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농림업 종사자 4년새 20만명 감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10-17 | 조회수 | 2737 |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50 align=center border=0><TBODY><TR><TD class=date><B>GS&J 인스티튜트 분석, 2016년까지 134만여명으로 축소 전망</B></TD></TR><TR><TD style="PADDING-RIGHT: 5px; PADDING-LEFT: 5px; PADDING-BOTTOM: 5px; PADDING-TOP: 5px"><FONT color=#41835b></FONT></TD></TR><TR><TD> </TD></TR><!-- 사진기사에 체크된경우 첨부된사진의 사이즈를 for문으로 돌리면서 확인후 width(x)값이 400보다 큰경우 기사내용을 사진아래로 내리고 사진 가운데 정렬 2007-10-20 CS게시판 요청 --><TR><TD class=d9_01><!-- 기사 포토 시작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align=right border=0><TBODY></TBODY></TABLE><!-- 기사 내용 시작 --><FONT id=abc style="fontsize: 13px">농림업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축산업 종사자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BR>GS&J 인스티튜트가 지난 7일 발표한 ‘통계로 본 농림업의 인적자원 실태와 과제’에 따르면 농림업 종사자는 2001년 210만4000명에서 2005년 189만9000명으로 20만6000명이 감소했다. 이같은 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되면서 오는 2016년에는 134만2000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BR><BR>이런 가운데 축산업 종사자는 늘어나고 있다. 축산업은 지난 2001년 4만5000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 2005년에는 8만2000명으로 늘었다. 전체 농림업 종사자 중 여성의 비중이 늘고 있는데 특히 축산업에서 2001년 29.8%에서 2005년에는 42.59%로 큰폭으로 증가했다. <BR><BR>농림업 종사자 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고령이나 사망으로 지속적인 이탈을 보이는 반면 낮은 소득으로 종사자의 유입이 거의 없기 때문. 월평균 농업소득은 전산업의 평균 175만원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80만원 정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축산업은 162만원, 조경식재 및 농업관련 서비스업은 210만원으로 높은 편이었다. <BR><BR>농업인구의 감소는 빨라지고 있는데 농업임금노동자는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농 및 노령화로 인한 새로운 농업인력의 공급이 임금 근로자의 형태로 증가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BR><BR>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영생 박사는 “내부에서 충원이 되기 어려운 구조에서 외부충원이 필요하며, 단기적으로는 임금근로자의 활용이 필요하고 외국인 근로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중고령 인구의 유입을 원활히 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FONT> <PRE> -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2008. 10. 16)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179 | 2,672 | ||
4178 | 2,471 | ||
4177 | 2,737 | ||
4176 | 2,370 | ||
4175 | 2,497 | ||
4174 | 2,519 | ||
4173 | 2,288 | ||
4172 | 2,329 | ||
4171 | 2,355 | ||
4170 | 2,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