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새정부 출범 6개월 농식품 분야 성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8-08-26 조회수 2074
<P>신성장 농식품 산업 육성, 농식품 안전관리 강화, 농어가 경영안정 및 부담 완화 등 농식품 정책의 기본틀을 마련 </P><P>&nbsp;</P><P><SPAN id=bodyArea> </P><P><FONT size=2>◈ <STRONG>성과</STRONG> ◈</FONT></P><P><FONT size=2>2월 25일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농림어업 분야에서도 새로운 농식품 정책 방향과 과제 정립, 농식품 안전관리 강화, 농어촌의 활력 증진, 규제 완화, 조직과 행정 문화 쇄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가 있었음. <BR><BR>지난 6개월간 성과를 요약해 보면, <BR><BR><STRONG><FONT color=#6f6f6f>① 농림수산식품부 출범과 대내외 여건 변화에 부응하여 농식품 정책의 비전과 방향, 목표와 과제를 새로이 정립하고 정책 추진방식과 체제, 추진전략도 대폭 개편.</FONT></STRONG></FONT></P><P><FONT size=2>&nbsp; ○ 농정의 기조를 농수산물 생산 증대와 공급자 위주의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농어업을 2,3차 산업과 융복합화하여 신성장 동력을 확충하고, 희망과 비전이 있는 강한 농식품산업을 육성하는데 중점을 둠.<BR>&nbsp; ○ 농정지표를 『일류 농림수산식품』과 『강한 농산업』을 육성한다는 비전 하에, 긍정적 현장농정, 신뢰받는 농식품 산업, 희망찬 농어촌, 창조적 농어업인, 소통하는 조직 문화를 구현하는 것으로 설정.<BR>&nbsp;&nbsp;&nbsp; - 활기찬 시장경제, 글로벌 코리아 등 국정지표에 맞춰 농어업도 첨단기술을 접목하고, 유통·서비스·경영과 결합한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농정 목표 설정<BR>&nbsp;&nbsp;&nbsp; - 농식품 유통혁신, 핵심인력 양성, 식품산업 육성, 시군단위 유통회사 등의 과제를 역점 추진하여 돈버는 농어업과 강한 농산업, 그리고 살맛나는 농어촌 실현을 위한 세부 시책을 추진<BR>&nbsp;&nbsp;&nbsp; - 식품산업진흥법령 제정, 식품산업본부 및 식품산업정책단 신설 등을 통해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제를 갖춤.<BR>&nbsp; ○ 농정의 범위도 농수산물 생산에서 탈피, 시장과 경영, 기술과 자본, 금융과 기업을 포함하는 농기업, 농식품산업으로 확대<BR>&nbsp;&nbsp;&nbsp; - 글로벌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발전 전략의 추진<BR>&nbsp; ○ 농어촌은 선진일류국가 시대에 알맞은 국민의 풍요로운 생활공간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미래자원을 개발하는 수단 강구<BR>&nbsp;&nbsp;&nbsp; - 농어촌을 산업·문화·레저·관광·복지를 포함하는 전 국민의 사랑받는 생활·휴양 공간으로 인식(녹색 성장의 기반)<BR>&nbsp; ○ 정책 추진 방식도 공급자 위주의 하향식 지원방식에서 탈피하여 지자체와 농어업인 등이 주체가 되는 현장위주, 수요자 중심의 상향식 농정으로 전환함.</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② 국민의 높아진 식품안전 요구에 부응하여 농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법령개정, 정책개발, 제도개선을 추진</FONT>&nbsp;<BR></STRONG>&nbsp; ○ 식품업무의 이관과 농림수산식품부의 출범(2.29)을 계기로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Table)」 일관된 안전관리 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BR>&nbsp; ○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관계부처 합동으로 종합대책 마련(7.11)<BR>&nbsp;&nbsp;&nbsp; -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및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확대, 생산해역별 위생등급 설정관리, 안전성조사 강화 