 고추가격 약세와 농촌 고령화로 지난해보다 9%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정부수입물량은 7185톤이고 6월까지 3472톤이 수입돼 2920톤이 방출됐다. 민간 수입량도 중국산 건고추, 냉동고추, 혼합조미료 등 지난해보다 10% 증가할 전망이다. <BR><BR>▲마늘=마늘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로 지난해보다 4% 증가한 36만1000톤 내외로 추정된다. 그러나 저장업체 입고희망량은 7만9000톤으로 지난해보다 5% 감소할 것이다. 평균 입고가격은 1590원이며 앞으로는 50원 하락한 1540원으로 조사됐다. 이달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20% 낮은 1550원 내외로 약세가 전망된다. 특히 작년산MMA 물량과 민간 재고량이 남아있고 저장수요가 양파로 이동하면서 마늘 가격약세는 장가화될 전망이다. <BR><BR>▲양파=중만생종 양파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로 지난해보다 44% 감소한 86만톤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평년과 비교할 경우 여전히 8% 많은 수준이다. 6월 수입량은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963톤으로 지난보다 많고, 7월 수입량도 2000톤 내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4% 적고, 산지 저장량도 적어 7월 양파가격은 평년보다 높을 전망이다. 그러나 저장업체들이 관망세고, 민간 수입량도 증가할 것으로 보여 7월 상품 1kg당 가격은 6월보다 하락한 650원 내외로 전망된다. <BR><BR>▲대파·쪽파=대파 7월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증가로 지난해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7월 상품 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은 700원이 될 전망이다. 특히 경기지역 하우스대파와 노지대파가 일시에 출하되면 65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BR><BR>쪽파는 7월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1% 줄 것으로 전망된다. 도매가격은 kg당 평년과 비슷한 2200원이 될 예상된다. <BR><BR>▲감자=노지 봄감자와 준고랭지감자 출하량을 고려한 수미 7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노지 봄감자의 경우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지난해보다 3% 늘 것으로 예측된다. 7월 상품 20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지난해보다 12% 낮은 1만3000원 내외가 예상된다. 고랭지감자 재배면적은 최근 감자가격 상승으로 지난해보다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BR><BR>▲당근=이달 출하량은 저장량이 적어 지난해 동기보다 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해 7월 상품 20kg당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높지만 평년보다는 6% 낮은 2만원으로 전망된다. 6월 당근 수입량은 중국 산지 작황이 저조해 지난해보다 22% 감소한 3671톤(6월 1~26일 수입량)이었고, 7월에도 산동성, 하북성 생산량이 감소해 수입량은 지난해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nbsp; <BR><BR>▲양배추=7월 산지출하량은 지난해보다 7%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매가격은 상품 8kg당 지난해보다 20%, 평년보다는 24% 낮은 2300원 내외로 전망된다. 가을양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P><BR><BR><PRE>                                                                             -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2008. 7. 7)-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BR><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939

국내APC 운영효율화 위한 방안 제시

2,356
3938

미 쇠고기회사 ‘O157’ 쇠고기 리콜 물량 10배로 늘려

2,249
3937

우유 값 줄줄이 인상

2,280
3936

고속도로 휴게소 등 다중이용시설 위생점검

2,069
3935

무너지는 축산농가 “치솟는 사료값에 더이상 버티기 한계”

2,109
3934

무·배추, 산지 출하량 늘어 ‘뒷걸음’

2,080
3933

“공공비축 매입량 축소 안된다”

2,256
3932

전북 고창, 식품클러스터 메카로 뜬다

2,821
3931

삼겹살이 다시 착해졌네요

2,723
3930

국산돼지고기 판매점 인증사업 어떻게 추진하나

2,61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