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밭작물 기계화 ´아직도 걸음마´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08-12 | 조회수 | 2605 |
우리나라 벼농사 기계화율은 건조(55.3%)작업을 제외한 경운·정지, 이앙, 수확, 방제 분야 등 대부분 100%에 육박하는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BR> 반면 밭작물 기계화율은 경운·정비작업 외 파종, 수확, 건조 등은 평균 10%대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돼 이 분야에 대한 기계화연구와 지원이 뒤따라야할 것으로 보인다.<BR><BR> 이는 최근 농업기계학회 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된 논문 ‘농기계 이용실태 및 농작업 기계화율 조사연구’를 통해 나타났다.<BR><BR> 작목별 농작업 기계화 정도를 보면, 콩의 기계화율은 파종12%, 수확 5%, 건조 2.3%, 비닐피복 31.3%로 나타났으며 마늘의 경우 비닐피복 12.%, 수확 11.6%, 파종 10.4%로 아직 낮은 수준을 보였다. <BR><BR> 한편 주요 기종별 이용실태 조사 결과, 경운기의 연간이용면적은 11ha, 연간이용시간은 118시간, 연간이용일수는 37.6일로 나타났다. 트랙터 연간 이용면적은 자가 이용 20.3ha, 타가이용 6.6ha로 총 29.6ha이었으며 연간이용시간은 194.5시간, 이용일수는 38.6일로 나타났다. 이앙기의 경우 연간이용면적은 자가이용 2.ha, 타가 이용 1.2ha로 총 3.6ha였으며 연간이용시간은 26.6시간 연간이용일수는 5.1일 이었다. <BR><BR> 콤바인의 이용면적은 벼의 경우 7.9ha, 보리의 경우 0.7ha로 총 이용면적은 8.6ha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시간은 벼 43.7시간, 보리 2.9시간 총 46.6시간이었으며 이용일수는 벼 11.2일, 보리 0.7일로 총 11.9일을 작업하는 것으로 파악됐다.<BR><BR> 한편 이 연구조사를 수행한 농업공학연구소 측은 이번 조사결과를 통계청 승인을 받아 농림수산통계 등 국가통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BR><BR><PRE> - 출처 : 농수축산신문(2008. 8. 11)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P></P></SPAN><BR><BR><BR><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029 | 2,591 | ||
4028 | 2,255 | ||
4027 | 2,296 | ||
4026 | 2,033 | ||
4025 | 2,177 | ||
4024 | 2,187 | ||
4023 | 2,421 | ||
4022 | 2,592 | ||
4021 | 2,605 | ||
4020 | 2,2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