등 사전 예방적 관리체계 구축<BR>&nbsp;&nbsp;&nbsp;&nbsp;&nbsp; * ‘12년까지 GAP 생산비중을 1%에서 10%로 확대, HACCP적용 축산물 유통비중을 80%까지 확대, 농수산물 안전성 조사 확대 등<BR>&nbsp;&nbsp;&nbsp; - GAP 및 쇠고기, 수산물의 이력추적제 확대 등을 통한 유통단계 안전관리 강화<BR>&nbsp;&nbsp;&nbsp;&nbsp;&nbsp; * 쇠고기 이력추적제 전면 시행(‘09.6), 넙치 등 14개 수산물 이력추적제 도입(‘08.8) 등<BR>&nbsp;&nbsp;&nbsp; - 축산물위생심의회, 농식품안전자문단, 도축장평가 등 각종 정책과정에 민간참여를 확대하고,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 신뢰 구축<BR>&nbsp;&nbsp;&nbsp; - 식품업체의 안전관리 시설·장비 지원과 공공기관·대학 등 시설·장비 활용 등 식품업계의 자율적인 식품안전관리 능력 배양<BR>&nbsp; ○ 농산물품질관리법을 개정(‘08.6), 음식점 원산지 표시 대상을 모든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학교 등 집단급식소까지 확대함<BR>&nbsp;&nbsp;&nbsp; - 원산지 표시 대상업소수를 약 64만여 개소로 확대<BR>&nbsp;&nbsp;&nbsp; -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주도적으로 음식점 원산지 단속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속인력도 대폭 확대(1,100명)하고 실효성도 높임(8.20 현재, 허위표시 143건, 미표시 31건 적발)<BR>&nbsp;&nbsp;&nbsp; - 단속 실효성 제고를 위해 대검찰청·식약청·지자체와 협의회 구성, 공동업무지침 마련, 무작위 추출 전산프로그램 활용 등 추진<BR>&nbsp; ○ 수입 쇠고기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 수출국의 사육·도축단계부터 국내 검역·유통단계까지 단계별 검사 및 관리를 강화<BR>&nbsp;&nbsp;&nbsp; - 현장검사 → 역학조사 → 관능검사 → 정밀검사 단계별로 수입위생조건 및 검역절차에 따라 철저히 검사<BR>&nbsp;&nbsp;&nbsp; - 국내 검역관을 미국에 파견, 수출작업장 점검 및 정보 수집<BR>&nbsp;&nbsp;&nbsp; - 혀·내장 수입은 모두 조직검사 실시하고 SRM 발견시 5회 연속 강화 검사 실시<BR>&nbsp;&nbsp;&nbsp; - 2010년 쇠고기의 유통경로추적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연구 용역 추진<BR>&nbsp; ○ 4월에 발생한 AI에 대해 조기에 방역을 완료하고 연중 상시방역체제를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청정국 지위 회복(8.15), UN의 AI 방역 모범국가 지정 등의 성과.</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③ 유류·사료·비료 가격 상승에 따른 농어가 부담을 완화하고 경영안정을 위한 대책을 적극 추진<BR></FONT></STRONG>&nbsp;○ 유가 상승에 대응, 농업용 면세유류 공급량을 실수요(2,632천㎘) 수준으로 확대하고, 유가연동 보조금을 한시적으로 지급하기로 함<BR>&nbsp;&nbsp;&nbsp; - 고효율 난방기 선정(33개), LED(발광소자) 집어등 개발 등.<BR>&nbsp;&nbsp;&nbsp; - 연료비 비중이 높은 쌍끌이, 채낚기 어선 등을 중심으로 감척사업 확대<BR>&nbsp; ○ 사료가격 상승에 대응, 농가특별 사료구매자금 지원 확대(1.5조원)와 지원금리를 인하(3%→1)하고, 사료 수입원료 무관세 적용 품목도 확대(3개→19)하였음.<BR>&nbsp; ○ 화학비료 가격 상승에 대응, 정부가 가격 상승분의 30%, 농협 등이 40%를 부담하고 유기질 비료 지원을 확대함.<BR>&nbsp; ○ 쇠고기 수입 재개에 대비, 축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대책을 세워 한우산업의 안정과 발전을 기할 수 있는 기틀 마련.<BR>&nbsp;&nbsp;&nbsp; - 한우 다산우 지정제 도입, 품질고급화 장려금 지원(거세 한우 1+등급 ; 10만원/두) 등을 통해 축산물 품질수준 제고<BR>&nbsp;&nbsp;&nbsp; - AI, 소 브루셀라병, 돼지 열병 등 주요 가축질병 근절, 축사시설 현대화 지원, 가축분뇨 자원화 지원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BR>&nbsp;&nbsp;&nbsp; - 『제2녹색혁명』과 연계, 조사료 재배 면적 확대(‘12년까지 370천ha), 피해보전 직불제 및 폐업지원 대상품목 확대 등 축산농가 경영 안정<BR>&nbsp; ○ 유류오염사고 피해어업인을 위해 쌀·의약품 등을 지원하고, 조업재개 및 경영자금 지원을 통해 경영난 해소. <BR>&nbsp;&nbsp;&nbsp; - 피해주민 지원 및 환경복원을 위한 특별법(3.14)과 시행령(6.13) 제정.