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올해 먹거리 적자 150억달러 상회 전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7-30 조회수 2053
<STRONG>작년대비 20% 증가..반도체 흑자의 2배<BR><BR></STRONG>세계 곡물가격이 폭등하고 수입 먹을거리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농.축.수산물 무역 적자 규모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더구나 앞으로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까지 타결돼 이들 품목의 관세가 원칙적으로 3분의 1 이상 낮아지면, 먹을거리 수지는 더욱 나빠질 것으로 우려된다. <BR><BR><BR>◇ 올해 적자 150억달러대 예상..사상 최대 <BR><BR>30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 농수산물무역정보(KATI) 시스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 상반기 97억990만달러(1천511만t)어치 농.축.수산물을 수입하고 20억1천307만달러(976만t)어치를 수출, 결과적으로 76억9천683만달러의 적자를 봤다. 이같은 적자 규모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총 메모리 반도체 무역 흑자(40억8천863만달러)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BR><BR>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수입과 수출이 각각 20.9%, 22.0% 늘고 적자도 20.6% 증가했다. <BR><BR>우리나라의 연간 농.축.수산물 적자는 ▲ 2003년 74억7천881만달러 ▲ 2004년 82억6천277만달러 ▲ 2005년 88억7천920억달러 ▲ 2006년 103억6천853만달러 ▲ 2007년 127억5천313만달러 등으로 해마다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BR><BR>상반기까지 추세대로라면 올해 적자는 154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BR><BR>◇ 곡물가 폭등이 주범..김치 적자 2.5배로 <BR><BR>지난 상반기 농.축.수산물 수입액 증가율(20.9%)은 수입량 증가율(3.2%)의 약 7배에 이른다. 주요 곡물 등의 도입 단가가 치솟아 적자가 커졌다는 얘기다. <BR><BR>단적인 예로 곡류의 경우 수입(671만t)이 물량 기준으로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불과 4.3% 늘었으나, 수입액(23억6천487만달러)은 65.0%나 급증했다. 옥수수.밀.콩 등의 주요 곡물 가격이 배 가까이 뛰었기 때문이다. <BR><BR>단일 품목 수입액 1~2위인 옥수수(15억1천961만달러), 밀(6억4천22만달러)과 밀가루(2천230만달러)만 따져도 수입액 증가율이 각각 68.0%, 74.5%, 91.1%에 달했다. <BR><BR>이밖에 채소류와 주(酒)류, 과일류, 수산물 수입도 각각 11.1%, 16.8%, 2.7%, 4.0% 늘었다. 반면 축산물의 경우 수입량과 금액이 각각 15.7%, 5.7% 오히려 줄었다. <BR><BR>김치는 중국산을 중심으로 수입(6천301만달러)이 41.5%나 늘어난데 비해 수출은 4천4만달러로 12.0% 증가하는데 그쳐, 적자가 작년 상반기(878만달러)의 2.5배를 넘는 2천296만달러에 달했다. <BR><BR>수입국별로는 상반기 미국과의 교역에서 가장 많은 27억6천489만달러의 손해를 봤고, 이어 중국(14억4천881만달러), 호주(7억7천842만달러), 인도(3억9천960만달러)등의 순으로 적자가 컸다. 특히 대(對) 미국 적자는 1년 전보다 97.7%나 크게 늘었고, 인도에 대한 적자 증가율도 105.6%로 매우 높았다. <BR><BR>◇ DDA 타결되면 수입산 '밀물' 우려 <BR><BR>일단 주요국 각료회의에서 결렬되긴 했지만, 앞으로 만약 DDA가 타결되면 이같은 농.축.수산물 수입 및 적자 확대 추세는 더 빨라질 것으로 우려된다. <BR><BR>지금까지 논의된 DDA 농업 세부원칙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농업 부문에서 개도국 지위를 인정받더라도 현행 농산물 수입 관세를 평균 3분의 1 정도 내려야한다. 이 경우 우리 농산물 전반의 가격 경쟁력 약화로 수입이 늘 수 밖에 없다. <BR><BR>예를 들어 현행 관세가 270%인 고추의 경우, 민감.특별품목 포함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세율 130% 초과'구간 감축률에 따라 관세를 46.7% 깎아 최고 144%까지만 물릴 수 있게 된다. <BR><BR>물론 정부는 일괄 관세 감축의 예외로 허용된 민감.특별품목 등에 마늘.고추.감귤.양파.콩 등 비중은 크나 경쟁력이 취약한 품목들을 최대한 포함시켜 보호한다는 전략이지만, 세번(HS코드) 수를 기준으로 1천여개 품목은 결국 별다른 안전장치 없이 수입산에 관세 문턱을 낮춰줘야 할 상황이다. <BR><BR>농촌경제연구원 최세균 박사는 "우리의 최대 농산물 수입국인 미국과 이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상태라, FTA 발효와 함께 DDA 합의가 이행된다면 추가적 타격은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전반적으로 관세가 인하되는만큼 농산물 수입과 적자가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BR><BR>더구나 농축산물과 달리 공산품과 함께 비농산물(NAMA)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수산물의 경우, 개도국 지위 인정이 사실상 불가능해 관세 감축 폭은 상대적으로 농축산물보다 커질 전망이다. <BR><BR>하영효 농식품부 국제수산관은 "NAMA 분야에서는 우리가 그동안 공산품 수출 확대를 위해 선진국 입장에서 관세 인하를 강하게 요구해온만큼, 수산물 방어만을 고려해 개도국 지위를 주장하기 매우 어려운 처지"라며 "그러나 현행 수산물 평균 관세율이 10% 안팎으로 이미 낮은 수준이므로 충격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R><PRE>                                                                                 - 출처 : 매일경제(2008. 7. 30)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P></P></SPAN><BR><BR><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3999

슈퍼마켓 업체도 산지직거래 적극 가세

2,596
3998

지방 대형마트, 지역농산물 판매 늘어

2,505
3997

2008년 제32호 주간해어황정보

2,167
3996

태안어장 해삼, 전복 등 수산물 안전성 확인

2,310
3995

라오스산“호두”수입제한 조치

2,316
3994

다자무역체제 회의론…FTA 탄력받나

2,156
3993

친환경 우수식당 지정 ‘효과 있나’

2,479
3992

신선편의식품(샐러드 등)에서 대장균 검출첨부파일 있음

2,428
3991

남해 연안에 고등어 떼가 밀려왔다

2,443
3990

올해 먹거리 적자 150억달러 상회 전망

2,053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