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 심상찮은 젖소 송아지값…안정대책 시급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08-10-24 | 조회수 | 2706 |
<SPAN class=s02>사료값 부담 등 입식꺼려 6개월새 70% 급락</SPAN><BR><BR><DIV class=default_txt id=articleBody style="FONT-SIZE: 11pt">“우유를 짜려면 낳을 수밖에 없는 송아지값이 바닥이니 어디 내다 버릴 수도 없고…. 답답합니다.” “젖소 송아지값이 떨어지는 것은 실질적으로 소득이 감소하는 것이지요. 제도적 방법이 필요합니다.”<BR><BR>최근 젖소 송아지값이 한마리당 5만원대로 떨어지면서 육우산업과 낙농산업이 위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낙농 농업인들은 올들어 사료값이 가파르게 오른데다 4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 협상 타결 이후 젖소 송아지값이 본격적으로 빠져 젖소 송아지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고 한숨이다.<BR><BR>더구나 낙농가들은 송아지 생산안정사업에 참여한 한우농가들이 젖소 송아지값보다 많은 17만5,000원씩 보전금을 받게 돼 상대적 어려움을 더 느끼고 있다. 젖소 송아지값 하락에 농가 반응과 그에 대한 대책은 없는지 살펴본다.<BR><BR>◆젖소 송아지값 얼마나 떨어졌나=농협과 축산물등급판정소 자료에 따르면 젖소 송아지(초유떼기)값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 타결 이전인 3월과 값 하락이 진행된 9월 기준으로 수송아지 37만1,000원에서 9만3,000원, 암송아지 25만4,000원에서 5만7,000원으로 떨어졌다. 각각 74.9%와 77.6%나 폭락한 것. 같은 기간 한우 수송아지는 26.7%, 암송아지가 28.3% 하락한 데 비해 그 폭은 세배에 이른다.<BR><BR>이에 따라 낙농가들은 소득 감소는 물론이고 사육의욕이 떨어져 힘겹다고 입을 모은다. 경기 시흥시에서 50마리를 착유해 1.5t을 납유하는 새안양목장 이복열씨(40)는 “연간 생산하는 70~80마리의 송아지 가운데 절반 정도인 35~40마리의 수송아지를 내다 팔아 1,500만~2,000만원 올리던 소득이 사실상 없어졌다”며 “이제는 사료값 때문에라도 입식에 나서는 농가가 드물다”고 말했다.<BR><BR>즉 젖소 송아지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육우농가의 사육의지가 떨어져 송아지 입식을 주저하게 함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사료값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낙농가의 경영압박을 가중해 낙농산업 전체에 위기감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BR><BR>육우농가들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나기혁 낙농육우협회 육우분과위원장은 “젖소 송아지값이 이처럼 낮은데도 입식하지 못하는 것은 사료 먹여서 키워 봐야 생산비도 건질 수 없기 때문”이라며 “이대로라면 육우산업이 붕괴되고 그 영향으로 낙농산업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돼 ‘위기상황’”이라고 말했다.<BR><BR>◆대책은 없나=낙농가 김종국씨(54)는 “오래전부터 논의되던 송아지 생산안정사업에 가격 차이를 두더라도 젖소도 참여할 수 있으면 그나마 나을 것”이라며 “낙농산업 유지의 기반인 젖소 송아지에 대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지 못한다면 장기적인 문제로 남아 발목을 잡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BR><BR>한국낙농육우협회도 최근 젖소 송아지값 하락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에 송아지 생산안정사업에 젖소 포함을 요청하는 건의문을 제출하는 등 낙농기반 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BR><BR>낙농육우협회가 21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낸 건의문에서 “미국산 쇠고기에 따른 영향은 우리 낙농산업이 고스란히 떠안았다”며 “젖소 송아지값 하락을 보전할 수 있는 송아지 생산안정사업에 젖소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나기혁 육우분과위원장은 “기본적으로 육우소비 확대를 위한 노력과 함께 수매 등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며 “나아가 군 급식물량 확대나 학교 등 단체급식 활용 등을 위한 제도적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BR><BR>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원유값 인상을 논의할 때 생산비에 이미 젖소 송아지값이 반영돼 있다”며 “송아지 생산안정사업에 포함하는 것은 이중 지원이 될 수 있어 곤란할 것”이라고 말했다. <BR></DIV><PRE> - 출처 : 농민신문(2008. 10. 24) -</PRE><BR><BR><MARQUEE><FONT face=돋움체 color=forestgreen size=2><STRONG>청렴한 당신, 우리사회의 진정한 리더 </FONT></STRONG></MARQUEE><BR> |

번호 | 제목 | 작성일 | 조회수 |
---|---|---|---|
4199 | 2,406 | ||
4198 | 2,696 | ||
4197 | 2,706 | ||
4196 | 2,808 | ||
4195 | 2,670 | ||
4194 | 2,419 | ||
4193 | 2,850 | ||
4192 | 2,713 | ||
4191 | 2,449 | ||
4190 | 2,549 |