<BR>&nbsp;&nbsp;&nbsp; - 피해지역 수산물의 안전성 조사를 거쳐 어선조업 재개(4.18)<BR>&nbsp; ○ 농수산물재해보험을 확대하여 재해에 대한 농어가 부담을 완화<BR>&nbsp;&nbsp;&nbsp; - 농작물 재해보험 대상품목을 5개 추가(감자·콩·양파·고추·수박)하여 전체 15개 품목으로 확대<BR>&nbsp;&nbsp;&nbsp; - 넙치를 대상으로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제도 도입(7.1)<BR>&nbsp; ○ 농기계 임대 및 위탁영농을 촉진하는 농기계 은행사업을 시작하여 영농편의와 농작업의 경제성 향상 도모<BR>&nbsp;&nbsp;&nbsp; - 1조원 규모의 운영자금을 조성, 농기계 구입 부담을 완화<BR>&nbsp;&nbsp;&nbsp; - 농협에 농기계 은행사업본부 발족(8.1) 및 농기계 매입 추진중<BR>&nbsp;&nbsp;&nbsp;&nbsp; * 5년간 1조원을 투자하여 약 2조원 수준의 부담완화 효과<BR>&nbsp; ○ ’08년 상반기 농림수산식품 수출액은 2,061백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21.4% 증가<BR>&nbsp;&nbsp;&nbsp; - 농자재 가격 상승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적극적 수출확대 </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④ 주요 생필품 가격 안정과 도농간 상생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국민생활에 가까이 가는 생활밀착형 농식품 행정을 구현<BR></FONT></STRONG>&nbsp;○ 추석절 물가 상승에 대비하여 사과, 돼지고기, 고등어 등 16개 특별품목 중점 관리, 비축물량 방출, 전국에 2,297개 직거래장터 개설 등을 통해 서민생활 안정을 도모함.<BR>&nbsp;&nbsp;&nbsp; - 8.25~9.12까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농식품 물가안정대책반을 구성·운영<BR>&nbsp; ○ 국제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에 대응하여, 정부비축 벼 방출, 농협 보유 쌀 공매 등으로 쌀값 상승세를 완화함.<BR>&nbsp;&nbsp;&nbsp; - 밀 등 주요 곡물의 할당관세를 무세화하여 식료품 가격 상승 압력 완화<BR>&nbsp; ○ 소비지-산지 상생협력사업 추진으로 직거래 확대 및 공정거래 분위기 조성<BR>&nbsp; ○ 산지유통체계를 시군 광역단위로 개편함으로써 소규모 산지조합 중심의 영세한 유통체계를 극복 추진<BR>&nbsp;&nbsp;&nbsp; - 생산자단체 수취가격 제고, 소비지 대형유통업체와 직거래 유도<BR>&nbsp; ○ 쌀가공식품 개발 및 쌀면 제조업체에 수입쌀을 밀가루 가격 수준으로 공급하는 등 국제곡물가격 상승에 대응한 대체식품 보급을 확대함.</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⑤ 복지·교육 등 농어촌 삶의 질을 향상하고, 농어업의 1·2·3차 복합산업화 및 도농교류 촉진을 통한 농어촌 활력을 증진.<BR></FONT></STRONG>○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대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nbsp; ‘07년도 시행계획 평가와 ‘08년도 계획 수립(‘08.5)<BR>&nbsp;&nbsp;&nbsp; - ‘07까지 132개 사업 11.4조원 집행 및 ’08년도 시행계획 수립 <BR>&nbsp; ○ 농어업인 보험료 지원 확대와 여성농업인의 지위 향상<BR>&nbsp;&nbsp;&nbsp; - 농어업인 국민건강보험료 지원대상 지역 및 연금보험료 지원액 확대를 통해 농어업인의 경제적 부담 경감(‘08.4) <BR>&nbsp;&nbsp;&nbsp; - 여성농업인의 법적지위를 보장하여 농업인으로서의 자긍심을 제고하고 여성농업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마련(‘08.6) <BR>&nbsp; ○ 농어촌 고용증가 및 투자촉진을 위하여 시·군 농어촌활력증진계획의 수립(‘08.2) 추진<BR>&nbsp;&nbsp;&nbsp; - 시군별 자율적 정책추진이 가능하도록 신활력사업·향토산업육성사업·특화품목육성 등 3개 유사사업을 통합<BR>&nbsp;&nbsp;&nbsp; - 지역 산업 발전에 필요한 인재양성, 산·학·연 네트워킹, 선도산업 마케팅, H/W보완투자 등 추진<BR>&nbsp;&nbsp;&nbsp;&nbsp;&nbsp; *&nbsp; 3년간 총 고용증가 38천명, 기업유치 457건 등 목표<BR>&nbsp; ○ 『도농교류촉진법』 하위법령을 마련(6.22)하고, 녹색농촌체험마을과 농어촌 테마공원조성사업 등 도시민이 농어촌에서 체험·관광·휴양을 할 수 있는 기반 더욱 확충<BR>&nbsp;&nbsp;&nbsp; - 올해부터 아산 짚풀문화제 등 18개 농어촌 마을축제를 지원하고, 마을 주민이 주도한 여름휴가 캠페인 등도 지원<BR>&nbsp;&nbsp;&nbsp; - 도농 상생기반 구축을 통한 농어촌의 새로운 가치 창출</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⑥ 농어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농어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불필요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농수산업 지원제도도 대대적으로 개편.<BR></FONT></STRONG>○ 농식품산업 성장동력 확충을 위하여 97건의 농어업 분야의 규제개혁과제를 발굴하고, 28건은 제도개선을 완료함.<BR>&nbsp;&nbsp;&nbsp; - 농업진흥지역 대체지정제도 폐지 등 <BR>&nbsp;&nbsp;&nbsp; - 농식품 분야의 규제를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하고, 실효성이 상실된 규제의 폐지<BR>&nbsp; ○ 법령 제·개정시 신설·강화되는 규제에 대한 자체심사를 강화하고 국민들의 규제개혁 건의를 수렴하기 위한 『규제개혁 코너』를 신설<BR>&nbsp;&nbsp;&nbsp; - 규제개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워크샵·특강 등 교육·홍보 추진<BR>&nbsp; ○ 농식품업 예산 구조도 생산 기반투자 중심에서 돈버는 농어업 실천과 신성장 분야에 집중 지원하는 체제로 개편 추진<BR>&nbsp;&nbsp;&nbsp; - 생산증대 위주의 예산지원을 지양하고 사람·조직·시스템 개혁에 중점 지원<BR>&nbsp; ○ 296개 농림분야 사업을 대폭 통폐합하여 사업의 효율성 제고</FONT></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FONT></STRONG></FONT>&nbsp;</P><P><FONT size=2><STRONG><FONT color=#6f6f6f>⑦ 농림수산식품부의 조직과 기능 개편, 제도개선 등을 통해 새로운 행정 문화를 정립하고 대국민 서비스 향상<BR></FONT></STRONG>○ 농림부와 수산부문의 통합에 따라 농업과 수산 직원 중 1/3을 교차 배치, 톱다운 인사제도 도입 등 신속하게 조직을 융합시켜 화학적 융합이 잘 된 부처로 평가 받음.<BR>&nbsp; ○ ‘30% 일줄이기’ 추진, 42개 위원회 중 23개를 통폐합, 위임전결 비율을 확대하는 등 대대적 행정 개선을 통해 업무 효율화와 새로운 행정문화를 정립<BR>&nbsp;&nbsp;&nbsp; - 권위주의적 행정문화 타파와 섬기는 농정의 구현<BR>&nbsp;&nbsp;&nbsp; - 긴급사안 발생시, 『선조치 후보고』 체제 정착<BR>&nbsp; ○ 농어업·식품단체의 정책개발제 도입, 전화민원 사전예고제, One-call 서비스 실시 등 섬기는 행정을 직접 구현함.<BR>&nbsp;&nbsp;&nbsp; - 장관부터 매주 현장 확인 방문으로 현장 중심의 실용행정 구현<BR>&nbsp;&nbsp;&nbsp; - 각종 동아리 모임을 농촌현장과 연계, 실질적 봉사(장수사진 촬영 등)</FONT></P><P><BR><FONT size=2>◈ <STRONG>미흡한 점과 향후 발전 과제</STRONG> ◈</FONT></P><P><FONT size=2>지난 6개월 동안, 다양한 분야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쇠고기 협의와 관련하여 광우병 논란과 촛불시위를 야기하고, 국민과의 소통이 부족한 점 등 일부 미흡한 점도 있었음. </FONT></P><P><FONT size=2>그간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고, 정책수립, 집행, 홍보 및 평가 과정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임.</FONT></P><P><FONT size=2>글로벌 시대에 부응, 근본적인 『강한 농식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농산업 정책방향과 과제를 보다 뚜렷하게 정립하고 구체화할 것임.</FONT></P><P><FONT size=2>&nbsp; ○ 4,800만 국민에게 안전한 농식품을 공급<BR>&nbsp;&nbsp;&nbsp; - 농약 등 잔류물질 관리 강화, GAP·HACCP·이력추적제 확대 등 농식품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강화.<BR>&nbsp;&nbsp;&nbsp; - 특히,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서는 검역관 현지 파견, 철저한 검역, 유통관리 강화 등을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함.<BR>&nbsp; ○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강한 농수산업 육성<BR>&nbsp;&nbsp;&nbsp; - 중소농어가 품목별 조직화, 교육·훈련 및 기술 지원, 농자재 가격 상승 대비, 정책금융 지원제도 개선 등을 통해 세계와 경쟁하는 강한 농림수산업으로 육성.<BR>&nbsp; ○ 유통비용을 줄이는 농수산물 유통구조의 개선<BR>&nbsp;&nbsp;&nbsp; - 품목별 생산자단체가 산지유통을 주도하게 하고, 사이버 거래, RFID 도입, 직거래 활성화 등을 통해 농수산물 유통구조를 개선.<BR>&nbsp; ○ 식품산업을 성장 동력 산업으로 육성<BR>&nbsp;&nbsp;&nbsp; - 식재료 산업 및 외식산업 진흥, 한식세계화 등 식품산업이 농어업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육성.<BR>&nbsp;&nbsp;&nbsp; - Korea Food Expo(10.13~19)를 개최, 국내외에 우리 농식품의 우수성을 홍보.<BR>&nbsp; ○ 삶터·쉼터·일터가 조화된 풍요로운 농어촌을 건설<BR>&nbsp;&nbsp;&nbsp; - 관광·레저·음식 등이 결합된 농어촌형 서비스 산업 육성 등을 통해 살맛나는 농어촌을 조성.<BR>&nbsp;&nbsp;&nbsp; -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개발, 복지증진 시책 추진<BR>&nbsp; ○ 농어업 분야에서의 『녹색 성장』 과제 발굴, 추진<BR>&nbsp;&nbsp;&nbsp; - 정부가 새로운 60년 비전으로 제시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을 위해 제2 녹색혁명, 바이오에너지 사업, 친환경농어업 확대, 녹색성장 R&D 등 농식품 분야 관련 과제들을 발굴하고 체계화.<BR>&nbsp; ○ 농어촌 경제의 활성화 추진<BR>&nbsp;&nbsp;&nbsp; - 당면한 농어촌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 농산업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농어촌 투자 활성화, 수출 100억불 달성, 한우산업 발전, 농자재 가격 상승 대책 등 주요 정책과 현안에 대해서는 과제별로 T/F를 구성하여 조기에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추진.</FONT></P><P><FONT size=2></FONT>&nbsp;</P></SPAN><PRE>                                                                                 - 출처 : 대한민국정책포털(2008. 8. 25)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P></P></SPAN><BR>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4059

새정부 출범 6개월 농식품 분야 성과

2,074
4058

농축산물 판매가 중 43%가 유통비…농가 몫은 절반

2,382
4057

추석 직거래장터 전국 2300곳 개장

2,245
4056

가락시장 무·배추 ‘재’관행 철폐 차일피일, 속사정은

2,437
4055

농가인구 35년새 45% ‘뚝’

2,257
4054

농수축산물 사이버거래제 구축 활기

2,563
4053

장태평 장관, 농식품 유통구조 효율화 강조

1,991
4052

추석 차례상 햅쌀 밥맛 ‘OK’

2,402
4051

추석 대비 제수용 농산물 수입검역 대폭 강화

2,219
4050

고랭지 배추·무 ‘시들시들’

2,495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